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프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테프 1세는 고대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호루스 이름 '세헤르타위'를 사용했다. 그는 스스로를 이집트의 통치자로 선언했으나, 다른 노마르크들의 도전을 받았으며, 특히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통치자들과 히에라콘폴리스의 노마르크 안크티피가 강력한 경쟁 세력이었다. 인테프 1세는 테베를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콥토스, 덴데라, 히에라콘폴리스를 지배하에 두었으며, 테베 왕국은 아비도스 인근까지 북쪽으로 영토를 넓혔다. 그의 무덤은 엘-타리프에 위치한 사프 엘-다와바에 있으며, 거대한 안뜰과 장례 예배당, 매장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1세기 파라오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1세기 파라오 -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2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내전 끝에 이집트를 통일하고 중앙 집권화 정책과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고, 데이르 엘 바흐리에 혁신적인 장례 사원을 건설하여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 -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2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내전 끝에 이집트를 통일하고 중앙 집권화 정책과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고, 데이르 엘 바흐리에 혁신적인 장례 사원을 건설하여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22세기 파라오 - 페피 2세
페피 2세는 6세에 이집트 파라오로 즉위하여 약 94년간 통치하며 고왕국의 쇠퇴, 지방 세력 부상, 중앙 정부 통제력 약화 등의 특징을 보였고, 어린 시절 어머니와 재상의 보좌를 받았으며, 사카라에 피라미드 단지를 건설했다. - 기원전 22세기 파라오 - 니토크리스
니토크리스는 헤로도토스와 마네토의 기록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고대 이집트 여왕으로, 형제 복수, 살해, 자살 등의 이야기와 함께 이집트 제6왕조 마지막 통치자이자 멘카우레 피라미드 건설자로 묘사되지만 실존 여부는 논쟁 중이며 현대 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고 있다.
인테프 1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인테프 1세 |
다른 이름 | 안테프 이뇨테프 안요테프 에뇨테프 |
호루스 이름 | 세헤르타위 |
호루스 이름 (로마자 표기) | Seḥertawy |
호루스 이름 (의미) | 두 땅에 평화를 가져오는 자 |
즉위명 | 인테프 (라의 아들) |
즉위명 (로마자 표기) | Sa-Re Intef |
즉위명 (의미) | 라의 아들, 인테프 (그의 아버지가 그를 데려왔다) |
아버지 | 멘투호테프 1세 (추정) |
어머니 | 네페루 1세 |
왕조 | 이집트 제11왕조 |
매장지 | 엘-타리프의 사프 무덤 (사프 엘-다우바) |
통치 기간 | |
기간 | 기원전 2134년 ~ 기원전 2118년 (4년 ~ 16년) 또는 기원전 2120년 또는 기원전 2070년 경 |
전임자 | 멘투호테프 1세 |
후임자 | 인테프 2세 |
2. 통치
인테프 1세는 '두 땅의 평화를 만드는 자'라는 뜻의 호루스 이름인 '세헤르타위'를 사용하며 파라오로 즉위했다.[1][4][8] 그는 북쪽 이웃과의 전쟁에 휘말렸다. 테베 사막 도로 조사에서 테베 북서쪽 게벨 자우티에서 발견된 낙서에는 "라의 아들 인테프의 공격 부대"가 언급되어 있다.[4][10] 이 비문은 콥티테 노마르크 자우티와 싸우던 인테프 1세의 군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우티가 세운 근처의 닳아버린 석비에는 "다른 노메의 통치자가 내 노메와 싸우기 위해 왔을 때 봉쇄했다..."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4]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 통치자가 인테프 1세 또는 그의 후계자 인테프 2세일 것으로 추정된다.[4]
2. 1. 왕위 계승 및 배경

세헤르타위 인테프 1세는 그의 왕조에서 파라오 칭호를 얻은 첫 번째 구성원이며, 호루스 이름 '''세헤르타위'''는 '"두 땅의 평화를 만드는 자"', '"두 땅에 평온함을 가져온 자"', '"두 땅의 평화주의자"' 등으로 번역된다.[1][4][8] 인테프 1세의 부모는 멘투호테프 1세와 네페루 1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
인테프 1세는 두 개의 왕관을 가진 호루스 이름을 사용하며 스스로를 모든 이집트의 통치자로 선언했지만,[4] 그의 권위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통치자들과 그들의 강력한 동맹인 히에라콘폴리스의 노마르크이자 헤라클레오폴리스 왕조를 따르던 안크티피 등 다른 노마르크들의 도전을 받았다.[9] 인테프 1세는 테베의 왕위에 오른 후 아마도 테베(4번째) 노메만 통치했을 것이지만, 안크티피 또는 그의 후계자를 물리친 후 테베 남쪽의 세 개 노메를 엘레판틴까지, 북쪽으로는 콥티테 노메와의 경계선 남쪽의 모든 영토를 획득했다고 추정된다. 혹은, 인테프 1세의 전임자인 멘투호테프 1세가 이 영토를 획득했을 수도 있다.[4] 이 시기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부족하여 두 가설 모두 추측에 불과하다.
