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중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유중교(柳重敎, 1821년 ~ 1893년)는 조선 말의 유학자입니다. 자는 치정(致政), 호는 성재(省齋)입니다.
생애 및 활동:


  •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이항로 사후에는 김평묵(金平黙)을 스승으로 섬겼습니다.
  • 1852년(철종 3) 이항로의 지도 아래 김평묵과 『송원화동사합편강목(宋元華東史合編綱目)』을 편수했습니다.
  • 1876년(고종 13)과 1882년(고종 19) 선공감 가감역(繕工監假監役)과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습니다.
  • 1881년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서 가져온 『조선책략(朝鮮策略)』으로 인해 개화 정책 논의가 활발해지자, 김평묵과 함께 척사위정(斥邪衛正)을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 은거하며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매진했으며, 설악산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습니다.

학문적 특징:

  • 주리론(主理論)을 따랐지만, 심(心)을 기(氣)로 규정하여 스승인 이항로 및 김평묵(심을 이(理)로 규정)과 다른 견해를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이항로 문하에서 심설 논쟁(心說論爭)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옥계조(玉溪操)」, 「자양금조후사(紫陽琴調候詞)」, 「현가궤범(絃歌軌範)」 등을 저술했습니다.

사상:

  • 척사위정 사상을 견지하며, 척양(斥洋)·척왜(斥倭)를 주장했습니다.

기타:

  • 본관은 고흥(高興)입니다.
  • 초명은 유맹교(柳孟敎)입니다.
  •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경현단에 배향되었습니다.


유중교
기본 정보
생애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