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부티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부티 내전은 1991년부터 2001년까지 지부티에서 발생한 내전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 이후 이사족과 아파르족 간의 민족적 긴장, 정치적 불평등, 주변국의 정세 불안이 배경이 되었다. 1991년 FRUD(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가 결성되어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하며 내전이 발발했다. 프랑스의 중재와 평화 협상을 통해 1994년 FRUD는 분열되었고, 이후에도 게릴라전이 지속되다 2001년 최종 평화 협정으로 종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지부티 내전
지도
지부티 내전 중 상황
기본 정보
분쟁 이름지부티 내전
전쟁지부티 내전
기간1991년 10월 31일 – 1994년 12월 26일
장소지부티 북부
결과정부 승리, FRUD 평화 협정, FRUD 반란 시작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지부티
지원 세력프랑스 (1974)
교전 세력 2FRUD
지휘관
지휘관 1하산 굴레드 압티돈
지휘관 1 지원프랑수아 미테랑
지휘관 2아흐메드 디니 아흐메드
지휘관 2 지원알리 모하메드 다우드
병력
병력 1 (1992년)5,000명
병력 1 (1994년)20,000명
병력 2 (1991년)3,000명
병력 2 (1994년)4,500명
사상자
사상자 1알 수 없음
사상자 21,000명 사망

2. 배경

1980년대 말, 지부티 인민해방운동(Popular Liberation Movement (Djibouti))과 같은 단체들이 정부에 대한 공격을 조직했다. 1991년에는 지부티 애국 저항 전선(FRDP), 민주주의를 위한 세력 연합(AFD), 지부티 질서 개혁을 위한 행동(Arod) 등 여러 야당 운동이 생겨났다. 1991년 중반, 이들 중 일부는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ont for the Restoration of Unity and Democracy, FRUD)으로 재결합했다.[1]

2. 1. 프랑스의 식민 지배

1862년 3월 11일, 프랑스 정부는 아파르족 술탄 라예타 디니 아흐메트(Raieta Dini Ahmet)와 협정을 맺었다. 아흐메트는 오보크(Obock) 지역을 약 약 30537.8°C (마리아 테레사 타러로 환산하면 1만 타러)에 매각했다.[1] 이는 프랑스의 이 지역 식민화 시대의 시작이었으며, 이 조약은 플뢰리오 드 랑글 함장이 타주라 만(Gulf of Tadjoura) 남부를 식민지화하는 데 사용되었다.[1]

프랑스 통치 시대부터, 프랑스 소말릴란드(French Somaliland)(1896년~1967년)로, 이후 아파르와 이사의 프랑스령(French Territory of the Afars and the Issas)(1967년~1977년)으로 불리면서, 지부티에서는 이사(Issa)족과 아파르(Afar)족 사이에 민족적 긴장이 존재해 왔다. 1977년 독립 이후, 이사족이 주도하는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People's Rally for Progress)당이 지부티를 통치했고, 1981년부터는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당이 유일하게 허가된 당으로서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했다. 많은 아파르족은 소외감을 느꼈다.[2]

2. 2. 민족 갈등과 정치적 불평등

지부티는 프랑스 소말릴란드(1896년~1967년)와 아파르와 이사의 프랑스령(1967년~1977년)으로 불리던 프랑스 통치 시대부터 이사(Issa)족과 아파르(Afar)족 사이의 민족 갈등이 존재했다. 1977년 독립 이후, 이사족 중심의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당이 지부티를 통치했으며, 1981년부터는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여 많은 아파르족이 소외감을 느꼈다.[1]

1991년, 소말리아의 시아드 바레 정권과 에티오피아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이 붕괴되는 등 이웃 국가들의 권위주의 정권들이 무너졌다. 에리트레아소말릴란드도 각각 1991년에 독립을 선언했다.

