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더넷 물리 계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더넷 물리 계층은 케이블 배선, 핀 배열, 색상 코드, 그리고 이더넷 기술별 핀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8P8C 커넥터(MDI)의 핀 배열과 색상 코드는 기술별로 다르며, 10BASE-T/100BASE-TX에서는 특정 핀이 송수신에 사용되고, 1000BASE-T 이상에서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또한, PoE(Power over Ethernet) 모드 A와 B는 전원 공급에 서로 다른 핀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리 계층 프로토콜 - 모뎀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장치이며, 전화선, 케이블,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하며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다.
  • 물리 계층 프로토콜 - 중계기
    중계기는 전기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신호를 증폭하거나 재생성하여 통신 거리를 연장하는 장치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며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 이더넷 - 기가비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은 1 G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 표준으로, 광섬유 및 UTP 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광대역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로 사용되었으나, 더 빠른 이더넷 기술의 발전으로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과 호환성으로 인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지원하고, 최근에는 성능 향상 기술과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도 한다.
이더넷 물리 계층

2. 케이블 배선 (8P8C)

8P8C 커넥터는 이더넷 케이블 배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커넥터이다. 각 핀은 특정 역할을 하며, 이더넷 기술(10BASE-T, 100BASE-TX, 1000BASE-T 이상) 및 PoE(Power over Ethernet) 모드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1][2][3]

2. 1. 핀 배열 및 색상 코드

8P8C 와이어링 (MDI)
페어색상전화10BASE-T[1], 100BASE-TX[2]1000BASE-T[3] 이상PoE 모드 APoE 모드 B
13
Pair 3 Wire 1
white/green|화이트/그린영어
TX+BI_DA+48 V out
23
Pair 3 Wire 2
green|그린영어
TX−BI_DA–48 V out
32
Pair 2 Wire 1
white/orange|화이트/오렌지영어
RX+BI_DB+48 V return
41
Pair 1 Wire 2
blue|블루영어
ring미사용BI_DC+48 V out
51
Pair 1 Wire 1
white/blue|화이트/블루영어
tip미사용BI_DC–48 V out
62
Pair 2 Wire 2
orange|오렌지영어
RX−BI_DB–48 V return
74
Pair 4 Wire 1
white/brown|화이트/브라운영어
미사용BI_DD+48 V return
84
Pair 4 Wire 2
brown|브라운영어
미사용BI_DD–48 V return



꼬임쌍선 기반 이더넷 기술 비교

2. 2. 이더넷 기술별 핀 역할

8P8C 와이어링 (MDI)
페어색상전화10BASE-T[1], 100BASE-TX[2]1000BASE-T[3] 이상PoE 모드 APoE 모드 B
13 white/green|화이트/그린영어TX+BI_DA+48V out
23 green|그린영어TX−BI_DA–48V out
32 white/orange|화이트/오렌지영어RX+BI_DB+48V return
41 blue|블루영어ring미사용BI_DC+48V out
51 white/blue|화이트/블루영어tip미사용BI_DC–48V out
62 orange|오렌지영어RX−BI_DB–48V return
74 white/brown|화이트/브라운영어미사용BI_DD+48V return
84 brown|브라운영어미사용BI_DD–48V return



2. 3. PoE (Power over Ethernet)

PoE(Power over Ethernet)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다. 전력 공급 방식은 다음과 같이 모드 A와 모드 B로 나뉜다.

8P8C 와이어링 (MDI)
PoE 모드 APoE 모드 B
148V out
248V out
348V return
448V out
548V out
648V return
748V return
848V return


  • 모드 A: 핀 1, 2번은 48V out(전원 공급), 핀 3, 6번은 48V return(전원 회수)으로 사용한다.
  • 모드 B: 핀 4, 5번은 48V out(전원 공급), 핀 7, 8번은 48V return(전원 회수)으로 사용한다.[1][2][3]


3. 이더넷 기술 비교

꼬임쌍선 기반 이더넷 기술 비교



8P8C 와이어링 (MDI)
페어전화10BASE-T[1], 100BASE-TX[2]1000BASE-T[3] 이상PoE 모드 APoE 모드 B
13 white/greenTX+BI_DA+48 V out
23 greenTX−BI_DA–48 V out
32 white/orangeRX+BI_DB+48 V return
41 bluering미사용BI_DC+48 V out
51 white/bluetip미사용BI_DC–48 V out
62 orangeRX−BI_DB–48 V return
74 white/brown미사용BI_DD+48 V return
84 brown미사용BI_DD–48 V return



개선점:

1. 표 구조 정리: 이미지와 표를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하여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2. 불필요한 `|` 제거: `|+` 뒤에 표 제목(`caption`)이 오는 경우, 불필요한 `|` 를 제거했습니다.

3. 쉼표 추가: 10BASE-T와 100BASE-TX 사이에 쉼표를 추가하여 가독성을 높였습니다.

참조

[1] 간행물 14.5.1 MDI connectors IEEE 802.3
[2] 간행물 Table 25–2—Twisted-pair MDI contact assignments IEEE 802.3
[3] 간행물 40.8.1 MDI connectors IEEE 8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