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는꼬리호저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잡는꼬리호저속(Coendou)은 가시가 없는 잡는꼬리를 가진 호저류의 속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데 적응되어 있다. 앞발과 뒷발을 움켜쥘 수 있으며, 잎, 싹, 과일, 나무껍질 등을 먹고 산다. 잡는꼬리호저속은 17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종은 서식지, 외형, 생태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잡는꼬리호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아메리카호저과 |
속 | 잡는꼬리호저속 (Coendou) |
속 명명 | Lacépède, 1799 |
모식종 | Hystrix prehensilis |
모식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아속 | 종 참조 |
종 | |
학명 변동 | |
과거 속 | Sphiggurus Echinoprocta |
기타 | |
화석 범위 | 초기 플라이스토세 ~ 현재 |
2. 특징
잡는꼬리호저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시가 없는 잡는꼬리이다.[17] 앞발과 뒷발도 움켜쥘 수 있도록 발달해 있다. 팔다리 모두 잘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무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17][6]
먹이는 식물의 잎과 싹, 과일, 나무껍질, 뿌리 그리고 새싹이다. 농장 작물에게는 해로운 동물일 수 있다.[17][6] 야생에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아기같은" 소리를 내기도 한다.[17][6] 새끼는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나이가 들면서 날카롭고 단단하게 변한다. 다 자라면 천천히 움직이고, 위협을 받으면 땅에서 공처럼 구른다. 수명은 27년이다.[18][7]
2. 1. 신체적 특징
잡는꼬리호저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시가 없는 잡는꼬리이다.[17] 앞발과 뒷발도 움켜쥘 수 있도록 발달해 있다.[17] 팔다리 모두 잘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무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17][6] 먹이는 식물의 잎과 싹, 과일, 나무껍질, 뿌리 그리고 새싹이다.[17][6] 농장 작물에게는 해로운 동물일 수 있다.[17] 야생에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아기같은" 소리를 내기도 한다.[17][6] 새끼는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나이가 들면서 날카롭고 단단하게 변한다.[18][7] 다 자라면 천천히 움직이고, 위협을 받으면 땅에서 공처럼 구른다.[18][7] 수명은 27년이다.[18][7]2. 2. 생태적 특징
잡는꼬리호저류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시가 없는 잡는꼬리이다.[17] 앞발과 뒷발도 움켜쥘 수 있도록 발달해 있다.[17] 팔다리 모두 잘 기어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나무 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다.[17]먹이는 식물의 잎과 싹, 과일, 나무껍질, 뿌리 그리고 새싹이다.[17] 농장 작물에게는 해로운 동물일 수 있다.[17] 야생에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독특한 "아기같은" 소리를 내기도 한다.[17] 새끼는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태어나며, 나이가 들면서 날카롭고 단단하게 변한다.[18] 다 자라면 천천히 움직이고, 위협을 받으면 땅에서 공처럼 구른다.[18] 수명은 27년이다.[18]
2. 3. 수명
3. 하위 종
잡는꼬리호저속(''Coendou'')은 1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16]
- 바투리테호저 (''C. baturitensis'')[19][20][21]
- 이색가시호저 (''C. bicolor'')
- 줄무늬난쟁이호저 (''C. ichillus'')
- 바이아호저 (''C. insidiosus'')
- 검은꼬리털난쟁이호저 (''C. melanurus'')
- 멕시코털난쟁이호저 (''C. mexicanus'')
- 검은난쟁이호저 또는 쿠프먼호저 (''C. nycthemera'')
- 브라질호저 (''C. prehensilis'')
- 부분탈색털난쟁이호저 (''C. pruinosus'')
- 안데스호저 (''C. quichua'')
- 루스말렌난쟁이호저 (''C. roosmalenorum'')
- 로트실트호저 (''C. rothschildi'')
- 아마존호저 (''C. rufescens'')
- 산타마르타호저 (''C. sanctamartae'')
- 호프호저 (''C. speratus'')[22]
- 파라과이털난쟁이호저 (''C. spinosus'')
- 갈색털난쟁이호저 (''C. vestitus'')
- 아마존긴꼬리호저(''C. longicaudatus'')
- 꼬리자루호저(''C. rufescens'')
3. 1. 현존하는 종
잡는꼬리호저속(''Coendou'')은 17종으로 이루어져 있다.[16]- 바투리테호저 (''C. baturitensis'')[19][20][21]
- 이색가시호저 (''C. bicolor'')
- 줄무늬난쟁이호저 (''C. ichillus'')
- 바이아호저 (''C. insidiosus'')
- 검은꼬리털난쟁이호저 (''C. melanurus'')
- 멕시코털난쟁이호저 (''C. mexicanus'')
- 검은난쟁이호저 또는 쿠프먼호저 (''C. nycthemera'')
- 브라질호저 (''C. prehensilis'')
- 부분탈색털난쟁이호저 (''C. pruinosus'')
- 안데스호저 (''C. quichua'')
- 루스말렌난쟁이호저 (''C. roosmalenorum'')
- 로트실트호저 (''C. rothschildi'')
- 아마존호저 (''C. rufescens'')
- 산타마르타호저 (''C. sanctamartae'')
- 호프호저 (''C. speratus'')[22]
- 파라과이털난쟁이호저 (''C. spinosus'')
- 갈색털난쟁이호저 (''C. vestitus'')
- 아마존긴꼬리호저(''C. longicaudatus'')
- 꼬리자루호저(''C. rufescens'')
참조
[1]
웹사이트
"''Coendou'' in the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2019-03-09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w World Porcupines (Rodentia, Erethizontidae): Implications for Taxonomy,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http://digitallibrar[...]
2013-02
[6]
문서
[7]
문서
[8]
논문
A new species of porcupine from the Baturité range
http://periodicos.uf[...]
2013-09-12
[9]
웹사이트
New Discovery: Porcupine Species Identified in Brazil
http://newswatch.nat[...]
National Geographic
2013-12-20
[10]
웹사이트
Coendou baturitensis: New Porcupine Discovered in Brazil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3-12-20
[11]
논문
A new species of porcupine, genus ''Coendou'' (Rodentia: Erethizontidae) from the Atlantic forest of northeastern Brazil
http://www.mapress.c[...]
2013-04-05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ew World Porcupines (Rodentia, Erethizontidae): Implications for Taxonomy, Morphological Evolution, and Biogeography
http://digitallibrar[...]
2013-02
[17]
논문
Rodents for comparative aging studies: from mice to beavers
2008-09
[18]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
논문
A new species of porcupine from the Baturité range
http://periodicos.uf[...]
2013-09-12
[20]
웹인용
New Discovery: Porcupine Species Identified in Brazil
http://newswatch.nat[...]
National Geographic
2013-12-20
[21]
웹인용
Coendou baturitensis: New Porcupine Discovered in Brazil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3-12-20
[22]
논문
A new species of porcupine, genus ''Coendou'' (Rodentia: Erethizontidae) from the Atlantic forest of northeastern Brazil
http://www.mapress.c[...]
2013-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