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향제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향제압은 축 방향 압축과 평행 방향 전단이 연관되어 나타나는 지질 구조로, 전위 엽상 구조, 선리 구조, 스타일로라이트, 벽개, 역단층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순수 전단 운동이 우세할 경우 가파른 선리가, 단순 전단 우세 단층에서는 수평 선리가 나타난다. 단층의 개별 분절이 겹쳐 연결될 때 형성되는 구속대(restraining bend)는 좌수향 단층이 오른쪽으로 기울거나 우수향 단층이 왼쪽으로 기울어질 때 형성되며, 지형 융기와 지각 수렴을 동반한다. 주향제압은 알타이산맥, 알류샨 해구, 샌앤드레이어스 단층 등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지질학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구조지질학 - 부가체
    부가체는 해양판 섭입 시 해양판 일부와 퇴적물이 대륙판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쐐기 모양 지질 구조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하며 역단층으로 특징지어지고, 임계 테이퍼에 따라 삼각형으로 성장하며, 판구조론, 자원 탐사, 지진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주향제압

2. 주향제압 구조

주향제압이 일어나는 전단대는 축 방향 압축과 평행 방향 전단(수평 방향 움직임)이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전위 엽상 구조, 선리 구조, 스타일로라이트, 벽개, 역단층 등이 발달한다.

2. 1. 특징적인 구조

주향제압 환경에서 발달하는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전위 엽상 구조, 선리 구조, 스타일로라이트, 벽개, 역단층 등이 있다. 순수 전단 운동이 우세한 주향제압에서는 일반적으로 가파른 선리를 보여주며, 단순 전단 우세 단층은 수평 선리가 나타난다.[11] 수직이 아닌 전단 단층은 단층 경계의 경사선과 평행한 전단 요소를 보인다. 이 영역에서 선리는 수평과 수직 사이 특정한 각도로 나타난다. 이 영역에서 모든 구조 요소가 제시하는 전체적인 지질학적 요소가 실제 변위 경계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전단압축 전단대는 대개 전단대 수직 단축과 전단대 평행 전단을 시사하는 구조들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진다. 순수 전단 지배형 전단압축은 대개 급경사 선구조를 나타내며, 단순 전단 지배형 전단압축은 수평 선구조를 선호한다.[2] 비수직 전단압축대에서는 전단대 경계면의 경사 방향과 평행한 전단 성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러한 전단대에서 선구조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경사를 보인다. 전단대 내 모든 구조 요소가 나타내는 완전한 기하학적 구조는 실제 경계 변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2. 2. 전단 유형에 따른 선리 구조

주향제압이 일어나는 전단대는 축 방향 압축과 평행 방향 전단이 서로 연관되어 이어진 것이 특징이다. 순수 전단 운동이 우세한 주향제압에서는 일반적으로 가파른 선리를 보여주며, 단순 전단 우세 단층은 수평 선리가 나타난다.[11] 수직이 아닌 전단 단층은 단층 경계의 경사선과 평행한 전단 요소가 나타나며, 이 영역에서 선리는 수평과 수직 사이 특정한 각도로 나타난다.

전단압축 전단대는 대개 전단대 수직 단축과 전단대 평행 전단을 시사하는 구조들의 조합으로 특징지어진다. 순수 전단 지배형 전단압축은 대개 급경사 선구조를 나타내며, 단순 전단 지배형 전단압축은 수평 선구조를 선호한다.[2] 비수직 전단압축대에서는 전단대 경계면의 경사 방향과 평행한 전단 성분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러한 전단대에서 선구조는 수평과 수직 사이의 경사를 보인다.

2. 3. 실제 변위 경계 확인

주향제압이 일어나는 전단대는 축 방향 압축과 평행 방향 전단이 서로 연관되어 이어진 것이 특징이다. 주향제압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전위 엽상 구조, 선리 구조, 스타일로라이트, 벽개, 역단층 등이 있다. 순수 전단 운동이 우세한 주향제압에서는 일반적으로 가파른 선리를 보여주며, 단순 전단 우세 단층은 수평선리가 나타난다.[11] 또한 수직이 아닌 전단 단층은 단층 경계의 경사선과 평행한 전단 요소가 보인다. 이 영역에서 선리는 수평과 수직 사이 특정한 각도로 나타난다. 이 영역에서 모든 구조 요소가 제시하는 전체적인 지질학적 요소가 실제 변위 경계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3. 구속대 (Restraining Bend)

주향 이동 단층을 따라 굽이/스텝오버 지점에서 발달한 수축 듀플렉스.