1980년대 말, 지부티 인민해방운동과 같은 단체들이 정부에 대한 공격을 조직했고, 1991년에는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을 비롯한 여러 야당 운동이 등장했다.[1]

2. 3. 주변국 정세 불안

1991년, 지부티 주변국들의 정세는 매우 불안정했다. 이웃 국가인 소말리아에서는 시아드 바레 정권이 무너졌고, 에티오피아에서는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아 정권이 붕괴되었다. 에리트레아소말릴란드는 각각 1991년에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러한 주변국의 정세 변화는 지부티 내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3. 내전 발발

1991년 5월, 데르그(전 에티오피아 정부)가 무너진 후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 군인들이 지부티 영토로 넘어왔다. 이들은 프랑스와 지부티군의 도움으로 에티오피아로 송환되었지만, 많은 무기를 남겨두었다.

1991년 10월 초, 아파르족의 더 큰 정치적 참여를 요구하는 반군 조직인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이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4]

전쟁은 주로 국가 북부에서 벌어졌으며, 수도에서 발생한 사건을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들이 있었다.


  • 1991년 12월 18일, 정부군이 아파르족이 거주하는 아르히바 지역에 진입하여 군중에게 발포한 사건이 있었다. 이로 인해 최소 59명이 사망했고, 항의하는 아파르족 국회의원들의 대규모 사퇴와 RPP 내부 분쟁을 야기했다.[4][5]
  • 1992년 2월, 프랑스군 일부가 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북부에 배치되었다.[6]
  • 프랑스는 정부와 반군 간의 중재를 시도했지만, 1992년 11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이러한 회담을 조직하려는 모든 시도가 실패했다.[7]
  • 정부는 군대를 약 5,000명에서 20,000명으로 증강하고 예비군을 소집했으며,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7]
  • 1993년 7월 5일, 정부는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서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했다. 아사-게일라에 위치한 주요 FRUD 기지는 정부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정부는 발호, 도라, 란다 마을을 포함한 많은 지역을 되찾았다.[8]
  • 내전은 1992년 새로운 헌법과 함께 다당제 민주주의 재도입에 기여했다.

3. 1. 통일민주회복전선(FRUD)의 결성

1991년 10월 초, 아파르족의 더 큰 정치적 참여를 요구하는 반군 조직인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이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4] 1991년 5월, 데르그(전 에티오피아 정부)가 무너진 후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 군인들이 지부티로 넘어왔는데, 이들이 남긴 무기가 FRUD 결성에 영향을 주었다.

1991년 11월 15일부터 16일 밤, 지부티 서부 디킬 지역에서 정부군과 FRUD 반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지부티군은 오보크 지역에서 약 232명을 체포했는데, 이들은 주로 에리트레아 아파르족과 전 데르그 정권의 민병대였다.[4]

FRUD는 1991년 11월 21일 오보크 시와 그 주둔군을 공격했지만, 지부티 군인들이 그들을 제압했다. 이후 여러 전투에서 양측 모두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FRUD는 국가 북부의 모든 군사 기지를 장악하고 타주라와 오보크 시를 포위했다.[4]

1992년 1월 3일부터 4일까지 타주라 근처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반군 약 150명과 정부군 3명이 사망했다. 1992년 1월 17일부터 18일까지 가가데, 카라브, 베카네브 지역에서 충돌이 발생하여 반군 약 150명과 군인 16명이 사망했다.[4]

1991년 12월 18일, 정부군이 아파르족이 거주하는 아르히바 지역에 진입하여 군중에게 발포하여 최소 59명이 사망했고, 아파르족 국회의원들의 대규모 사퇴와 RPP 내부 분쟁을 야기했다.[4][5] 1992년 2월, 프랑스군 일부가 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북부에 배치되었다.[6] 약 3,000명의 전투원으로 구성된 FRUD가 디킬의 정부 기관을 공격했지만 격퇴되었다.[4]

