맨위로가기

유녹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유녹숭(庾祿崇, 1035년 ~ 1114년 7월 25일)은 고려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무송(茂松)이며, 자는 귀수(龜壽), 시호는 안정(安貞)입니다. 강직한 성품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유학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40여 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공정함과 충성심을 보여주었습니다.
주요 생애 및 업적:


  • 가계: 고려 태사(太師) 유금필(庾黔弼)의 5세손입니다.
  • 관직:
  • 문종 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벼슬길에 올랐습니다.
  • 1099년(숙종 4)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가 되었습니다.
  • 1102년(숙종 7)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 같은 해 가을 지서북면병마사(知西北面兵馬使)를 거쳐 추밀원부사 겸 태자빈객(太子賓客)을 역임했습니다.
  • 무송부원군(茂松府院君)에 봉해졌습니다.
  • 예종 때 참지정사에 오른 뒤 상서도성좌복야(尙書都省左僕射)로 치사(致仕)하였습니다.
  • 성품 및 평가:
  • 강직하여 굽히지 않고 남을 따른 적이 없으며, 귀현(貴顯)이 되어서도 검소한 생활을 유지했습니다.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과 『여사제강(麗史提綱)』에 그의 강직함과 공정함, 충성심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 사후: 1114년(예종 9) 사망 후 조정에서 3일 동안 조회를 폐하고 애도했으며, 안정(安貞)이라는 시호를 내렸습니다.
  • 묘소: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 삼태마을 동막산 탑동에 있으며, 유정승동(庾政丞洞)으로 불립니다.

무송 유씨 시조:유녹숭은 무송 유씨(茂松 庾氏)의 시조입니다. 그의 자손들이 무송(현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지역)에 세거하면서 본관이 평산(平山)에서 분관하여 무송으로 갈라지게 되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