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징거미새우상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징거미새우상과는 생이하목에 속하는 과들의 분류군이다. Anchistioididae, Desmocarididae, Euryrhynchidae, 광대새우과, Hymenoceridae, Kakaducarididae, 징거미과, 장님새우과 등이 징거미새우상과에 속한다. 각 과는 명명된 연도와 학자에 따라 구분되며, 광대새우과에는 관상용으로 인기 있는 광대새우가, 징거미과에는 한국 민물 생태계에서 중요한 징거미새우가, 장님새우과에는 한국 동굴에서 발견되는 장님새우가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이하목 - 큰징거미새우
    큰징거미새우는 인도양과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동남아시아에서 식량 자원으로 양식되는 대형 담수 새우로, 수컷은 다형 현상을 나타내고 하천 하류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동물이다.
  • 생이하목 - 줄새우
    줄새우는 몸에 흑갈색 띠 무늬가 있는 새우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담수역에 서식하고 낚시 미끼나 식용으로 이용되며, 야행성으로 수생 동물 포식 및 동족 포식을 하고, 오키나와에서도 발견된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해마 (동물)
    해마는 말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진 물고기로, 수컷이 알을 품는 독특한 생식 방식을 가지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규제를 받는다.
  • 콘스턴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분류군 - 전갱이과
    전갱이과는 전갱이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몸길이와 형태가 다양하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식용으로 어획되는 종들이 있으며, 4개의 아과와 30여 개의 속으로 나뉜다.
징거미새우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Palaemon elegans (징거미새우과)
학명Palaemonoidea
명명자Rafinesque, 1815
분류
하위 분류본문 참조

2. 생이하목의 과 목록

생이하목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속한다.

학명(라틴어)명명자 및 연도
AnchistioididaeAnchistioididae영어Borradaile, 1915
DesmocarididaeDesmocarididae영어Borradaile, 1915
EuryrhynchidaeEuryrhynchidae영어Holthuis, 1950
광대새우과Gnathophyllidae영어Dana, 1852
HymenoceridaeHymenoceridae영어Ortmann, 1890
KakaducarididaeKakaducarididae영어Bruce, 1993
징거미과Palaemonidae영어Rafinesque, 1815
장님새우과Typhlocarididae영어Annandale & Kemp, 1913


2. 1. Anchistioididae

Anchistioididae영어는 1915년 보라데일(Borradaile)이 명명했다.

2. 2. Desmocarididae

Desmocarididae Borradaile, 1915[1]

2. 3. Euryrhynchidae

Euryrhynchidae영어 Holthuis, 1950[1]

Euryrhynchidae영어


2. 4. 광대새우과 (Gnathophyllidae)

광대새우과는 1852년 다나에 의해 명명되었다. 한국에서는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은 광대새우가 이 과에 속한다.

2. 5. Hymenoceridae

Hymenoceridaela Ortmann, 1890

2. 6. Kakaducarididae

Kakaducarididae Bruce, 1993[1]

2. 7. 징거미과 (Palaemonidae)

징거미과(Palaemonidae)는 1815년에 라피네스크(Rafinesqu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 징거미과는 한국의 민물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2. 8. 장님새우과 (Typhlocarididae)

장님새우과(Typhlocarididae)는 Annandale & Kemp이 1913년에 명명한 과이다. 한국의 일부 동굴에서 발견되는 희귀종으로, 환경 변화에 취약하여 보호가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2] 서적 Decapod Crustacean Phylogenetics CRC Press
[3]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rmbr.nus.edu.[...] 2012-08-26
[4] 서적 Decapod Crustacean Phylogenetics http://books.google.[...] CR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