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줄여서 '지장경', '지장본원경'이라고도 불리며,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입니다. 중국 당나라 때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장보살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생을 교화하고, 죄를 짓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까지도 구제하고자 하는 큰 뜻을 담고 있습니다.
지장보살본원경 권하(卷下)는 지장보살본원경의 상, 중, 하 세 권 중 마지막 권을 의미합니다.
내용 구성 (판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본원경 권하: 일반적으로 지장보살의 공덕과 영험, 지옥 중생 구제, 사후세계에 대한 내용, 천도 의식 등을 다룹니다.

판본 및 소장 정보:

  • 1340년(고려 충혜왕 복위 원년) 계룡산 동학사 판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본 중 하나로,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0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간행 시기, 간행처, 간행 배경, 글쓴이, 각수 등을 알 수 있어 고려시대 불교사와 인쇄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 1453년(조선 단종 1년) 전라남도 완주 화암사 판본: 공암(空岩)이 글씨를 쓰고 대선사 의명(義明)이 목판에 새긴 것으로, 조선 초기 장수 표시 방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 1469년(조선 예종 1년) 왕실본: 정의공주가 남편 양효공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불경입니다.
  • 1612년 전라도 순천 조계산 송광사 판본: 담현(曇玄)이 주관하고 정보(正普)가 판각한 것입니다. 1474년 견성사(봉은사) 간행 판본을 저본으로 복각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장보살본원경은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각 판본마다 서지적 특징과 역사적 가치가 다릅니다.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이름지장보살본원경 권하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지장보살본원경 권하
국가대한민국
위치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400
지정일2020년 3월 6일
시대고려시대(1340년)
소유자청주시장
참고 사항크기: 26.4×10.3㎝, 재료: 저지(楮紙), 구조양식: 절첩본(折帖本), 목판본
수량1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