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짐바브웨의 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짐바브웨의 부통령은 짐바브웨의 부통령 직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1987년 제1부통령 직이 신설되었으며, 사이먼 무젠다가 초대 부통령을 지냈다. 제1부통령은 콘스탄티노 치웬가가 현재 재임 중이며, 제2부통령은 1990년 조슈아 은코모가 처음 임명된 이후 여러 인물이 역임했으며, 현재 켐보 모하디가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짐바브웨의 부통령 - 펠레케젤라 음포코
    펠레케젤라 음포코는 짐바브웨의 외교관 출신 정치인으로, 보츠와나와 러시아 대사를 역임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사로 발령 직전 2014년 12월 부통령에 임명되어 국가 치유, 평화 및 화해 장관직과 정책 조정 및 이행 업무를 겸임하다 2024년 12월 6일 인도에서 사망했다.
  • 짐바브웨의 부통령 - 조이스 무주루
    조이스 무주루는 짐바브웨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로디지아 부시 전쟁에 참전하여 여성 지휘관을 지냈고, 짐바브웨 독립 후 최연소 국무장관, 부통령 등을 역임했으나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 암살 음모 혐의로 해임된 후 야당을 창당하여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짐바브웨의 부통령
직위 정보
직위명짐바브웨의 부통령
소속 국가짐바브웨
직책국가 부수반 및 정부 부수반
휘장짐바브웨의 국장
휘장 크기100px
소속 부서짐바브웨 정부 행정부
직위 스타일각하, 부통령
임명권자대통령
임기5년, 1회 연임 가능
설립일1987년 12월 31일
첫 취임사이먼 무젠다 (제1 부통령), 조슈아 은코모 (제2 부통령)
웹사이트짐바브웨 정부 웹사이트
현재 부통령
제1 부통령콘스탄티노 치웽가
제1 부통령 임기 시작일2017년 12월 28일
제2 부통령켐보 모하디
제2 부통령 임기 시작일2023년 9월 9일
사진 정보
콘스탄티노 치웽가 제1 부통령
켐보 모하디 제2 부통령

2. 역대 부통령 목록

;정당


  • ZANU–PF
  • 무소속


;기호

  • 재임 중 사망


;제1부통령

1987년 12월 31일, 사이먼 무젠다가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에 의해 짐바브웨의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03년 9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직을 유지했다. 2004년 12월 6일, 조이스 무주루가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어 2014년 12월 8일까지 재임했다.

2014년 12월 12일에는 에머슨 음난가과가 제1부통령 자리에 올랐으나, 쿠데타 이후 2017년 11월 6일 해임되었다. 이후 2017년 11월 6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제1부통령직은 공석이었다.[2][5]

2017년 12월 28일, 콘스탄티노 치웬가가 에머슨 음난가과 대통령에 의해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대통령
1
사이먼 무젠다1987년 12월 31일2003년 9월 20일ZANU–PF로버트 무가베
2
조이스 무주루
2004년 12월 6일2014년 12월 8일
3
에머슨 음난가과
2014년 12월 12일2017년 11월 6일
공석 (2017년 11월 6일2017년 12월 28일)[2]
4
콘스탄티노 치웬가
2017년 12월 28일현직ZANU–PF에머슨 음난가과



;제2부통령

조슈아 은코모


조셉 시카


펠레케젤라 음포코


켐보 모하디


짐바브웨의 제2부통령은 1990년 조슈아 은코모가 처음 임명된 이후 여러 인물들이 재임했다.[3] 조슈아 은코모는 1990년 8월 6일부터 1999년 7월 1일까지 재임하였고,[3] 조셉 시카는 1999년 12월 23일부터 2009년 8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존 은코모가 2009년 12월 14일부터 2013년 1월 17일까지, 펠레케젤라 음포코가 2014년 12월 12일부터 2017년 11월 27일까지 제2부통령직을 맡았다.[4] 2017년 11월 27일부터 12월 28일까지는 공석이었다.[2] 켐보 모하디는 2017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3월 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2021년 3월 1일부터 2023년 9월 9일까지는 다시 공석이었다. 2023년 9월 9일, 켐보 모하디가 다시 제2부통령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대통령
1조슈아 은코모1990년 8월 6일[3]1999년 7월 1일ZANU–PF로버트 무가베
2조셉 시카1999년 12월 23일2009년 8월 4일
3존 은코모2009년 12월 14일2013년 1월 17일
4펠레케젤라 음포코2014년 12월 12일2017년 11월 27일[4]
공석 (2017년 11월 27일 – 12월 28일)[2]
에머슨 음난가과
5켐보 모하디2017년 12월 28일2021년 3월 1일ZANU–PF
공석 (2021년 3월 1일 – 2023년 9월 9일)
(5)켐보 모하디2023년 9월 9일현직ZANU–PF


2. 1. 제1부통령

1987년 12월 31일, 사이먼 무젠다가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에 의해 짐바브웨의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2003년 9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직을 유지했다. 2004년 12월 6일, 조이스 무주루가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어 2014년 12월 8일까지 재임했다.

