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극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극증(李克增, 1431년 ~ 149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입니다. 자는 경위(景祁), 호는 삼봉(三峯), 시호는 공장(恭長)입니다.
생애 및 활동:


  • 1451년(문종 1년) 생원시에 합격했습니다.
  • 1456년(세조 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했습니다.
  • 이조정랑, 성균관 직강, 승정원 동부승지, 좌승지 등을 역임했습니다.
  • 1468년(예종 즉위년) 익대공신 2등에 책록되면서 광천군(廣川君)에 봉해졌습니다.
  • 1470년(성종 1년) 이조판서에 올라 국가경비의 식례인 『식례횡간(式例橫看)』을 찬정(撰定)하였습니다.
  • 1471년 좌리공신 3등에 녹훈되었으며, 호조판서와 전라도관찰사를 역임했습니다.
  • 1482년(성종 13년) 우참찬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병조판서, 지경연사, 형조판서, 좌참찬을 지냈습니다.
  • 1484년 동지성균관사에 제수되어 문묘(文廟) 중수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1488년 한성부판윤이 되었습니다.
  • 1490년에는 유생교육 장려를 위해 원점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 성균관에서 책 읽는 소리가 들리도록 경서강독의 문풍을 일으켰습니다.
  • 성균관 문묘(文廟)를 대대적으로 증수하고 부속 건물인 동서무를 중수하는데 힘썼습니다.
  • 의정부좌참찬으로 숭정대부 판중추부사에 이르렀습니다.

가족 관계:

  • 영의정을 지낸 이극배와 형조판서를 지낸 이극감의 동생입니다.
  • 좌찬성을 지낸 이극돈과 좌의정을 지낸 이극균의 형입니다.
  • 광주 이씨 명문가 출신으로, 이세좌와도 일족 관계를 구성했습니다.

사후:

  • 1494년 3월 25일, 64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시호는 공장(恭長)입니다.
  • 묘소는 성남시 야탑동에 있었으나 1990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로 이장되었습니다.

평가:

  • 성품이 성실하고 정직하며, 번잡하고 화려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관직에 있을 때는 언제나 성실하고 부지런하게 공사를 처리했습니다.
  • 위로는 임금의 선정을 도와 국가의 기강을 확립하고, 아래로는 젊은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