프랑스는 중재를 시도했지만, 1992년 11월부터 1993년 5월까지 회담 조직 시도는 실패했다.[7] 정부는 군대를 증강하고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4]

1993년 7월 5일, 정부는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하여 아사-게일라에 위치한 주요 FRUD 기지를 점령하고, 발호, 도라, 란다 마을을 포함한 많은 지역을 되찾았다. 반군은 북쪽 에리트레아 국경의 산악 지대로 도피했다. 약 70,000명의 민간인과 30,000명의 난민이 발생했다.[8]

3. 2. 초기 충돌 (1991년)

1991년 5월, 데르그(전 에티오피아 정부)가 무너진 후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 군인들이 지부티로 넘어왔다. 이들은 프랑스와 지부티군의 도움으로 에티오피아로 돌아갔지만, 많은 무기를 남겨두었다. 1991년 10월 초, 아파르족의 더 큰 정치적 참여를 요구하는 반군 조직인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이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했다.[4]

1991년 10월, 특히 11월 15일부터 16일 밤 사이, 지부티 서부 디킬 지역에서 정부군과 FRUD 반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지부티군은 11월 15일부터 16일 밤에 오보크 지역에서 약 232명을 체포했는데, 이들은 주로 에리트레아 아파르족과 전 데르그 정권의 민병대였다.[4]

FRUD는 1991년 11월 21일 오보크 시와 그 주둔군을 공격했지만, 하루 종일 치열한 전투 끝에 지부티 군인들이 그들을 제압했다. 그 후 여러 차례 다른 전투에서 국군과 FRUD 민병대가 맞서 싸우면서 양측 모두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FRUD는 국가 북부의 모든 군사 기지를 장악하고 타주라와 오보크 시를 포위했다.[4]

1991년 12월 18일, 정부군이 수도의 아파르족 거주 지역인 아르히바에 진입하여 군중에게 발포, 최소 59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아파르족 국회의원들의 대규모 사퇴와 RPP 내부의 분쟁을 야기했다.[4][5]

3. 3. 전투 확산 (1992년-1993년)

1991년 10월, 통일과 민주주의 회복 전선(FRUD)이 정부에 대한 게릴라전을 시작한 초기부터, 특히 1991년 11월 15일부터 16일 밤에 디킬 지역에서 정부군과 FRUD 반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4] 지부티군은 오보크 지역에서 약 232명을 체포했는데, 이들은 주로 에리트레아 아파르족과 전 데르그 정권의 민병대였다.[4]

1991년 11월 21일, FRUD는 오보크 시와 그 주둔군을 공격했지만, 지부티 군인들이 그들을 제압했다.[4] 이후 여러 차례 전투에서 국군과 FRUD 민병대가 맞서 싸우면서 양측 모두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FRUD는 국가 북부의 모든 군사 기지를 장악하고 타주라와 오보크 시를 포위했다.[4]

1992년 1월 3일부터 4일까지 정부군과 FRUD 전투원들이 타주라 근처에서 충돌하여 반군 약 150명과 정부군 3명이 사망했다.[4] 1992년 1월 17일부터 18일까지 가가데, 카라브, 베카네브 지역에서의 충돌로 반군 약 150명과 군인 16명이 사망했다.[4]

1991년 12월 18일, 정부군이 아파르족이 거주하는 아르히바 지역에 진입하여 군중에게 발포하여 최소 59명이 사망했고, 아파르족 국회의원들의 대규모 사퇴와 RPP 내부의 분쟁을 야기했다.[4][5] 1992년 2월, 프랑스군 일부가 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북부에 배치되었다.[6] 약 3,000명의 전투원으로 구성된 FRUD가 디킬의 정부 기관을 공격했지만 격퇴되었다.[6]

프랑스는 정부와 반군 간의 중재를 시도했지만, 1992년 11월부터 1993년 5월까지 이러한 회담을 조직하려는 모든 시도가 실패했다.[7] 정부는 군대를 약 5,000명에서 20,000명으로 증강하고 예비군을 소집했으며,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7]