좌수향 알틴타그 단층의 제약 굴곡에서 형성된 해발 5830m의 알틴 산


'''구속대'''(Restraining Bend)는 단층대 혹은 단층 분절과 같이 단층의 개별 분절이 서로 겹쳐서 연결될 때 발생하는 특수한 지질 구조이다. 주향이동단층에서 형성되는 구조의 유형은 계단식 단층이 얼마나 미끄러지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좌수향 단층이 오른쪽으로 휘거나, 우수향 단층이 왼쪽으로 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3. 1. 구속대의 형성 조건

좌수향 단층이 오른쪽으로 휘거나, 우수향 단층이 왼쪽으로 휘는 경우 '''구속대'''(restraining bend)가 형성된다.[11] 지질학자들은 구속대를 '''좌향대'''(left bend)라고도 부른다. 이런 단층은 지형이 융기되고 지각이 수렴하며 결정질 기반암이 보여진다. 구속대 지역은 매우 침식된 노출 노두나 지표면의 지구물리학적 조사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융기되는 환형 운동이 일어났다.[2]

평면에서 보면, 두 개의 주향 이동 분절로 경계가 정해진 수축 주향 이동 듀플렉스, 부평행 역단층 또는 사교 미끄러짐 수축 단층이 형성된다. 제약 굴곡은 지구 표면에 널리 분포하며, 노두 규모에서 대규모 산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목성의 얼음 위성인 유로파금성과 같은 외계 천체에서도 발생한다고 이론화되었다.[3]

3. 2. 구속대의 특징



구속대는 좌수향 단층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우수향 단층이 왼쪽으로 기울어질 때 형성되는 구조이다.[11] 지질학자들은 구속대를 분리대, '''좌향대'''(left bend)라고 부르기도 한다.[2]

구속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지형이 융기되고 지각이 수렴하며 결정질 기반암이 보여진다.
  • 침식된 노출 노두나 지표면의 지구물리학적 조사를 통해 보면, 구속대 지역은 일반적으로 융기되는 환형 운동이 일어났다.
  • 평면에서 보면, 두 개의 주향 이동 세그먼트로 경계가 정해진 수축 주향 이동 듀플렉스, 부평행 역단층 또는 사교 미끄러짐 수축 단층이 형성된다.
  • 지구 표면에 널리 분포하며, 노두 규모에서 대규모 산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목성의 얼음 위성인 유로파금성과 같은 외계 천체에서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3]

3. 3. 구속대의 규모와 분포

구속대는 노두 규모에서 대규모 산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로 지구 표면에 널리 분포한다.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금성 같은 외계 천체에서도 구속대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3]

4. 주향제압이 발생하는 주요 지역

지역위치각주
알타이산맥서몽골 및 남시베리아, 러시아 지역[12], [4]
알류샨 해구 서부 섭입대[13], [5]
고비 알타이몽골[14], [6]
샌앤드레이어스 단층의 대단층대(Big Bend)미국 캘리포니아주[15], [7]
알파인 단층뉴질랜드[16], [8]
갈레흐-도즈 심성암대이란[17], [9]


참조

[1] 논문 Transpression and transtension zones http://sp.lyellcolle[...] 1998-01-01
[2] 서적 Structural Geology – Cambridge Books Onlin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Tectonics of strike-slip restraining and releasing bends 2007
[4] 논문 A structural transect across the Mongolian Western Altai: Active transpressional mountain building in central Asia 1996-02-01
[5] 논문 The evolution of forearc structures along an oblique convergent margin, central Aleutian Arc https://zenodo.org/r[...] 1989-06-01
[6] 논문 Late Cenozoic transpression in southwestern Mongolia and the Gobi Altai-Tien Shan connection 1996-05-01
[7] 논문 State of stress near the San Andreas fault: Implications for wrench tectonics
[8] 논문 Erosional control on the structural evolution of a transpressional thrust complex on the Alpine fault, New Zealand 1997-10-01
[9] 논문 Dextral transpression in Late Cretaceous continental collision, Sanandaj–Sirjan Zone, western Iran 2000-08-01
[10] 논문 Transpression and transtension zones http://sp.lyellcolle[...] 1998-01-01
[11] 서적 Structural Geology - Cambridge Books Onlin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논문 A structural transect across the Mongolian Western Altai: Active transpressional mountain building in central Asia 1996-02-01
[13] 논문 The evolution of forearc structures along an oblique convergent margin, central Aleutian Arc https://zenodo.org/r[...] 1989-06-01
[14] 논문 Late Cenozoic transpression in southwestern Mongolia and the Gobi Altai-Tien Shan connection 1996-05-01
[15] 논문 State of stress near the San Andreas fault: Implications for wrench tectonics
[16] 논문 Erosional control on the structural evolution of a transpressional thrust complex on the Alpine fault, New Zealand 1997-10-01
[17] 논문 Dextral transpression in Late Cretaceous continental collision, Sanandaj–Sirjan Zone, western Iran 2000-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