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니트-3F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니트-3F는 유즈노예가 설계한 발사체이다.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45번 발사장에서 발사되며, 2011년 1월 20일에 최초 발사되었다. 기존 제니트-2M의 로켓을 사용하며, 3단 로켓은 제니트-3SL 및 제니트-3SLB의 Block-DM 대신 라보츠킨 설계국의 Fregat-SB로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니트 로켓 - 제니트-2
    제니트-2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37회 발사된 15톤급 인공위성 발사 로켓으로, 소련에서 개발되었으며, 1단에 RD-171 엔진, 2단에 RD-120 및 RD-8 엔진을 사용하고 대한민국 나로호 개발에 기술적 영향을 미쳤다.
  • 제니트 로켓 - 제니트-3SLB
    제니트-3SLB는 1980년대에 개발된 제니트 로켓의 파생형 모델 중 하나이며, 2단과 3단 엔진을 사용하고 여러 차례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 우크라이나의 우주발사체 - 제니트-2
    제니트-2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37회 발사된 15톤급 인공위성 발사 로켓으로, 소련에서 개발되었으며, 1단에 RD-171 엔진, 2단에 RD-120 및 RD-8 엔진을 사용하고 대한민국 나로호 개발에 기술적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우주발사체 - 제니트 로켓
    제니트 로켓은 1985년에 처음 발사된 궤도 운반 로켓으로, RD-171과 RD-120 엔진을 사용하며, 에네르기아 로켓 부스터 및 해상 발사 프로젝트에도 활용되었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나로호 1단 엔진에도 사용되었다.
제니트-3F
제원
제니트-3F
제니트-3F
기능운반 로켓
제조사유즈마시
원산지우크라이나
높이59.6 m
지름3.9 m
질량471,000 kg
3단
계열제니트
상태퇴역
최초 발사2011년 1월 20일 (엘렉트로-L No.1)
마지막 발사2017년 12월 26일 (앙고삿 1)
발사장바이코누르, 45/1 발사대
탑재량
GTO4,000 kg1
1단
이름제니트-2SB 1단2
길이32.9 m
지름3.9 m
빈 무게27,564 kg
총 무게354,350 kg
추진제 질량RG-1: 90,219 kg LOX: 236,567 kg
엔진1 × RD-171
해면 고도 추력7,257 kN
진공 추력7,908 kN
해면 고도 비추력309.5 isp
진공 비추력337.2 isp
연소 시간140–150 초
연료액체 산소/RG-1
2단
이름제니트-2SB 2단2
길이10.4 m
지름3.9 m
빈 무게8,307 kg
총 무게90,794 kg
추진제 질량RG-1: 23,056 kg LOX: 59,431 kg
엔진1 × RD-120 1 × RD-8
추력RD-120: 912 kN RD-8: 79.4 kN
비추력RD-120: 350 isp RD-8: 342.8 isp
연소 시간360–370 초
연료액체 산소 / RG-1
3단
이름프레갓-SB
엔진1 × S5.92
추력19.6 kN
비추력327 isp
연소 시간877 초
연료/ UDMH

2. 역사

유즈노예가 설계했으며,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의 45번 발사장에서 발사된다. 2011년 1월 20일에 최초로 발사되었다.

기존의 제니트-2M 로켓을 기반으로 하며, 3단 로켓만 변경되었다. 제니트-3SL과 제니트-3SLB에서 사용하던 3단 로켓인 Block-DM 대신, 러시아 라보츠킨 설계국이 개발한 Fregat-SB로 교체되었다. 두 3단 로켓의 성능 비교는 다음과 같다.

구분추력비추력연소시간연료
Block-DM8ton352초650초액체산소/등유
Fregat-SB2ton333초1350초사산화이질소/UDMH


3. 발사 목록

제니트-3F는 총 4차례 발사되었으며, 모든 발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4] 첫 발사는 2011년 1월 20일 엘렉트로-L 1호 위성을 정지 궤도(GEO)에 올린 것이며, 마지막 발사는 2017년 12월 26일 앙고샛 1호 위성을 같은 궤도에 올린 것이다.[4] 주요 탑재체로는 엘렉트로-L 위성 2기, 스펙트르-R 우주망원경, 앙고샛 1호 통신위성 등이 있다.[4]

3. 1. 상세 발사 내역

12:29엘렉트로-L 1호GEO성공22011년 7월 18일
02:31스펙트르-RHEO성공32015년 12월 11일
13:45엘렉트로-L 2호GEO성공42017년 12월 26일
19:00앙고샛 1호GEO성공참고 자료:[4]


참조

[1] 웹사이트 Zenit-3SLBF https://yuzhnoye.com[...] Yuzhnoye
[2] 웹사이트 Zenit-2SB http://www.federalsp[...] 2016-04-07
[3] 웹사이트 Russia meteo satellite Electro-L successfully orbited http://www.itar-tass[...] ITAR-TASS 2011-01-21
[4] 웹사이트 Zenit family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0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