1993년 7월 5일, 정부는 반군이 장악한 지역에서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했다. 아사-게일라에 위치한 주요 FRUD 기지는 정부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정부는 발호, 도라, 란다 마을을 포함한 많은 지역을 되찾았다. 이로 인해 반군은 북쪽 에리트레아 국경의 산악 지대로 도피해야 했다. 충돌 지역에 거주하는 약 70,000명의 민간인과 에티오피아의 아파르 주를 넘어 30,000명의 난민이 집을 떠나야 했다.[8]

4. 평화 협상과 결과

1994년 2월, 지부티 통일을 위한 단일전선(FRUD)은 우구레 키플레 아메드가 아메드 디니 아메드를 축출하고 중앙 정부와의 협상을 통한 정치적 타협을 추구하면서 지도부 개편을 겪었다. 하산 굴레드 압티돈 대통령은 3월 14일 FRUD와의 평화 회담 시작을 발표했고, 키플레 아메드의 온건파는 이를 수락했지만, 아메드 디니의 강경파는 거부했다.[9] 프랑스의 중재로 1994년 12월 26일 지부티 정부와 FRUD 온건파 사이에 아바(Abb'a)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FRUD는 대표 200명을 국가 행정부에 통합하고 전투원 700명을 지부티 군에 편입시키는 대가로 적대 행위를 중단했다.[9]

1999년 4월 9일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지부티의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갈등에 대한 정치적 해결이 필요해졌다. 2000년 3월 아메드 디니는 예멘 망명에서 돌아와 새 정부와 접촉했고, 2001년 5월 12일 최종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FRUD의 마지막 게릴라들은 무기를 내려놓고 지부티의 정상적인 정치 생활에 복귀했다.

4. 1. FRUD의 분열과 평화 협정

우구레 키플레 아메드가 아메드 디니 아메드를 축출하고 중앙 정부와의 협상을 통한 정치적 타협을 추구하면서, 1994년 2월 지부티 통일을 위한 단일전선(FRUD)은 정치 지도부 개편을 겪었다.[9] 1994년 3월 14일, 하산 굴레드 압티돈 대통령은 FRUD와의 평화 회담 시작을 발표했다. 키플레 아메드의 온건파는 이 제안을 수락했지만, 무장 투쟁을 계속하고자 했던 아메드 디니가 이끄는 FRUD의 강경파는 거부했다.[9] 프랑스의 중재로 1994년 12월 26일 지부티 정부와 FRUD 온건파 사이에 초기 아바(Abb'a)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9] 이 협정으로 FRUD는 대표 200명을 국가 행정부에 통합하고 전투원 700명을 지부티 군에 편입시키는 대가로 적대 행위를 중단했다.[9]

1995년 6월 새 지부티 정부에는 우구레 키플레가 농업부 장관으로, 알리 모하메드 다우드(Ali Mohamed Daoud) FRUD 의장이 보건사회부 장관으로 입각했다.[9] 1996년 3월 6일, FRUD는 새로운 지부티 헌법에 따라 허가된 4개 정당 중 하나로 등록되었고, 1997년 12월 19일 총선거에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RPP)와 연합하여 참여했다.[9]

