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춘천시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 (1998년)
- 2.1. 신북읍 선거구
- 2.2. 동면 선거구
- 2.3. 서면 선거구
- 2.4. 사북면 선거구
- 2.5. 북산면 선거구
- 2.6. 중앙동·소낙동·소양동 선거구
- 2.7. 근화동·호반동 선거구
- 2.8. 후평1동 선거구
- 2.9. 후평2동 선거구
- 2.10. 후평3동 선거구
- 2.11. 사우동·우두동·사농동·신동 선거구
- 2.12. 동산면 선거구
- 2.13. 신동면 선거구
- 2.14. 동내면 선거구
- 2.15. 남면 선거구
- 2.16. 남산면 선거구
- 2.17. 교동 선거구
- 2.18. 조운동 선거구
- 2.19. 약사동·죽림동 선거구
- 2.20. 효자1동 선거구
- 2.21. 효자2동 선거구
- 2.22. 효자3동 선거구
- 2.23. 석사동 선거구
- 2.24. 퇴계동 선거구
- 2.25. 온의동·삼천동·칠송동 선거구
- 참조
1. 개요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선거 결과는 1998년에 치러졌으며, 춘천시의 각 선거구별로 무소속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었다. 신북읍, 동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 중앙동·소낙동·소양동, 근화동·호반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사우동·우두동·사농동·신동,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산면, 효자2동, 석사동, 퇴계동, 온의동·삼천동·칠송동 선거구에서는 투표를 통해 당선자가 결정되었고, 남면, 교동, 조운동, 약사동·죽림동, 효자1동, 효자3동 선거구에서는 무투표 당선이 이루어졌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신북읍 선거구는 유권자 7,370명을 대상으로 선거를 치렀다. 무소속 안동철 후보가 1,903표(40.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동원 후보는 1,588표(34.19%), 무소속 이규섭 후보는 1,153표(24.8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644표였다.
2. 춘천시의회 지역구 선거 결과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392명이었다. 무소속 이성범 후보가 1,435표(66.7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용순 후보는 715표(33.25%)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면 선거구에서는 유권자 4,037명 중 정도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1,166표(40.11%)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용주 후보는 1,080표(37.15%), 오현근 후보는 661표(22.73%)를 득표하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북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427명이었다. 무소속 이승열 후보가 773표(44.4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중석 후보는 690표(39.70%), 무소속 김성기 후보는 275표(15.82%)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44명이었다. 무소속 이흥기 후보가 211표(37.3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홍성신 후보는 191표(33.80%)를, 무소속 송준원 후보는 163표(28.84%)를 얻었다. 투표수는 565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앙동·소낙동·소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810명이었다. 무소속 이건실 후보가 1,528표(39.2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백선열 후보는 1,477표(37.97%), 무소속 이태연 후보는 554표(14.24%), 무소속 박덕종 후보는 330표(8.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889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근화동·호반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18명이었다. 무소속 강청룡 후보가 1,686표(40.2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윤태 후보는 1,257표(30.00%), 무소속 진병직 후보는 1,247표(29.76%)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후평1동 선거구는 11,853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지윤선 후보가 3,594표(61.71%)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석범 후보는 2,230표(38.2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24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평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669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정재하 후보가 3,111표(51.7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태진 후보는 1,720표(28.59%), 무소속 조규연 후보는 1,185표(19.6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016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평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803명이었다. 무소속 정태섭 후보가 4,789표(50.3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병석 후보는 2,584표(27.14%), 무소속 정정복 후보는 2,147표(22.5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520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우동·우두동·사농동·신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350명이었다. 무소속 홍순극 후보가 1,655표(24.99%)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재수 후보는 1,306표(19.72%), 배홍섭 후보는 1,207표(18.22%), 성낙섭 후보는 1,008표(15.22%), 김정환 후보는 797표(12.03%), 김동환 후보는 648표(9.78%)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71명이었다. 무소속 고준식 후보가 703표(61.1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조오연 후보는 447표(38.8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50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동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351명이었다. 무소속 김희민 후보가 522표(28.8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병록 후보와 무소속 이호상 후보는 각각 460표(25.38%)를 얻었으며, 무소속 전제복 후보는 370표(20.41%)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내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279명이었다. 무소속 김종학 후보가 971표(34.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익수 후보는 929표(32.91%), 무소속 김대종 후보는 922표(32.67%)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류경균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산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주열 후보가 58.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3,288명이었으며, 김주열 후보는 1,256표를 획득하였다. 무소속 목영일 후보는 41.95%의 득표율로 908표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운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운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명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약사동·죽림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신종백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원혁 후보가 무투표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015명이었다. 무소속 박용수 후보가 3,046표(52.05%)를 얻어 2,805표(47.94%)를 얻은 무소속 이원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5,851표였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3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건옥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석사동 선거구는 유권자 12,9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무소속 이건종 후보가 3,210표(50.5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기태 후보는 3,139표(49.44%)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퇴계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52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일 후보가 4,544표(48.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근배 후보는 3,797표(40.44%)를, 무소속 송세권 후보는 1,047표(11.15%)를 얻었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온의동·삼천동·칠송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049명이었다. 무소속 최신철 후보가 3,248표(59.7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변보용 후보는 2,187표(40.23%)를 얻어 낙선했다.
