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엽병연대 (독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엽병연대 (독일)는 2006년에 창설되어 2011년에 해산된 독일 연방군의 엽병 연대였다. 코소보와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었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 슈테펜 크노스카 상사가 용맹 훈장을 수여받았다. 연대는 10개의 중대로 구성되었으며, 기계화된 경보병 부대로서 다양한 장비를 운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방위군 육군의 부대 및 편성 - 제200원거리수색교도중대
    제200원거리수색교도중대는 독일 연방군에서 특수 작전 지원, 특수 부대 훈련, 정보 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한 부대로, 2014년 해체되어 인력이 특수작전사령부에 통합되었다.
  • 독일의 공수부대 - 강하엽병
    강하엽병은 1936년 독일에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후 독일 연방군에서 운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특수 작전 사단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한다.
  • 독일의 공수부대 - 공중기동작전사단
    공중기동작전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로 헬기 등 공중 전력을 활용하여 신속한 기동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199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다양한 활동을 수행해왔으나 작전 수행 능력, 예산 낭비, 지휘 체계 문제 등 여러 논란이 있다.
제1엽병연대 (독일)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개요
제1엽병연대 휘장
휘장
종류공중 강습
군종독일 육군
역할공중 강습 보병
규모약 1,800명
존속 기간2006년 – 2015년
주둔지헤센주슈바르첸보른 (크뉘르)
상위 부대제21기갑여단
지휘관
주목할 만한 지휘관중령 카르스텐 크래머
참전 기록
전투 및 작전코소보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쿤두즈 주 공세

2. 역사

제1엽병연대는 헬리본을 주체로 하는 경보병 부대로 창설되었지만, 지상 이동에는 장갑차를 배치하여 기계화하였다. 이로써 제1항공기동여단은 다른 여단의 보병 부대 지원 없이 독자적으로 지상 근접 전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2006년 ~ 2008년)

2006년 말, 구 제152장갑척탄병대대와 구 제353엽병교육대대를 통합하여 제1엽병연대가 창설되었다. 2008년까지 계획된 규모로 성장했으며, 2008년 3월에는 코소보에서 진행 중인 KFOR 군대의 작전 예비대로서 600명의 병력을 배치하는 첫 번째 작전 임무를 수행했다.[2]

2. 2. 아프가니스탄 파병 (2009년 ~ 2010년)

2009년, 연대 전체가 12개월 동안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제1엽병연대는 ISAF 북부 지역 사령부의 신속대응군으로서 쿤두즈주 북부 지역에서 반군과 격렬한 전투를 치렀다.[3]

2009년 6월 7일, 상사 슈테펜 크노스카는 아프가니스탄 쿤두즈주에서 벌어진 매복 공격 중 날아오는 총탄으로부터 심각한 부상을 입은 전우를 구출했다. 부상자는 총에 맞아 쓰러져 무방비 상태로 땅에 누워 있었고, 크노스카는 적의 공격 속으로 돌진하여 총알에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안전한 곳으로 끌고 갈 수 있었다.[4] 2010년 1월 22일, 크노스카 상사는 이 공로로 독일 최고 무공 훈장인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2. 3. 해산 및 재편 (2011년 ~ 2015년)

2011년 10월 독일 연방 국방부는 독일군 재편 및 감축을 발표했다. 그 결과, 제1엽병연대는 해산되었다. 하멜부르크 주둔 부대는 완전히 해산되었고, 슈바르첸보른에서는 2개 중대가 해산되었다. 2015년 7월 1일, 잔여 병력은 새로 창설된 제1엽병대대를 구성했다.[5]

3. 부대 구조

제1엽병연대는 다른 독일 연방 육군 연대와 달리 대대급 제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중대로 구성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평시 연대 병력은 약 1,370명이다.

3. 1. 중대 구성

제1엽병연대는 대대로 나뉘지 않고 10개의 중대로 직접 구성되었다. 각 중대는 개입 전력(EK), 안정화 전력(SK), 지원 전력(UK)으로 지정되었다. 대부분의 중대는 슈바르첸보른에 주둔했지만, 제4, 제6, 제9 중대는 함멜부르크에 주둔했다.

