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자운 선생 묘 및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윤자운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학자 윤자운(1416~1478)의 묘와 신도비입니다. 1986년 4월 15일 양주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윤자운 선생 묘
- 단분(單墳) 형태로, 상석, 혼유석, 문인석, 장명등 등의 옛 석물을 갖추고 있습니다.
- 묘 주위에는 화강암 석축에 한식기와를 올린 곡담이 둘러져 있습니다.
- 1960년에 새로 세운 팔각지붕형의 옥개와 장방형 비좌를 갖춘 대리석 묘비가 있습니다.
- 문인석은 복두 공복을 착용하였고, 총 높이는 189cm입니다.
- 장명등의 규모는 옥개석 한 변의 길이가 35cm이고, 총 높이는 113cm입니다.
윤자운 선생 신도비
- 신도비는 왕이나 고관의 무덤 앞 또는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 세워 죽은 이의 사적을 기리는 비석입니다.
- 윤자운 신도비는 묘역 아래쪽에 위치하며, 비각 안에는 원래의 비와 새로 조성한 비 2기가 있습니다.
- 원래의 신도비는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불가능하여, 새로운 비를 조성하면서 귀부형 기단으로 바꾸었습니다.
- 비문은 홍문관 대제학 서거정(1420~1488)이 짓고, 오위도총부 도총관 정난종(1433~1489)이 썼으며, 1479년(성종 10)에 세워졌습니다.
- 신도비의 전액은 '증 시 문헌공 신도비(贈諡文憲公神道碑)'이고, 비제는 '유명 조선국 추충 위익 순성 명량 경제 홍화 좌리공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예문관·홍문관·관상감사 무송부원군 증 시 문헌 윤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推忠衛翼純 ...)'입니다.
윤자운(尹子雲, 1416~1478)
-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망지(望之), 호는 낙한재(樂閑齋), 시호는 문헌공(文憲公)입니다.
- 1438년(세종 20) 진사에 합격하고,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습니다.
- 예문관검열을 시작으로 집현전 부수찬·이조좌랑·사간원 좌헌납·승정원 도승지·영의정을 지냈습니다.
- 세조 때 좌익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병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했습니다.
- 성품이 단아하고 세밀하여 일생 동안 관부의 탄핵을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다고 합니다.
- 함경도에서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자 함길도 체찰사로 임명되어 난을 진압하기도 했습니다.
윤자운 선생 묘역은 가족묘 형태로, 아들과 손자의 묘가 함께 조성되어 있습니다. 윤자운 선생 묘 및 신도비는 조선 전기 묘제 및 석조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윤자운 선생 묘 및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묘 정보 | |
이름 | 윤자운선생묘 및 신도비 |
위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 산27 |
종류 | 향토유적 |
지정 번호 | 9 |
지정일 | 1986년 4월 15일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무송윤씨 종중 |
참고 사항 | 묘: 직경 620cm, 높이 180cm, 신도비: 높이 372cm, 너비 91cm, 두께 20cm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