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방도 제92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922호선은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에서 시작하여 관평삼거리에 이르는 도로이다. 2003년 노선이 폐지 및 재지정되었고, 2008년 가은 ~ 완장간 도로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2018년에는 노선 기점이 연장되었으며, 2019년 완장우회도로가 개통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견훤교, 가은파출소, 가은터미널, 가은역, 문경석탄박물관 등이 있으며, 전 구간 대야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경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문경시의 교통 - 점촌역
    점촌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경북선의 철도역으로 1924년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이며,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옹기 및 기와 장인들의 역사에서 유래한 역명과 철도문화 체험 테마역으로 조성된 이력이 있다.
  • 경상북도의 도로 노선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도로 노선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대한민국의 지방도 - 다도로
    다도로는 전라북도에서 시작해 나주시 다도면을 지나 화순군 도암면을 잇는 도로로, 세남로에서 시작하여 도천로, 운치도암로, 천태로와 연결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도 -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09호선은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 과천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도로, 2005년 신규 지정되었으며, 서수원 ~ 의왕 간 고속화도로 구간 확장 등의 변화가 있었고, 포승읍, 향남읍, 정남면, 봉담읍, 매송면, 권선구, 부곡동, 고천동, 오전동, 청계동, 문원동, 과천동 등을 경유한다.
지방도 제92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도로 정보
도로 종류경상북도 지방도
노선 번호지방도 제922호선
노선명가은 ~ 청천선
총 연장16.9km
기점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
주요 경유지경상북도 문경시
종점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주요 교차 도로지방도 제517호선
지방도 제901호선

2. 연혁


  • 2003년 2월 20일: 노선 폐지 및 재지정.[1]
  • 2008년 4월 28일: 문경시 가은읍 하괴리 1.84km 구간 확장 개통.[2]
  • 2018년 11월 15일: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서 같은 읍 갈전리로 기점 연장, 총 연장 3.2km 단축.[3]
  • 2019년 1월 14일: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완장우회도로 1.23km 구간 개통, 기존 1.6km 구간 폐지.[4]

2. 1. 2003년

2003년 2월 20일에 노선이 폐지 및 재지정되었다.[1]

2. 2. 2008년

2008년 4월 28일: 가은~완장 간 도로(문경시 가은읍 하괴리) 1.84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2]

2. 3. 2018년

2018년 11월 15일 노선 기점을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서 같은 읍 갈전리로 연장하고, 총 연장을 3.2km 단축하였다.[3]

2. 4. 2019년

2019년 1월 14일: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에 완장우회도로 1.23km 구간이 개통되었고, 기존 1.6km 구간은 폐지되었다.[4]

3. 주요 경유지

문경시 가은읍을 지난다.

3. 1. 문경시 가은읍

문경시 가은읍 갈전리에서 시작하여 견훤교, 가은파출소, 가은터미널, 가은역, 문경석탄박물관을 지나 하괴교, 하괴리, 상괴교, 가은초등학교 희양분교, 상괴리, 완장교, 용추계곡, 완장리, 버리미기재, 완장제3교를 거쳐 관평삼거리에 이른다.

4. 도로명

전 구간 대야로로 칭한다.

참조

[1]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http://www.gb.go.kr/[...] 2003-02-20
[2]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08-295호 http://www.gb.go.kr/[...] 2008-04-28
[3] 고시 경상북도고시 제2018-343호 http://www.gb.go.kr/[...] 2018-11-15
[4] 공고 경상북도공고 제2019-54호 http://www.gb.go.kr/[...] 2019-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