2. 1. 신북읍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신북읍 선거구는 유권자 7,370명을 대상으로 선거를 치렀다. 무소속 안동철 후보가 1,903표(40.9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동원 후보는 1,588표(34.19%), 무소속 이규섭 후보는 1,153표(24.8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644표였다.
2. 2. 동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3,392명이었다. 무소속 이성범 후보가 1,435표(66.74%)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박용순 후보는 715표(33.25%)를 얻었다.
2. 3. 서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면 선거구에서는 유권자 4,037명 중 정도균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1,166표(40.11%)를 얻어 당선되었다. 김용주 후보는 1,080표(37.15%), 오현근 후보는 661표(22.73%)를 득표하였다.
2. 4. 사북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북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427명이었다. 무소속 이승열 후보가 773표(44.47%)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최중석 후보는 690표(39.70%), 무소속 김성기 후보는 275표(15.82%)를 얻었다.
2. 5. 북산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북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44명이었다. 무소속 이흥기 후보가 211표(37.34%)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홍성신 후보는 191표(33.80%)를, 무소속 송준원 후보는 163표(28.84%)를 얻었다. 투표수는 565표였다.
2. 6. 중앙동·소낙동·소양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앙동·소낙동·소양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6,810명이었다. 무소속 이건실 후보가 1,528표(39.29%)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백선열 후보는 1,477표(37.97%), 무소속 이태연 후보는 554표(14.24%), 무소속 박덕종 후보는 330표(8.4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889표였다.
2. 7. 근화동·호반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근화동·호반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7,818명이었다. 무소속 강청룡 후보가 1,686표(40.23%)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윤태 후보는 1,257표(30.00%), 무소속 진병직 후보는 1,247표(29.76%)를 얻었다.
2. 8. 후평1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춘천시의회 후평1동 선거구는 11,853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무소속 지윤선 후보가 3,594표(61.71%)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이석범 후보는 2,230표(38.28%)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5,824표였다.
2. 9. 후평2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평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669명이었다. 선거 결과, 무소속 정재하 후보가 3,111표(51.7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태진 후보는 1,720표(28.59%), 무소속 조규연 후보는 1,185표(19.69%)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016표였다.
2. 10. 후평3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평3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7,803명이었다. 무소속 정태섭 후보가 4,789표(50.3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병석 후보는 2,584표(27.14%), 무소속 정정복 후보는 2,147표(22.55%)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520표였다.
2. 11. 사우동·우두동·사농동·신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우동·우두동·사농동·신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350명이었다. 무소속 홍순극 후보가 1,655표(24.99%)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재수 후보는 1,306표(19.72%), 배홍섭 후보는 1,207표(18.22%), 성낙섭 후보는 1,008표(15.22%), 김정환 후보는 797표(12.03%), 김동환 후보는 648표(9.78%)를 얻었다.
2. 12. 동산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산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571명이었다. 무소속 고준식 후보가 703표(61.13%)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조오연 후보는 447표(38.86%)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1,150표였다.
2. 13. 신동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신동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2,351명이었다. 무소속 김희민 후보가 522표(28.8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병록 후보와 무소속 이호상 후보는 각각 460표(25.38%)를 얻었으며, 무소속 전제복 후보는 370표(20.41%)를 얻었다.
2. 14. 동내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내면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4,279명이었다. 무소속 김종학 후보가 971표(34.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김익수 후보는 929표(32.91%), 무소속 김대종 후보는 922표(32.67%)를 얻었다.
2. 15. 남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류경균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6. 남산면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남산면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주열 후보가 58.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3,288명이었으며, 김주열 후보는 1,256표를 획득하였다. 무소속 목영일 후보는 41.95%의 득표율로 908표를 얻었다.
2. 17. 교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운구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8. 조운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조운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명규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9. 약사동·죽림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약사동·죽림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신종백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20. 효자1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1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이원혁 후보가 무투표로 당선되었다.
2. 21. 효자2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2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2,015명이었다. 무소속 박용수 후보가 3,046표(52.05%)를 얻어 2,805표(47.94%)를 얻은 무소속 이원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총 투표수는 5,851표였다.
2. 22. 효자3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효자3동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건옥 후보가 무투표 당선되었다.
2. 23. 석사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석사동 선거구는 유권자 12,9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무소속 이건종 후보가 3,210표(50.55%)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정기태 후보는 3,139표(49.44%)를 얻었다.
2. 24. 퇴계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퇴계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6,252명이었다. 무소속 김영일 후보가 4,544표(48.4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근배 후보는 3,797표(40.44%)를, 무소속 송세권 후보는 1,047표(11.15%)를 얻었다.
2. 25. 온의동·삼천동·칠송동 선거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온의동·삼천동·칠송동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9,049명이었다. 무소속 최신철 후보가 3,248표(59.76%)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무소속 변보용 후보는 2,187표(40.23%)를 얻어 낙선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