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돈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돈화(李敦化, 일본식 이름: 白山一熊, 1884년 1월 10일 ~ 1950년 추정)는 일제강점기의 천도교 지도자이자 사상가이다. 도호는 두암(豆菴)이며, 아호는 야뢰(夜雷)와 백두산인(白頭山人)을 사용했다.
생애함경남도 고원군에서 태어난 이돈화는 1902년 19세의 나이로 동학에 입교했다. 1910년 천도교월보사가 설립되면서 《천도교월보》를 펴내기 시작하자 월보사 사원으로 근무하며 천도교 언론 분야에서 활동했다. 1920년에는 월간지 《개벽(開闢)》을 창간하여 1926년 강제 폐간될 때까지 주간으로 근무했다. 《개벽》은 3·1 운동의 바탕이 된 자주 사상을 고취하고 천도교 교리의 근대적 보급에 기여했다. 1922년에는 《부인지(婦人誌)》를, 1926년에는 《신인간(新人間)》을 창간하여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1923년 천도교청년당 창설에 참여했으며, 천도교 종법사와 총부대령 등 교단의 간부도 역임했다. 이돈화는 최린이 주도한 천도교 신파에서 이론가 역할을 맡았다. 태평양 전쟁 시기 중 최린이 전쟁 지원 활동에 적극 나설 때 조선임전보국단에 참여하고 직접 연설을 하는 등 일제에 협력한 행적이 있다.

광복 후에는 38선 이북 지역에 거주했는데,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행적을 알 수 없다. 당시 이돈화는 평안남도 양덕군에 있는 천도교 수도원에 머물고 있었으며, 조선인민군에게 체포되어 갔다는 설이 있어 납북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1950년 12월 전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상 및 활동이돈화는 천도교의 대표적인 이론가이자 언론인으로, 동학의 인내천 사상을 근대적으로 해석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는 천도교의 교리를 체계화하고, 이를 통해 사회 개혁을 추구하고자 했다. 특히 《개벽》을 통해 민족의식 고취와 더불어 천도교의 사상을 널리 알리는 데 힘썼다. 또한, 잡지 《신인간》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하고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돈화는 서구 근대 철학을 독학으로 접하며 천도교 교리를 새롭게 해석하려 시도했다. 그는 '인간은 실재의 층위에서는 완전하지만, 현상의 층위에서는 완전을 지향하는 과정적인 존재'라는 풀이를 통해, 기존 민중종교의 사유를 서구 근대 철학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냈다. 그의 사상은 인간론과 우주론 등 폭넓은 영역을 아우르며, 시공을 뛰어넘는 인간 해방을 지향했다.
친일 행적 논란이돈화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위를 한 사실이 있다. 그는 조선임전보국단에 참여하고 전쟁 지원 연설을 하는 등 일제에 협력했다. 이러한 행적은 그가 천도교 지도자로서 독립운동에 기여한 면모와 상반되어 논란이 되고 있다.
저서


  • 《천도교창건사》
  • 《인내천요의(人乃天要義)》
  • 《신인철학(新人哲學)》
  • 《동학지인생관(東學之人生觀)》

기타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송암리에는 이돈화의 공덕을 기리는 불망비가 있다.

이돈화
기본 정보
이름이돈화 (李敦化)
성여(聖汝)
죽사(竹蓑)
출생1884년 9월 26일
사망1950년 10월 28일
본관전주 이씨
관력
직업일제 강점기 친일 관료, 정치인
주요 경력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국민협회 평의원
흥아보국단 상무이사
대정익찬회 참의
친일 활동
친일 단체국민협회
흥아보국단
대정익찬회
주요 친일 활동일제 강점기 친일 활동
국방헌금 모금
일본군 위문 활동
징병 제도 선전
황국신민화 정책 협력
기타
친일재산친일재산 국가귀속 결정 (2007년)
관련 기록친일인명사전 수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