중대역할주둔지비고
제1중대본부·보급 지원 중대 (EK, SK)슈바르첸보른
제2중대경보병 중대 (EK)슈바르첸보른
제3중대경보병 중대슈바르첸보른교육 중대
제4중대경보병 중대 (EK)함멜부르크APC 장비
제5중대중보병 중대 (EK)슈바르첸보른
제6중대중보병 중대 (SK)함멜부르크
제7중대공병 중대 (EK)슈바르첸보른
제8중대경(輕) 대공 중대 (EK)슈바르첸보른
제9중대보급 중대 (EK)함멜부르크
제10중대출동 지원 중대 (UK)슈바르첸보른


3. 2. 세부 중대 목록

제1엽병연대는 다른 많은 연대와 달리 대대로 나뉘지 않고 직접 중대로 구성되며, 10개의 중대로 이루어져 있다. 각 중대는 개입 전력(EK), 안정화 전력(SK), 지원 전력(UK)으로 지정된다. 제1엽병연대의 대부분 중대는 슈바르첸보른에 주둔하고 있지만, 제4, 제6 및 제9 중대는 함멜부르크에 주둔하고 있다.

중대역할 및 구성비고
제1중대본부·보급 지원 중대 (EK, SK)
제2중대경보병 중대 (EK)
제3중대교육 중대
제4중대경보병 중대 (EK)APC 장비
제5중대중보병 중대 (EK)
제6중대중보병 중대 (SK)
제7중대공병 중대 (EK)
제8중대경(輕) 대공 중대 (EK)
제9중대보급 중대 (EK)
제10중대출동 지원 중대 (UK)


4. 장비

제1엽병연대는 경보병이지만 기계화되어 다양한 장비를 사용했다.

하위 섹션에서 지상 장비를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공중 장비에 대한 협력 관계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제1 공수여단 예하 경수송 헬기 연대( 파스베르크 주둔) 및 상위 사단 소속 3개 중수송 헬기 연대(라인, 라우프하임, 니더슈테텐 주둔)가 공중 강습 작전을 지원했다.[1] 이들은 UH-1D, CH-53G(A)(S), NH90 등의 헬기를 운용했다.[1]

4. 1. 지상 장비

볼프 경차량은 독일군의 표준 수송 다목적 차량으로, 제1엽병연대는 지상 기동을 위해 이 차량을 사용했다.[1]

2개의 기계화 경보병 중대는 비젤 장갑 무기 운반차를 사용했다.[1] 이 차량은 BGM-71 TOW 대전차 유도탄, 20mm 자동 기관포, FIM-92 스팅어 시스템(LeFlaSys라고 불림) 또는 120mm 박격포를 장착한 1, 2형 변종으로 무장했다.[1]

또한 연대는 일정 수의 GTK 복서 장갑 전투 차량과 문고 ESK 장갑 다목적 수송 차량을 받도록 계획되었다.[1]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장비들을 운용했다.

  • 푸흐스 장갑 수송차[1]
  • 복서 장륜 장갑차[1]
  • 딩고 장륜 장갑차[1]
  • 뭉고 장륜 장갑차[1]
  • 비젤 1 공수전투차 (교육용 차량, TOW 대전차 미사일 탑재 차량, 20mm 기관포 탑재 차량)[1]
  • 비젤 2 공수전투차 (120mm 박격포 탑재 차량)[1]
  • 볼프 (군용차)[1]
  • 스팅어 미사일[1]

4. 2. 공중 장비 (협력)

제1 공수여단 내 파스베르크의 경수송 헬기 연대 10과 상위 사단의 라인의 중수송 헬기 연대 15, 라우프하임의 중수송 헬기 연대 25, 니더슈테텐의 수송 헬기 연대 30은 공중 강습 작전을 지원했다. 이들은 UH-1D 다목적 헬리콥터, CH-53G(A)(S) 중수송 헬리콥터, 일부 NH90 헬리콥터를 장비했고, 스팅어 미사일도 활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in Schritt in Richtung Zielstruktur - 1.500 neue Soldatinnen und Soldaten für die Panzerbrigade 21 "Lipperland" https://archive.toda[...] Federal Ministry of Defence 2013-06-16
[2] 뉴스 Bundeswehr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3] 뉴스 Bundeswehr press release https://archive.toda[...] Bundeswehr
[4] 뉴스 Bundeswehr press release https://archive.toda[...] Bundeswehr
[5] 간행물 Neues Stationierungskonzept der Bundeswehr http://www.bundesweh[...]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2012-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