2. 2. 영토 확장 전쟁
세헤르타위 인테프 1세는 왕조에서 처음으로 파라오 칭호를 얻었으며, 호루스 이름 '''세헤르타위'''는 '"두 땅의 평화를 만드는 자"', '"두 땅에 평온함을 가져온 자"', '"두 땅의 평화주의자"' 등으로 번역된다.[1][4][8]
인테프 1세는 호루스 이름을 칭하며 스스로를 모든 이집트의 통치자로 선언했다.[4] 그러나 그의 권위는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의 통치자들과 그들의 동맹인 히에라콘폴리스의 노마르크 안크티피 등 다른 이집트 노마르크들의 도전을 받았다.[9] 인테프 1세는 즉위 초 테베(4번째) 노메만을 통치했지만, 안크티피 또는 그의 후계자를 물리치고 테베 남쪽의 세 개 노메(엘레판틴까지)와 북쪽으로는 콥티테 노메와의 경계선 남쪽 영토를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그의 전임자인 멘투호테프 1세의 업적일 수도 있다.[4] 이 시기는 역사적 기록이 부족하여 두 가설 모두 추측에 불과하다.
인테프 1세는 곧 북쪽 이웃과의 전쟁에 휘말렸다. 테베 사막 도로 조사에서 테베 북서쪽 게벨 자우티에서 발견된 낙서에는 "라의 아들 인테프의 공격 부대"가 언급되어 있다.[4][10] 이 비문은 콥티테 노마르크 자우티와 싸우던 인테프 1세의 군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우티가 세운 근처의 닳아버린 석비는 "다른 노메의 통치자가 내 노메와 싸우기 위해 왔을 때 봉쇄했다..."라고 보고하는데,[4]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다렐 베이커와 다른 이집트학자들은 이 통치자가 인테프 1세 또는 그의 후계자 인테프 2세라고 주장한다.[4] 자우티의 패배로 콥토스, 덴데라, 히에라콘폴리스의 세 노메가 테베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테베 왕국은 아비도스 근처까지 북쪽으로 250km 확장되었다.[4]
3. 무덤
인테프 1세의 장례 단지는 테베 맞은편 나일강 기슭의 엘-타리프 언덕에 굴착되었으며, 오늘날 사프 엘-다와바(Saff el-Dawaba)로 알려져 있다.[3][11] 엘-타리프 유적은 사프 무덤으로 알려진 세 개의 기념비적인 왕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한 무덤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와한크 인테프 2세의 무덤으로 밝혀졌지만, 사프 엘-다와바에는 비문이 없다. 그러나 엘-타리프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유형의 도자기가 출토되어 인테프 1세의 무덤으로 추정된다.[3][11]
3. 1. 구조
사프 엘-다와바는 300x 크기의 거대한 함몰된 안뜰로 구성되어 있으며, 언덕에 조각된 장례 예배당으로 이어지는 열주가 있고, 양쪽에 두 개의 방이 있다. 인테프 1세의 매장실은 장례 예배당 아래에 굴착되었다.[4]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6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Volume 2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간행물
Ancient Egyptian Chronology
https://www.scribd.c[...]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Pharaohs: Volume I - Predynastic to the Twentieth Dynasty 3300–1069 BC
Stacey International
2008
[5]
간행물
King Nebhepetre Menthuhotep: his monuments, place in history, deification and unusual representations in the form of gods
1963
[6]
간행물
op. cit.
[7]
서적
Theban Desert Road Survey in the Egyptian Western Deser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Oxford
1992
[9]
간행물
[10]
웹사이트
Theban Desert Road Survey
http://www.yale.edu/[...]
[11]
서적
Old and Middle Kingdom Theban Tombs
2009
[1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Oxford
1992
[13]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