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악 매크로 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음악 매크로 언어(Music Macro Language, MML)는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음악 시퀀스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음악 기술 언어입니다. 쉽게 말해, 텍스트 형태로 음악을 표현하고 연주하기 위한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ML의 특징:


  • 텍스트 기반: 악보처럼 시각적인 형태가 아닌, 문자와 숫자를 사용하여 음표, 길이, 옥타브, 템포 등을 표현합니다.
  • 초기 컴퓨터 음악: 1970년대 후반 샤프 MZ-40에서 시작하여 BASIC 기반 컴퓨터에서 음악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MSX나 IBM-PC의 GW-BASIC에 있는 사운드 관련 명령도 MML의 일종입니다.
  • 다양한 변종: 역사적인 이유로 표준화된 형식은 없으며, 다양한 구현체와 변종이 존재합니다. 각기 다른 오디오 칩의 기능에 따라 MML 형식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 일본에서의 인기: 1980년대 초 일본의 개인용 컴퓨터에서 Microsoft BASIC에 내장된 음악 드라이버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악보 표기법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일본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 매크로 기능: 일부 MML 구현에서는 반복되는 코드 조각을 매크로로 정의하여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MML의 예시 (FlMML 기준):```

// 멜로디 예시

t120 l4 o4 c d e f g a b > c

```

위 코드는 템포 120, 4분음표 길이, 4옥타브의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5옥타브)를 순서대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ML 관련 추가 정보:

  • Music Markup Language와 혼동 주의: XML 기반의 Music Markup Language와 혼동될 수 있으나, 다른 언어입니다.
  • NASequencer: MIDI에 중점을 둔 MML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
  • MML은 FSK (Frequency Shift Keying)와 함께 미디와 멀티 트랙 레코더 등 동기화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음악 매크로 언어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D%8C%EC%95%85_%EB%A7%A4%ED%81%AC%EB%A1%9C_%EC%96%B8%EC%96%B4)
  • [Music Macro Language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Music_Macro_Language)
  • [Introduction - pedipanol's guide to MML](https://guide-to-mml.readthedocs.io/en/latest/introduction.html)
  • [MIDI 관련 용어 - 네이버 블로그] (2020-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