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산균과는 락토바킬루스속(Lactobacillus), Paralactobacillus, Pediococcus, Sharpea 등의 속을 포함하는 세균 과이다. 이들은 비포자 형성, 둥글거나 길쭉한 모양을 가지며, 혐기성 또는 통기성 환경에서 생존한다. 주로 우유, 고기, 채소 제품 및 발효 음료와 같은 영양분 환경에서 발견되며, 젖산을 탄수화물 대사의 주요 최종 생성물로 생성한다. 현재 유산균과의 분류는 전체 게놈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산균목 - 연쇄상구균과
연쇄상구균과는 유산구균속, 락토붐속, 연쇄구균속을 포함하며, 유산구균속은 유제품 발효에, 연쇄구균속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포함한다. - 유산균목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펩티도글리칸 합성 경로 변화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Van-A, Van-B, Van-C, Van-D, Van-E, Van-G의 6가지 유형이 있으며, 리네졸리드 등으로 치료한다. - 그람 양성균 - 탄저균
탄저균은 바실러스속의 그람 양성 포자 형성 간균으로, 탄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포자를 형성하고 캡슐과 외독소를 통해 숙주를 공격하며, 백신과 항생제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 그람 양성균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유산균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학적 정보 | |
![]() | |
학명 | Lactobacillaceae |
명명자 | Winslow et al. 1917 (Approved Lists 1980) |
모식 속 | 락토바실루스속 |
모식 속 명명자 | Beijerinck 1901 (Approved Lists 1980) |
하위 분류 계급 | 속 |
속 | 아세틸락토바실루스속 (Acetilactobacillus) 아그릴락토바실루스속 (Agrilactobacillus) 아밀로락토바실루스속 (Amylolactobacillus) 아필락토바실루스속 (Apilactobacillus) 봄빌락토바실루스속 (Bombilactobacillus) 콤파닐락토바실루스속 (Companilactobacillus) 콘비비나속 (Convivina) 델리아글리아속 (Dellaglioa) 프룩틸락토바실루스속 (Fructilactobacillus) 프룩토바실루스속 (Fructobacillus) 푸르푸릴락토바실루스속 (Furfurilactobacillus) 홀자펠리아속 (Holzapfelia) 락티카세이바실루스속 (Lacticaseibacillus) 락티플란티바실루스속 (Lactiplantibacillus) 락토바실루스속 (Lactobacillus) 라피딜락토바실루스속 (Lapidilactobacillus) 라틸락토바실루스속 (Latilactobacillus) 렌틸락토바실루스속 (Lentilactobacillus) 류코노스톡속 (Leuconostoc) 레빌락토바실루스속 (Levilactobacillus) 리길락토바실루스속 (Ligilactobacillus) 리모실락토바실루스속 (Limosilactobacillus) 리쿠오릴락토바실루스속 (Liquorilactobacillus) 로이고락토바실루스속 (Loigolactobacillus) 오에노코쿠스속 (Oenococcus) 파랄락토바실루스속 (Paralactobacillus) 파우실락토바실루스속 (Paucilactobacillus) 페디오코쿠스속 (Pediococcus) 슐라이페릴락토바실루스속 (Schleiferilactobacillus) 세쿤딜락토바실루스속 (Secundilactobacillus) 웨이셀라속 (Weissella) |
이전 분류 | |
동의어 | 류코노스톡과 (Leuconostocaceae) |
일반 정보 | |
출처 | Merriam-Webster Online |
특징 | |
대사 | 젖산 대사 재검토: 식품 발효 및 식품 부패 시 젖산균의 대사 |
2. 하위 속
- 락토바킬루스속 (''Lactobacillus'')
- ''Paralactobacillus''
- ''Pediococcus''
- ''Sharpea''
한때 5개의 속(''Convivina'', ''Fructobacillus'', ''Leuconostoc'', ''Oenococcus'', ''Weissella'')은 '''''Leuconostocaceae'''''라는 별도의 과로 여겨졌다.[9] 이 속들은 포자를 만들지 않고(비포자 형성), 둥글거나 길쭉한 모양을 가지며, 산소가 없는 환경(혐기성)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통기성)에서도 살 수 있다. 주로 우유, 고기, 채소 제품 및 발효 음료와 같이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발견된다.[10][11] 이들의 특징적인 이종 발효 탄수화물 대사의 주요 최종 생성물은 젖산이다. 2020년에 Leuconostocaceae는 Lactobacillaceae(유산균과)와 동의어로 지정되었다.[2]
3. 계통 발생
한때 ''Convivina'', ''Fructobacillus'', ''Leuconostoc'', ''Oenococcus'', ''Weissella'' 등 5개 속은 ''Leuconostocaceae''라는 별도의 과로 간주되었다.[9] 이 속들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둥글거나 길쭉한 모양을 하고, 혐기성 또는 통성 호기성이다. 주로 우유, 고기, 채소 제품 및 발효 음료와 같이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 서식한다.[10][11] 이들의 특징적인 이종 발효 탄수화물 대사의 주요 최종 생성물은 젖산이다. 그러나 2020년에 Leuconostocaceae는 Lactobacillaceae와 동의어로 지정되어 현재는 Lactobacillaceae에 포함된다.[2]
현재 통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을 기반으로 하며, 계통 발생은 전체 게놈 염기 서열 분석 결과를 따른다.[2] 이에 따라 과거 락토바킬루스(Lactobacillus)로 분류되었던 많은 종들이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되었으며, ''Pediococcus'', ''Paralactobacillus'' 등과 함께 Lactobacillaceae 과를 구성한다. 과거 Leuconostocaceae에 속했던 속들도 현재 이 과에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actobacillaceae''"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21-06-30
[2]
논문
A taxonomic note on the genus ''Lactobacillus'': Description of 23 novel genera,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actobacillus'' Beijerinck 1901, and union of ''Lactobacillaceae'' and ''Leuconostocaceae''
[3]
웹사이트
"''Lactobacillaceae'' - Definition and More from Merriam-Webster's Free Medical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7-26
[4]
논문
Lactic metabolism revisited: metabol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fermentations and food spoilage
http://www.sciencedi[...]
2015
[5]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update of the list of QPS-recommended biological agents intentionally added to food or feed as notified to EFSA
2017
[6]
논문
The controversial nature of the ''Weissella'' genus: Techn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versus whole genome analysis-based pathogenic potential for their application in food and health
2015
[7]
간행물
Fermented Foods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19
[8]
서적
Microbiology and Technology of Fermented Foods (2nd ed.)
https://onlinelibrar[...]
2018
[9]
논문
Congruence of evolutionary relationships inside the ''Leuconostoc''-''Oenococcus''-''Weissella'' clade assessed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dnaA'', ''gyrB'', ''rpoC'' and ''dnaK''
[10]
서적
The Prokaryotes
[11]
논문
Probiotic properties of bacteria isolated from bee bread of stingless bee Heterotrigona itama
http://psasir.upm.ed[...]
2020-08-25
[12]
LPSN
Lactobacillus
http://www.bacterio.[...]
[13]
웹사이트
Lactobacillaceae - Definition and More from Merriam-Webster's Free Medical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7-26
[14]
Family
Family Lactobacillaceae
http://www.bacterio.[...]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15]
서적
Brock. Biología de los Microorganismos (10th ed.)
Pearson Educaciòn S.A.
2004
[16]
웹인용
Lactobacillaceae - Definition and More from Merriam-Webster's Free Medical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