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미있는 라디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미있는 라디오는 2000년대 초반 MBC에서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코너를 통해 시사 풍자, 콩트, 퀴즈, 음악 등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했다. 시즌 1과 시즌 2로 구성되었으며, 최양락이 진행을 맡았다. 프로그램은 진행자의 하차, 막말 방송, 간접 광고, 정치 풍자 등으로 인해 논란이 있었으며, 2003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 우수상 남자 부문에서 최양락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 - MBC 표준FM
    MBC 표준FM은 1959년 부산문화방송으로 개국하여 1961년 수도권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이며, 뉴스, 시사, 교양, 오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24시간 방송한다.
  • 문화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 - MBC 초대석 (라디오 프로그램)
    MBC 초대석은 1994년부터 2003년까지 MBC 표준FM에서 김한길, 오한숙희, 한선교, 안정효, 박경재, 유시민, 이득렬, 차인태, 장원재 등의 진행으로 방송된 라디오 인터뷰 프로그램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재미있는 라디오
프로그램 정보
제목최양락의 재미있는 라디오
원제재미있는 라디오
분야코미디
방송 시간매주 월~금 밤 8시 30분 ~ 10시
방송 기간2002년 4월 1일 ~ 2016년 5월 27일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사문화방송
방송 채널MBC 표준FM
진행자최양락
연출배준 (작가: 허향아, 김효정, 윤보라)
출연자성우 서혜정, 성우 이철용, 로버트 할리, 사유리, 배기성, 오나미, 임진모, 김경식, 전영미, 이수지, 민지영, 임방글 변호사, 스포츠 평론가 이종훈, 허일후 아나운서
외부 링크MBC 표준FM 재미있는 라디오 홈페이지

2. 종영 코너

시즌 12000년대 초반, 사회 현상과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코너들이 인기를 끌었다.

'''시사/풍자'''

당시 사회적 이슈를 유머와 풍자를 통해 다루었다.


  • 뽕짝극장
  • 밤이면 밤마다
  • 전국 라디오 말까기협회
  • 재미있는 초대석
  • 김정렬의 재미있는 논평
  • 대충토론
  • 섹션TV 뉴스통신
  • 뉴스디스크
  • 우리의 광고를 찾아서
  • 명량대국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지금 딴프로는
  • 취객뉴스
  • 최양락의 러빙유


'''콩트/드라마'''

이 섹션에서는 콩트와 드라마를 통해 청취자들에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와 웃음을 전달하였다.

  • 있을 때 잘해 오빠는 짱이야!
  • 공포의 조기 축구단
  • 이제는 부를수 있다
  • 엄마없는 하늘아래
  • 뜰수도 있었는데...
  • 재미있는 꽃배달
  • 양락이의 옛날신문 훝어보기
  • 갈수도 있었는데...
  • 내 인생은 꽁트야
  • 한발 늦은 드라마 (내이름은 김상순/수사반장)
  • 님처럼 남처럼
  • 상감마마 납시오
  • 남녀본색
  • 양락이의 일기
  • 부자유별
  • 산전수전클럽
  • 팔불출글럽
  • 오! 마님
  • 다팔아상사


'''퀴즈/토크'''

청취자 참여를 유도하는 퀴즈와 토크쇼 형식을 도입하여 방송의 재미를 더했다.

  • 3김퀴즈
  • 대통퀴즈
  • 유쾌한 초대석
  • 뚜껑쇼
  • 서마담 퀴즈


'''음악/사연'''

음악과 사연을 결합하여 청취자들의 감성을 자극했다.

  • 사연있는 노래방
  • 이 노래에 빠져봐
  • 이 가사가 수상하다 이.가.수
  • 램프의 락이
  • 노래가 얽힌 사연(노사연)


'''기타'''

기타 형식의 코너들이 있었다.

  • 고영수의 빨간 우체통
  • 잠시만
  • 이젠 좀 떠떠떠!
  • 바른말 웃긴말
  • 한뼘동화
  • 로버트 할리의 누워서 떡먹기 영어
  • 김유리의 세계는 그리고 너네는
  • 촐랑맨
  • 일요일은 참으세요 (Naver on sunday!)
  • 오다가다쇼
  • 김주철의 1분 오지랖
  • 힐링라디오 괜찮아유
  • 남자 그리고 봄
  • 모락모락 음모론

시즌 2시즌 1의 인기를 이어받아 새로운 코너들이 추가되었다.

