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슬람 3세 기라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슬람 3세 기라이는 1644년부터 1654년까지 크림 칸국의 칸이었다. 셀라멧 1세 기라이의 아들로, 형제 메흐메트 4세 기라이가 폐위된 후 칸으로 즉위했다. 그는 칼가로 동생 키림을, 누레딘으로 조카 가지를 임명했다. 건설자이자 행정가로 평가받으며, 흐멜니츠키 봉기 당시 코사크와 동맹을 맺고 폴란드와 대립했다. 1654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림의 칸 - 샤힌 기라이
    샤힌 기라이는 크림 칸국의 마지막 칸으로서 서구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반발을 사 러시아의 간섭으로 폐위되었고,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 후 처형당했다.
  • 크림의 칸 - 무라드 기라이
    무라드 기라이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으로 17세기 크림 칸국의 칸이 되었으나, 몽골법 적용 시도에 대한 반발로 폐위된 후 얌볼 근처에서 사망했다.
  • 1654년 사망 - 악셀 옥센셰르나
    악셀 옥센셰르나는 스웨덴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칼 9세, 구스타프 2세 아돌프, 크리스티나 여왕 시대를 거치며 스웨덴의 정치, 군사, 행정, 외교에 기여했으며, 덴마크와의 칼마르 전쟁 종식, 30년 전쟁에서의 스웨덴 지도,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에 영향을 미쳤다.
  • 1654년 사망 - 윌리엄 스트롱
    윌리엄 스트롱은 17세기 영국의 목사이자 작가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의회 앞에서 설교하고 웨스트민스터 총회 등에서 목회 활동을 하다가 사망 후 유해가 버려졌다.
  • 1604년 출생 -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는 독일의 약사이자 화학자, 초기 화학 공학자로서 황산나트륨을 발견하고 염산 등을 합성했으며, 케미컬 가든을 최초로 관찰, 기록하고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 1604년 출생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이슬람 3세 기라이
기본 정보
이슬람 기라이
칭호크림 칸
재위 기간1644년–1654년
이전 통치자메흐메트
다음 통치자메흐메트 4세
가문기라이
아버지알 수 없음
어머니알 수 없음
출생일1604년
사망일1654년 7월 10일 (53–54세)
종교이슬람교
이슬람 기라이 서명

2. 생애

이슬람 3세는 칸 셀랴멧 1세 (1608–10)의 아들로, 그의 형제인 메흐메트 4세가 칸의 자리에 있었다.[1] 이슬람 3세의 아들 중 칸이 된 사람은 없었으며, 후임 칸들은 대부분 그의 형제 바하디르의 후손이었다.[1]

자니베크 기라이 (1628–1635)의 두 번째 재위 기간 동안, 이슬람 3세는 1629–1632년경 폴란드에서 포로 생활을 했다.[1] 바하디르 1세 기라이 (1637–41) 치세 하에서는 칼가로 복무했다.[1] 1637년 또는 1638년에 그는 부자크 호르데를 크림 반도로 다시 이끌었으며, 1639–40년 겨울에는 터키 갤리선을 위해 8,000명의 우크라이나 노예를 포획했다.[1] 1641년, 이슬람이 더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바하디르의 뒤를 이어 그의 형제인 메흐메트 4세가 칸이 되었다. 이슬람은 터키로 가서 다르다넬스 해협 서쪽의 술타니아라는 곳에 정착했다.[1]

164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메흐메트 4세를 폐위시키고 이슬람을 크림 칸 자리에 앉혔다. 이슬람은 그의 남동생 키림을 칼가로, 그의 형제 무바라크의 아들 가지를 누레딘으로 임명했다. 그는 건설자이자 성공적인 행정가로, 귀족이 아닌 사람들을 임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1654년 그는 자연사했다.[1]

2. 1. 초기 생애

그는 칸 셀랴멧 1세의 여러 아들 중 한 명이었다. 셀야멧 1세의 아들 중 세 명은 칸이 되었고, 네 명은 칸의 아버지였다. 그의 앞뒤로 남동생 메흐메트 4세가 칸을 지냈다. 그의 아들 중 칸이 된 사람은 없었다. 이후 칸들은 대부분 그의 형제 바하디르의 후손이었다.[1]

