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한국 전쟁 정전 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1973년 지정 이후, 초기에는 특정 주기에만 기념행사를 진행했으나, 1993년부터 1998년까지는 매년 중앙보고대회를 개최했다. 1996년에는 국가적인 명절로 격상되었으며,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에는 남북 화해 분위기에 따라 문화체육 행사 중심으로 간소하게 운영되었다. 2003년 이후 북한 핵 문제와 국제 정세 긴장으로 기념행사 규모가 확대되었고, 2023년에는 러시아, 중국 인사가 참석하여 반미 결집을 다짐하는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념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휴일 - 광명성절
광명성절은 김정일의 생일을 기념하는 북한의 명절로, 2월 16일부터 이틀간 다양한 기념 행사가 열리며, 김정일의 개인 숭배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7월의 기념일 - 혁명 기념일
혁명 기념일은 프랑스 혁명의 시작을 알린 바스티유 감옥 습격을 기념하며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하는 프랑스의 국경일로, 매년 7월 14일에 불꽃놀이와 군사 퍼레이드 등의 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된다. - 7월의 기념일 - 어린이날
어린이날은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의 행복과 권리를 기념하는 날로, 국가별 기념 날짜와 방식이 다양하며, 유엔은 11월 20일을 세계 어린이날로 선포하여 아동 권리 보호와 문제 해결을 위한 인식 제고의 날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국가 기념일 |
기념 이유 | 한국 전쟁 휴전 |
날짜 | 7월 27일 |
주기 | 매년 |
준수 대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기념 행사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서의 기념식 |
이름 | |
한국어 |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
한자 | 祖國解放戰爭 勝利 紀念日 |
로마자 표기 | Joguk haebang jeonjaeng seungri gineomil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Choguk haebang chŏnjaeng sŭngni kinyŏmil |
2. 연혁
1973년 7월 27일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로 지정된 후, 초기에는 5주년, 10주년 등 특정 주기에만 기념행사를 간소하게 진행했다.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매년 중앙보고대회를 개최했으며, 1996년에는 국가적 명절로 격상되었다. 1999년에는 중앙보고대회가 생략되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2000년부터 2002년까지는 문화체육 행사 중심으로 간소하게 운영되었으나, 2003년 (50주년)에는 북핵 문제 등으로 기념행사 규모가 확대되었다.[7] 2023년 (70주년)에는 러시아, 중국 인사가 참석하여 반미 결집을 다짐하였다.[8]
2. 1. 제정 초기 (1973년 ~ 1992년)
1973년 7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정전협정 체결일을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로 지정하였다.[7] 초기에는 5주년, 10주년 등 특정 주기에만 중앙보고대회와 같은 기념행사를 간소하게 진행하였다.[4]2. 2. 중앙보고대회 정례화 및 국가 명절 격상 (1993년 ~ 1999년)
1993년부터 1998년까지 매년 중앙보고대회를 개최하여 기념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1996년(43주년)에는 전승절을 국가적인 명절로 격상하여 공화국기를 게양하고 하루 동안 휴무를 실시하였다. 이는 김정일 정권이 군사적 성과를 강조하고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4] 1999년(46주년)에는 중앙보고대회가 생략되었다.[4]2. 3. 남북 화해 분위기와 전승절 (2000년 ~ 2002년)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영향으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전승절 기념행사는 문화체육 행사 중심으로 간소하게 운영되었다.[7] 이는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국제사회에 대한 유화적인 제스처로 해석될 수 있다.2. 4. 핵 문제와 국제 정세 긴장에 따른 변화 (2003년 이후)
朝中社의 보도에 따르면, 2003년 (50주년)에는 북핵 문제와 국제 정세 긴장 등으로 인해 전승절 기념행사 규모를 확대하였다.[7] 이는 대내외적으로 체제 결속을 강화하고 군사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023년 (70주년)에는 조국해방전쟁승리 기념 축하 공연에 러시아, 중국 인사가 참석하여 반미 결집을 다짐하였다.[8] 이는 북·중·러 간의 연대를 강화하고, 미국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낸 것으로,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n Soldiers Steal from Civilians to Celebrate End of Korean War
https://www.rfa.org/[...]
[2]
웹사이트
Victory in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Day
http://www.kplibrary[...]
[3]
뉴스
Kim Jong Un visits war graves ahead of North Korea's 'Day of Victory'
http://worldnews.nbc[...]
2014-09-16
[4]
웹사이트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50주년 관련 동향
http://www.unikorea.[...]
2012-04-15
[5]
문서
북한용어사전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
http://www.kplibrary[...]
[6]
웹인용
조국해방전쟁 승리의 날
http://www.kplibrary[...]
2012-04-16
[7]
웹인용
'조국해방전쟁 승리 기념일' 50주년 관련 동향
http://www.unikorea.[...]
2012-04-15
[8]
웹인용
‘70돐 전승절 기념공연 영상’
https://youtube.com/[...]
2023-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