아메드 디니의 파벌은 모든 협상을 거부하고 정부군에 대한 무장 공격을 계속했지만, FRUD 극단주의자들에 대한 지지가 줄어들면서 북부 지역에서 제한적인 게릴라 작전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1997년 9월 게릴라전이 재개되었지만, 지부티에티오피아 간 국경 획정 합의로 타격을 입었다. 1998년 3월 19일부터 20일 사이에 지부티와 에티오피아군은 국경 양쪽에서 활동하는 아메드 디니의 무장 단체를 공격했고, FRUD 강경파는 3월 19일과 20일 사이에 남부의 여러 지부티 국경 초소를 공격하는 대규모 마지막 작전을 수행했지만, 게릴라 작전은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1999년 4월 9일,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지부티의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00년 3월, 아메드 디니는 예멘 망명에서 돌아와 새 정부와 접촉을 시작했고, 2001년 5월 12일 최종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FRUD의 마지막 게릴라들은 무기를 내려놓고 지부티의 정상적인 정치 생활에 복귀했다. 아메드 디니는 2003년 1월 의회 선거에 야당인 공화당 발전 연합(Alliance Républicaine pour le Développement)을 이끌고 출마했지만,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를 지지한 RPP-FRUD 연합에 패했다.

4. 2. 강경파의 저항과 종식

1994년 3월, 하산 굴레드 대통령은 우구레 키플레 아메드가 이끄는 지부티 통일 회복 전선(FRUD) 온건파와 평화 회담을 시작했다. 온건파는 회담에 응했지만, 아메드 디니 아메드가 이끄는 강경파는 무장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9] 프랑스의 중재로 1994년 12월 26일, 지부티 정부와 FRUD 온건파 사이에 아바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협정으로 FRUD는 대표 200명을 국가 행정부에 통합하고, 전투원 700명을 지부티 군에 편입시키는 대가로 적대 행위를 중단했다.[9] 1995년 6월, 우구레 키플레는 농업부 장관, 알리 모하메드 다우드는 보건사회부 장관으로 새 정부에 합류했다. 1996년 3월 6일, FRUD는 합법 정당으로 등록되었고, 1997년 12월 총선에서 진보를 위한 인민 집회(RPP)와 연합하여 참여했다.

아메드 디니의 강경파는 협상을 거부하고 정부군에 대한 무장 공격을 계속했지만, 지지 기반이 약화되면서 북부 지역에서 제한적인 게릴라 작전만 수행할 수 있었다. 1997년 9월 게릴라전이 재개되었지만, 지부티에티오피아 간 국경 획정 합의로 타격을 입었다. 양국 군대는 1998년 3월 19일부터 20일 사이에 국경 양쪽에서 아메드 디니의 무장 단체를 공격하는 작전을 펼쳤다. FRUD 강경파는 3월 19일과 20일 사이에 남부의 여러 지부티 국경 초소를 공격하는 마지막 대규모 작전을 감행했지만, 이후 게릴라 작전은 쇠퇴했다.

1999년 4월,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지부티의 새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갈등 해결이 시급해졌다. 2000년 3월, 예멘에 망명 중이던 아메드 디니는 귀국하여 새 정부와 접촉을 시작했다. 2001년 5월 12일, 최종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FRUD의 마지막 게릴라들은 무기를 내려놓고 지부티의 정치에 복귀했다. 아메드 디니는 2003년 1월 총선에 야당인 공화당 발전 연합(ARD)을 이끌고 출마했지만, RPP-FRUD 연합에 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1993 Human Rights Report: DJIBOUTI http://dosfan.lib.ui[...] 2014-10-20
[2] 웹사이트 CSP - Major Episodes of Political Violence, 1946-2013 http://www.systemicp[...]
[3] 뉴스 Djibouti army reports 100 rebels killed. The Associated Press 1992-01-19
[4] 뉴스 Soldiers Fire Into Crowd in Djibouti Tribal Strife https://www.nytimes.[...] 1991-12-20
[5] 웹사이트 Pour la 12ème commémoration du massacre d'Arhiba http://www.lesnouvel[...] Les nouvelles d'Addis 2009-01-25
[6] 뉴스 250 French Troops Sent to Djibouti War Zone. Associated Press 1992-02-25
[7] 뉴스 Rebels turn down president's terms for negotiations. Agence France Presse 1993-05-10
[8] 뉴스 Thousands Of Djiboutians Flee to Ethiopia. The Associated Press 1993-07-12
[9] 웹사이트 Djibouti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