  • 우리 양락이가 달라졌어요
  • 얼떨뉴스
  • 양락뉴스
  • 먼데이 서울
  • 초능력내친구
  • 물 건너온 상담소
  • 출발! 드라마여행
  • 사랑은 노래를 타고
  • 신 인간시장
  • 출발! 라디오 문학관
  • 이 밤의 끝을 잡고
  • 신장개업 야간식당
  • 복면작가
  • 재미있는 스포츠
  • 재미있는 탐구생활
  • 사랑합니다 청취자님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철
  • 개인의 취향
  • 최 부장의 음악살롱
  • 어른이 명작동화
  • 양락이의 음악다방
  • 노래가 얽힌 사연(노사연)
  • 서마담 퀴즈
  • 모락모락 음모론
  • 사람과 전쟁(사람과 전쟁 법률사무소, 부부클리닉 사람과 전쟁)

2. 1. 시즌 1

2000년대 초반, 사회 현상과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코너들이 인기를 끌었다.
시사/풍자당시 사회적 이슈를 유머와 풍자를 통해 다루었다.

  • 뽕짝극장
  • 밤이면 밤마다
  • 전국 라디오 말까기협회
  • 재미있는 초대석
  • 김정렬의 재미있는 논평
  • 대충토론
  • 섹션TV 뉴스통신
  • 뉴스디스크
  • 우리의 광고를 찾아서
  • 명량대국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지금 딴프로는
  • 취객뉴스
  • 최양락의 러빙유

콩트/드라마이 섹션에서는 콩트와 드라마를 통해 청취자들에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와 웃음을 전달하였다.

  • 있을 때 잘해 오빠는 짱이야!
  • 공포의 조기 축구단
  • 이제는 부를수 있다
  • 엄마없는 하늘아래
  • 뜰수도 있었는데...
  • 재미있는 꽃배달
  • 양락이의 옛날신문 훝어보기
  • 갈수도 있었는데...
  • 내 인생은 꽁트야
  • 한발 늦은 드라마 (내이름은 김상순/수사반장)
  • 님처럼 남처럼
  • 상감마마 납시오
  • 남녀본색
  • 양락이의 일기
  • 부자유별
  • 산전수전클럽
  • 팔불출글럽
  • 오! 마님
  • 다팔아상사

퀴즈/토크청취자 참여를 유도하는 퀴즈와 토크쇼 형식을 도입하여 방송의 재미를 더했다.

  • 3김퀴즈
  • 대통퀴즈
  • 유쾌한 초대석
  • 뚜껑쇼
  • 서마담 퀴즈

음악/사연음악과 사연을 결합하여 청취자들의 감성을 자극했다.

  • 사연있는 노래방
  • 이 노래에 빠져봐
  • 이 가사가 수상하다 이.가.수
  • 램프의 락이
  • 노래가 얽힌 사연(노사연)

기타기타 형식의 코너들이 있었다.

  • 고영수의 빨간 우체통
  • 잠시만
  • 이젠 좀 떠떠떠!
  • 바른말 웃긴말
  • 한뼘동화
  • 로버트 할리의 누워서 떡먹기 영어
  • 김유리의 세계는 그리고 너네는
  • 촐랑맨
  • 일요일은 참으세요 (Naver on sunday!)
  • 오다가다쇼
  • 김주철의 1분 오지랖
  • 힐링라디오 괜찮아유
  • 남자 그리고 봄
  • 모락모락 음모론

2. 1. 1. 시사/풍자

당시 사회적 이슈를 유머와 풍자를 통해 다루었다.

2. 1. 2. 콩트/드라마

이 섹션에서는 콩트와 드라마를 통해 청취자들에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와 웃음을 전달하였다.

2. 1. 3. 퀴즈/토크

청취자 참여를 유도하는 퀴즈와 토크쇼 형식을 도입하여 방송의 재미를 더했다.

2. 1. 4. 음악/사연

음악과 사연을 결합하여 청취자들의 감성을 자극했다.

2. 1. 5. 기타

기타 형식의 코너들이 있었다.

2. 2. 시즌 2

시즌 1의 인기를 이어받아 새로운 코너들이 추가되었다.

  • 우리 양락이가 달라졌어요
  • 얼떨뉴스
  • 양락뉴스
  • 먼데이 서울
  • 초능력내친구
  • 물 건너온 상담소
  • 출발! 드라마여행
  • 사랑은 노래를 타고
  • 신 인간시장
  • 출발! 라디오 문학관
  • 이 밤의 끝을 잡고
  • 신장개업 야간식당
  • 복면작가
  • 재미있는 스포츠
  • 재미있는 탐구생활
  • 사랑합니다 청취자님
  •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철
  • 개인의 취향
  • 최 부장의 음악살롱
  • 어른이 명작동화
  • 양락이의 음악다방
  • 노래가 얽힌 사연(노사연)
  • 서마담 퀴즈
  • 모락모락 음모론
  • 사람과 전쟁(사람과 전쟁 법률사무소, 부부클리닉 사람과 전쟁)

2. 2. 1. 시사/풍자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내용이 없기 때문입니다.

