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재 홍진 영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인재 홍진(1541~1616)의 영정(초상화)에 대한 정보입니다.
개요:


  • 조선 중기의 문신 홍진의 초상화로,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 2001년 9월 17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임진왜란 때 선조를 모시고 피난길에 오른 공로로 호성공신 2등에 책봉된 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징:

  • 형태: 사모(紗帽)와 구름무늬가 있는 단령(團領)을 입고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입니다. 얼굴은 오른쪽으로 약간 돌려 왼쪽 얼굴을 그린 반측면상입니다.
  • 묘사:
  • 얼굴은 섬세한 선묘로 윤곽과 주름을 표현하고, 옅은 선염을 사용하여 입체감과 생동감을 더했습니다.
  • 눈의 홍채 주변을 흰색으로 칠해 눈빛을 강조했습니다.
  • 코는 주독으로 인한 질병(딸기코, 비류)의 특징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 가슴에는 문관 정1품을 상징하는 공작흉배(孔雀胸背)를 하고 있고, 서대(犀帶)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 단령의 옆트임 부분에는 옷의 안감과 패도(佩刀)가 살짝 드러나 있습니다.
  • 화풍: 17세기 초 공신초상화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세밀한 묘사가 돋보입니다. 특히 얼굴 묘사는 17세기 초상화법을 따르면서도 입체감을 시도한 흔적이 보이지 않습니다.
  • 제작 시기: 홍진이 호성공신에 책봉된 1604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역사적 가치:

  • 17세기 초 공신초상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 조선시대 초상화의 사실적인 묘사 기법("전신사조")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 홍진의 질병까지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초상화를 통해 역사적 인물의 개인적인 특징까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 인재 홍진 영정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9E%AC_%ED%99%8D%EC%A7%84_%EC%98%81%EC%A0%95](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C%9E%AC_%ED%99%8D%EC%A7%84_%EC%98%81%EC%A0%95)
  • 인재 홍진 영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606](https://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606)
  • 지지씨 - 경기문화재단: [https://ggcf.kr/archives/heritage/%EC%9D%B8%EC%9E%AC-%ED%99%8D%EC%A7%84-%EC%98%81%EC%A0%95](https://ggcf.kr/archives/heritage/%EC%9D%B8%EC%9E%AC-%ED%99%8D%EC%A7%84-%EC%98%81%EC%A0%95)


인재 홍진 영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인재 홍진 영정
인재 홍진 영정
이름인재 홍진 영정
구분유형문화재
지정 번호178
지정일2001년 9월 17일
시대조선시대
주소경기도 여주시
관리홍***
수량1폭
문화재청 ID21,0178000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