2014년 12월 12일에는 에머슨 음난가과가 제1부통령 자리에 올랐으나, 쿠데타 이후 2017년 11월 6일 해임되었다. 이후 2017년 11월 6일부터 12월 28일까지 제1부통령직은 공석이었다.[2][5]

2017년 12월 28일, 콘스탄티노 치웬가가 에머슨 음난가과 대통령에 의해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대통령
1사이먼 무젠다1987년 12월 31일2003년 9월 20일ZANU–PF로버트 무가베
22004년 12월 6일2014년 12월 8일
32014년 12월 12일2017년 11월 6일
공석 (2017년 11월 6일2017년 12월 28일)[2]
42017년 12월 28일현직ZANU–PF에머슨 음난가과


2. 2. 제2부통령



짐바브웨의 제2부통령은 1990년 조슈아 은코모가 처음 임명된 이후 여러 인물들이 재임했다.[3] 조슈아 은코모는 1990년 8월 6일부터 1999년 7월 1일까지 재임하였고,[3] 조셉 시카는 1999년 12월 23일부터 2009년 8월 4일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존 은코모가 2009년 12월 14일부터 2013년 1월 17일까지, 펠레케젤라 음포코가 2014년 12월 12일부터 2017년 11월 27일까지 제2부통령직을 맡았다.[4] 2017년 11월 27일부터 12월 28일까지는 공석이었다.[2] 켐보 모하디는 2017년 12월 28일부터 2021년 3월 1일까지 재임하였으며, 2021년 3월 1일부터 2023년 9월 9일까지는 다시 공석이었다. 2023년 9월 9일, 켐보 모하디가 다시 제2부통령으로 임명되어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사진이름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대통령
1조슈아 은코모1990년 8월 6일[3]1999년 7월 1일ZANU–PF로버트 무가베
2조셉 시카1999년 12월 23일2009년 8월 4일
3존 은코모2009년 12월 14일2013년 1월 17일
4펠레케젤라 음포코2014년 12월 12일2017년 11월 27일[4]
공석 (2017년 11월 27일 – 12월 28일)[2]
에머슨 음난가과
5켐보 모하디2017년 12월 28일2021년 3월 1일ZANU–PF
공석 (2021년 3월 1일 – 2023년 9월 9일)
(5)켐보 모하디2023년 9월 9일현직ZANU–PF


3. 재임 기간 순위

3. 1. 제1부통령

wikitable

직위부통령재임 기간
1사이먼 무젠다1987년 12월 31일-2003년 9월 20일
2조이스 무주루2004년 12월 6일-2014년 12월 8일
3콘스탄티노 치웬가2017년 12월 28일-
4에머슨 음난가과2014년 12월 12일-2017년 11월 6일


3. 2. 제2부통령

wikitable

순위부통령재임 기간
1조셉 음시카1999년 12월 23일 ~ 2009년 8월 4일
2조슈아 냐코모1990년 8월 6일 ~ 1999년 7월 1일
3켐보 모하디2017년 12월 28일 ~ 2021년 3월 1일
4존 냐코모2009년 12월 14일 ~ 2013년 1월 17일
5펠레케젤라 음포코2014년 12월 12일 ~ 2017년 11월 27일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Zimbabweans hope for democratic rebirth https://www.bbc.co.u[...] 2013-03-20
[2] 웹사이트 Robert Mugabe, in Speech to Zimbabwe, Refuses to Say if He Will Resign https://www.nytimes.[...] 2017-11-19
[3] 간행물 The Constitution of Zimbabwe: Towards a Model for Africa? http://www.jstor.org[...] 1991
[4] 웹사이트 President dissolves Cabinet http://www.herald.co[...] 2017-11-28
[5] 웹사이트 ロバート・ムガベは就任を拒否する https://www.nytimes.[...] 2022-09-25
[6] 웹사이트 ロバート・ムガベは就任を拒否する https://www.nytimes.[...] 2022-09-25
[7] 웹인용 Zimbabweans hope for democratic rebirth https://www.bbc.co.u[...] 2013-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