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글러물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글러물쥐는 비숍 박물관의 앨런 C. 지글러 박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종이다. 2005년 헬전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2007년 헬전과 앨리슨에 의해 종으로 분류되었다. 분포 지역, 위협 요인, 개체수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IUCN 적색 목록의 정보 불충분 종으로 등재되었으며, 현재까지 두 점의 표본만이 기록되었다. 육상 및 담수 환경에서 서식하며, 숲, 습지, 영구 수로 등에서 발견된다. 현재까지 프린스 알렉산더 산맥 남쪽 경사면의 바니이크에서만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기재된 포유류 - 라오스바위쥐
라오스바위쥐는 라오스바위쥐과에 속하는 설치류로, 쥐와 유사한 외형과 다람쥐와 비슷한 꼬리를 가졌으며, 라오스, 베트남의 석회암 지형에 분포하며 잎, 풀, 씨앗을 먹는 초식 동물이다. - 2005년 기재된 포유류 - 북부큰쥐여우원숭이
북부큰쥐여우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북서부에 분포하며 몸무게 250~300g의 야행성 영장류로, 서식지 감소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 - 물쥐족 - 아포산숲쥐
필리핀 루손 섬 아포 산에서 발견되는 아포산숲쥐는 몸길이 12~15cm, 꼬리 길이 13~16cm의 쥐로, 등 쪽은 짙은 갈색, 배 쪽은 회색빛을 띠며 육상 생활을 하는 잡식성 동물이고,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산지림과 이끼숲 해발 1,700~2,700m 사이 고도에 서식하며 서식지 보전이 필요한 종이다. - 물쥐족 - 검은발나무쥐
검은발나무쥐는 털이 회갈색이고 배는 크림색 흰색이며, 긴 꼬리와 검은 뒷발을 가진 야행성 설치류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지역에 분포하며 잎과 열매를 먹고 서식지 감소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지글러물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지글러물쥐 |
| 학명 | Hydromys ziegleri |
| 명명자 | Helgen, 2005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쥐과 |
| 아과 | 쥐아과 |
| 족 | 물쥐족 |
| 속 | 물쥐속 |
| 보전 상태 | |
| IUCN Red List | 정보부족 |
| IUCN 3.1 | |
2. 분류학
지글러물쥐의 학명과 일반명은 비숍 박물관의 앨런 C. 지글러 박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5][2] 2005년 헬전(K. Helgen)이 처음 발견하였고,[5][2] 2007년 헬전과 앨리슨(A. Allison)이 종을 분류하였다.[3] 2008년에 헬겐과 앨리슨에 의해 평가되었다.[1]
지글러물쥐는 육상 및 담수 환경에서 서식한다.[1] 숲, 아열대 및 열대 습윤 저지대 숲, 내륙 습지, 영구 수로 등에서 발견된다.[1] 현재까지 프린스 알렉산더 산맥 남쪽 경사면의 해발 200m 지점인 바니이크에서만 기록되었다.[1] 저지대 열대 우림의 개울과 강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더 높은 고도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1]
[1]
간행물
Hydromys ziegleri
https://www.iucnredl[...]
2011-11-06
분포 지역과 위협 요인, 개체수에 대한 정보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서 정보 불충분 종으로 등재되었다.[3][1] 현재까지 기록된 표본은 두 점 뿐이다.[3][1] 숲 서식지 남벌로 위협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며,[3] 산악 지대 북부 경사면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3][1]
3. 생태 및 서식지
4. 보존
참조
[2]
서적
Dictionary of Australian and New Guinean mammals
https://books.google[...]
2011-11-06
[3]
간행물
Hydromys ziegleri
2011-11-06
[4]
서적
MSW3 Muroidea
[5]
서적
Dictionary of Australian and New Guinean mammals
https://books.google[...]
2011-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