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후배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후배양은 인후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주로 바이러스가 원인인 인후염과 달리 세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면봉으로 인후 부위를 닦아 검체를 채취하거나 소금물 가글 후 뱉어내는 방법으로 검체를 채취한다. 채취된 검체는 배양 과정을 거쳐 원인균을 확인하며, Streptococcus pyogenes 배양에는 18~24시간이 소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생물학 기술 - 질-닐슨 염색
질-닐슨 염색은 결핵균 등 항산성 세균 검출을 위해 개발된 염색 방법으로, 석탄산 푹신으로 1차 염색 후 산성 알코올로 탈색하고 대비 염색하여 항산성 세균을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을 다른 색으로 염색한다. - 미생물학 기술 - 산화효소 시험
산화효소 시험은 세균의 시토크롬 산화효소 유무를 확인하여 산소 이용 여부를 판단하고, 산화환원 지시약의 색상 변화로 결과를 판독하여 세균 분류 및 감염병 진단에 활용하는 생화학적 검사법이다. - 의학 검사 - 신체검사
신체검사는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한 의료 행위로 병력 청취, 신체 진찰, 필요시 추가 검사 등을 포함하며, 정기 건강검진의 효과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 의학 검사 - 뇌자도
뇌자도(MEG)는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자기장을 감지하여 뇌 활동을 측정하는 신경 영상 기술이며, 뇌파 검사보다 공간 해상도가 뛰어나 뇌전증, 뇌종양 등의 진단 및 연구에 활용된다.
인후배양 | |
---|---|
개요 | |
목적 | 인후의 세균, 진균 감염 진단 |
정보 | |
관련 질병 데이터베이스 | 해당 없음 |
국제질병분류 (ICD-10) | 해당 없음 |
국제질병분류 (ICD-9) | 해당 없음 |
국제 종양학 질병 분류 (ICDO) | 해당 없음 |
메들라인플러스 | 해당 없음 |
이메디신 | 해당 없음 |
메시 ID | 해당 없음 |
독일 수술 및 시술 코드 (OPS301) | 해당 없음 |
진단 검사 코드 (LOINC) | 해당 없음 |
추가 정보 | |
참고 문헌 | Regoli M, Chiappini E, Bonsignori F, Galli L, de Martino M. Update on the management of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Ital J Pediatr. 2011 Jan;37:10. |
![]() |
2. 목적
인후배양은 인후염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인후염은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지만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도 있으며, 따라서 인후배양을 통해 세균 감염이 원인이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원인 병원체를 알아내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1]
인후배양 검사는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입 안을 검사하고, 면봉이나 세척액을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검체는 주로 면봉을 사용하여 채취하거나, 인후 세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채취한 검체는 배양 과정을 거쳐 원인균을 확인한다.
3. 기술
3. 1. 검체 채취 방법
인후배양 검체는 주로 면봉을 사용하여 채취한다. 검사를 받는 사람은 머리를 뒤로 젖히고 입을 벌리게 된다. 검사자는 설압자로 혀를 누르고 입과 목구멍을 검사하여 깨끗한 면봉으로 목구멍 뒤쪽, 구개편도, 빨갛게 염증이 생긴 부위 등을 문질러 표본을 얻는다. 검체를 채취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인후 세척이 있다.
3. 1. 1. 면봉 도말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입을 크게 벌리게 한 후, 설압자로 혀를 누르고 깨끗한 면봉으로 인후 뒤쪽, 구개편도, 염증 부위를 문질러 검체를 얻는다.[2][1]
3. 1. 2. 인후 세척
환자는 소량의 소금물로 가글을 하고 용기에 뱉어낸 액체를 검체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인후도말보다 많은 양의 검체를 얻을 수 있어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3. 2. 배양
채취한 검체는 배양 과정을 거쳐 원인균을 확인한다. 화농성연쇄상구균이나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을 배양할 수 있다.
3. 2. 1. 배양 시간
화농성연쇄상구균 배양에는 37°C(체온) 기준 18 ~ 24시간이 걸린다.[2]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 배양도 37°C(체온)에서 18~24시간이 소요된다.[1]
참조
[1]
논문
Update on the management of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2011-01
[2]
논문
Update on the management of acute pharyngitis in children
20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