2. 2. 2. 콩트/드라마

(내용 없음)

2. 2. 3. 퀴즈/토크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음)

2. 2. 4. 음악/사연

아무 내용이 없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2. 2. 5. 기타

(내용 없음)

3. 논란

최양락이 별다른 설명 없이 부적절하게 하차된 것이 알려지면서[6]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언론의 자유와 방송 제작의 자율성 침해라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최양락의 하차 경위는 현재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재미있는 라디오'는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고성을 지르거나 저속한 표현, 반말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막말' 방송을 하여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으며[7], 퀴즈코너에서 DJ나 담당 프로듀서, 같은 방송사 다른 프로그램 진행자의 저서 등을 소재로 퀴즈를 출제해 '주의' 조치를 받았다[8]. 김재철 전 MBC 사장을 풍자한 것이 빌미가 되어[9] 담당 PD가 정직 6개월 징계를 받았다가 3개월로 줄었지만, 훗날 무효로 판결됐다.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고성을 지르거나 저속한 표현, 반말을 지나치게 사용하여 방송의 품격을 떨어뜨렸다는 비판을 받았다.[7] 이로 인해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7] 퀴즈 코너를 진행하면서 DJ의 저서, 담당 프로듀서의 저서, 같은 방송사 다른 프로그램 진행자의 저서 등을 소재로 퀴즈를 출제해 '주의' 조치를 받았다.[8] 이는 공영 방송의 상업화를 경계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김재철 전 MBC 사장을 풍자한 것이 문제가 되어[9] 담당 PD가 정직 6개월 징계를 받았다가 3개월로 줄었지만, 훗날 법원에서 무효 판결을 받았다.[9] 이는 정치 권력이 방송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3. 1. 진행자 하차 논란

최양락이 별다른 설명 없이 부적절하게 하차된 것이 알려지면서[6]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언론의 자유와 방송 제작의 자율성 침해라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최양락의 하차 경위는 현재까지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재미있는 라디오'는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고성을 지르거나 저속한 표현, 반말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막말' 방송을 하여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으며[7], 퀴즈코너에서 DJ나 담당 프로듀서, 같은 방송사 다른 프로그램 진행자의 저서 등을 소재로 퀴즈를 출제해 '주의' 조치를 받았다[8]. 김재철 전 MBC 사장을 풍자한 것이 빌미가 되어[9] 담당 PD가 정직 6개월 징계를 받았다가 3개월로 줄었지만, 훗날 무효로 판결됐다.

3. 2. 막말 방송 논란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고성을 지르거나 저속한 표현, 반말을 지나치게 사용하여 방송의 품격을 떨어뜨렸다는 비판을 받았다.[7] 이로 인해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7]

3. 3. 간접 광고 논란

퀴즈 코너를 진행하면서 DJ의 저서, 담당 프로듀서의 저서, 같은 방송사 다른 프로그램 진행자의 저서 등을 소재로 퀴즈를 출제해 '주의' 조치를 받았다.[8] 이는 공영 방송의 상업화를 경계하는 목소리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3. 4. 정치 풍자 논란

김재철 전 MBC 사장을 풍자한 것이 문제가 되어[9] 담당 PD가 정직 6개월 징계를 받았다가 3개월로 줄었지만, 훗날 법원에서 무효 판결을 받았다.[9] 이는 정치 권력이 방송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다는 비판으로 이어졌다.

4. 수상 경력

2003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 우수상 남자 부문은 최양락이 수상했다.

참조

[1] 뉴스 최양락, “슬럼프 이겨낸 원동력은 가족” https://entertain.na[...] OSEN 2009-02-16
[2] 뉴스 [방송가] MBC, 전국 알까기 제왕전 개최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09-19
[3] 뉴스 [연예가 블랙박스]금연바람속에 살아있는 황제 https://entertain.na[...] 동아일보 2002-09-02
[4] 뉴스 최양락 "웃음의 진수 보여드리죠" http://www.koreatime[...] 한국일보(워싱턴DC) 2001-01-11
[5] 뉴스 故 배삼룡 이주일 김형곤, 대한민국 슬랩스틱 코미디 역사다! https://www.newsen.c[...] 뉴스엔 2010-02-23
[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djournal[...]
[7] 뉴스 저속한 '몽땅내사랑' 시청자에 대한 사과 중징계 https://entertain.na[...] 뉴시스 2011-06-20
[8] 뉴스 '뉴스Y 13' 이것은 사실상 광고, 방통심의위 철퇴 https://entertain.na[...] 뉴시스 2013-09-27
[9] 뉴스 김재철 풍자 '최양락 라디오' PD 징계무효 확정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5-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