자니베크 기라이의 두 번째 재위 기간(1628–1635) 동안, 그는 1629–1632년경 폴란드에서 포로 생활을 했다.[1] 바하디르 1세 기라이 통치 기간(1637–41)에는 칼가로 복무했다. 1637년 또는 1638년에 그는 부자크 호르데를 크림 반도로 다시 이끌었다. 1639–40년 겨울에는 터키 갤리선을 위해 8,000명의 우크라이나 노예를 포획했다.[1] 1641년, 이슬람이 더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바하디르의 뒤를 이어 그의 형제인 메흐메트 4세가 칸이 되었다. 이슬람은 터키로 가서 다르다넬스 해협 서쪽의 술타니아라는 곳에 정착했다.[1]

2. 2. 크림 칸 즉위

164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이슬람의 형 메흐메트 4세를 폐위시키고 이슬람을 크림 칸 자리에 앉혔다. 이슬람은 그의 남동생 키림을 칼가로 임명했고, 누레딘으로는 그의 형제 무바라크의 아들 가지를 임명했다. 1651년 키림은 베레스테치코 전투에서 사망했고, 이슬람의 남동생 아딜이 새로운 누레딘이 되면서 가지가 칼가 자리를 대신했다. 키림, 무바라크, 아딜은 모두 훗날 칸이 되는 인물들의 아버지였다. 이슬람은 건설자이자 성공적인 행정가로 기억된다. 그는 씨족 지도자들을 적으로 만들지 않으면서 귀족이 아닌 사람들을 임명하는 경향이 있었다. 우크라이나 반란에 대한 내용은 아래를 참조해야 한다. 1654년 그는 자연사했다.

2. 3. 흐멜니츠키 봉기

1644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이슬람의 형제 메흐메트 4세를 폐위시키고 이슬람을 즉위시켰다. 이슬람은 그의 남동생 키림을 칼가로 임명했다. 누레딘으로는 그의 형제 무바라크의 아들 가지를 계속 임명했다.[2]

자포로지 코사크의 흐멜니츠키 봉기는 1648년 1월 흐멜니츠키가 코사크의 헤트만이 되면서 시작되었다. 3월에 흐멜니츠키는 크림 반도로 가서 반폴란드 동맹을 맺었다.[2] 이것은 그에게 주로 토가이 베이 휘하의 기병대를 추가로 제공했다. 폴란드는 이 동맹을 분열시키려 했고, 때때로 성공을 거두었다. 1648년 군사 작전에서 흐멜니츠키와 함께 크림 기병대가 참여하여 리비우까지 거의 도달했다. 이듬해 이슬람은 즈보리우 전투 (1649)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퇴각하는 타타르인들은 지나가는 지역을 약탈하도록 허용되었다. 일부는 이슬람이 폴란드에 매수되어 주로 코사크 영토를 약탈했다고 주장한다.[3] 1651년 폴란드는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여 베레스테치코 전투에서 승리했는데, 이는 타타르인들이 전장에서 도망쳤기 때문이다. 흐멜니츠키는 그들을 쫓아갔고, 잠시 동안 이슬람에게 인질로 잡혔다. 1652년, 바티흐 전투 이후 코사크는 타타르인으로부터 폴란드 포로들을 사들여 학살했다. 하워스는 1653년에 이슬람이 바르와 카미네츠 주변 지역을 약탈하고 몸값을 받은 후 떠났다고 말한다.[4] 다른 자료에서는 이슬람이 같은 시기에 즈바네츠 전투에 참여했다고 한다. 1654년 1월, 페레야슬라프 조약에 따라 코사크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아들였고, 이로 인해 러시아-폴란드 전쟁 (1654–1667)이 발발했다.

2. 4. 사망

이슬람 3세는 1654년에 자연사하였다.[1]

3. 더 보기

헨리 호일 호워스(Henry Hoyle Howorth)의 History of the Mongols영어, 1880년(sic), 2부, 547–552쪽. ("매우 오래되었고, 부분적으로 부정확할 수 있음."으로 표시됨)

참조

[1] 서적 says he was captured by the Poles circa 1629 (p 168) and released circa 1632 (p 179), but spent 'five years' in Polish captivity (p. 233). The Russian Wikipedia has him in Polish captivity from 1629 to 1636 and then go to Turkey. - Gaivoronsky
[2] 문서 A Cossack-Tatar alliance seems unnatural, but it had happened before. In 1624 captured Cossacks successfully defended a khan against the Turks. In 1625 there was a brief alliance. In 1628–29 Cossacks supported a khan against overthrow. Three time they invaded, or tried to invade, Crimea. In 1636 Cossacks supported a khan who was resisting he Turks. In 1637 some Cossack rebels tried to gain Crimean support.
[3]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2007
[4] 서적 Howorth 18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