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투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투라지는 고대 인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드 게임이다. 이 게임은 현대 체스의 조상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기원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차투라지는 말의 종류와 이동 규칙, 주사위 사용, 점수 계산 등 고유한 규칙을 가지고 있으며, 왕, 코끼리, 말, 보트, 폰 등의 말을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점수를 얻는 것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투랑가계 게임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차투랑가계 게임 - 샹치
    샹치는 두 경기자가 각 16개 기물로 상대방의 장 또는 수를 체크메이트하여 승리하는 중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각 기물은 고유한 움직임 방식을 가지며 하계를 경계로 나뉜 장기판에서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구사하는 인기 게임이다.
차투라지
개요
종류보드 게임, 체스 변형
인원4명
기술운, 전략
역사
기원인도
시대12세기
게임 요소
말의 종류왕, 코끼리, 말, 배, 졸
주사위2개
관련 게임
관련 게임차투랑가, 체스

2. 역사

히람 콕스의 ''차투라지'' 보드 도표


고대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에는 차투라지와 유사한 게임에 대한 언급이 있으나, 이것이 정말 차투라지인지 아니면 파치시와 같은 레이스 게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텍스트의 비평판에는 게임 보드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 이는 나중에 추가된 것임을 나타낸다.

18세기 말 히람 콕스는 차투라지가 차투랑가의 전신이며 현대 체스의 조상이라는 이론 (콕스-포브스 이론)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현대 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마하바라타''의 언급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브라만으로 자처하며, 이름은 칸카라고 하고 주사위와 놀이를 좋아하며, 그 고결한 마음을 가진 왕의 신하가 되리라. 그리고 아름다운 상아로 만든 체스판 위에서,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 흰색의 체스 말을 움직이며, 검은색과 빨간색 주사위를 던져 왕과 그의 신하와 친구들을 즐겁게 하리라.

> 나는 도박과 주사위 놀이를 좋아하는 브라만 "칸카"가 되어 고결한 마음을 가진 왕의 게임을 즐기는 신하가 될 것이다. 나는 보석 게임 보드 위에 고양이 눈 보석, 금, 상아 게임 조각을 놓고 아름다운 검은색과 빨간색 주사위를 던질 것이다.

2. 1. 기원 논쟁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에는 차투라지와 유사한 게임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11] 이것이 실제로 차투라지를 가리키는 것인지, 아니면 파치시와 같은 다른 종류의 레이스 게임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18세기 말, 히람 콕스는 차투라지가 차투랑가보다 먼저 나온 게임이며, 따라서 현대 체스의 조상이라는 "콕스-포브스 이론"을 제시했다. 19세기 후반, 덩컨 포브스는 이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고, 스튜어트 컬린도 지지했다.[5][12] 그러나 20세기 초, H. J. R. 머레이는 콕스-포브스 이론을 반박했으며, 현대 학자들은 대체로 머레이의 견해를 지지한다. 포브스에 따르면, 이 게임은 정확히 ''차투랑가''라고 불리며, 이는 또한 2인용 게임의 이름이기도 하다. ''차투라지''라는 용어는 체스의 체크메이트에 비견되는 게임 내 위치를 지칭한다.[13] 포브스는 북쪽과 남쪽 플레이어(검정색과 녹색)가 동맹을 맺고 플레이한다고 믿었다.[14]

2. 2. 명칭 혼란



18세기 말, 히람 콕스는 차투라지가 차투랑가보다 먼저 나온 게임이며, 따라서 현대 체스의 조상이라는 설(콕스-포브스 이론)을 제시했다.[5] 덩컨 포브스가 19세기 말에 이 설을 발전시켰고, 스튜어트 컬린이 더 나아가 이 설을 지지했다.[12] 그러나 이 설은 1913년에 H. J. R. 머레이에 의해 부정되었으며, 현대 학자들은 머레이를 지지하고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이 게임은 2인제와 마찬가지로 "차투랑가"라고 불린다. "차투라지"라는 용어는 체스의 체크메이트에 해당하는 게임에서의 배치를 가리킨다.[13] 포브스는 북쪽과 남쪽(흑과 녹)의 플레이어가 아군이 되어, 동쪽과 서쪽(적과 황)의 플레이어와 대전한다고 생각했다.[14]

3. 규칙

차투라지는 4명의 플레이어가 4가지 색깔의 말을 사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이다. 각 플레이어는 두 개의 주사위(4면체 막대 주사위 또는 6면체)를 던져 나온 눈의 수에 따라 말을 움직인다. 체크나 체크메이트는 없으며, 왕(킹)은 다른 말과 마찬가지로 잡을 수 있다.

어떤 주사위를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초기 설명이 일치하지 않지만, H. J. R. 머레이는 정육면체 주사위(6면체)가 직사각형 주사위(4면체)를 대체한 것으로 추정한다.

주사위 눈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말은 다음과 같다. (막대 주사위에는 1과 6이 없다.)

주사위 눈
2작은 배
3
4코끼리
5보병 또는 왕



게임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점수를 얻는 것이다. 상대의 말을 잡으면 점수를 얻는다.

점수
폰(졸)1
보트(배)2
3
코끼리4
킹(왕)5



자신의 왕(킹)이 보드에 남아있는 동안, 세 명의 상대 왕(킹)을 모두 잡으면 54점을 얻는다. 이 점수는 세 군대 모든 말들의 점수를 합한 것이다.

3. 1. 말의 이동

각 말은 고유한 이동 규칙을 갖는다.

  • '''왕:''' 체스의 왕처럼 움직인다.
  • '''코끼리:''' 체스의 처럼 움직인다.
  • '''말:''' 체스의 나이트처럼 움직인다.
  • '''보트:''' 샤트란지의 알필처럼 움직이며, 어떤 방향으로든 두 칸 대각선으로 이동하며 중간 칸을 뛰어넘는다.


은 체스와 같이 움직이지만, 처음 두 칸을 이동하는 옵션은 없다. 각 플레이어의 폰은 초기 배치에 따라 이동 및 상대 말을 잡는 방향이 다르다. 예를 들어, g열의 빨간색 폰은 왼쪽으로 이동하여 a열에서 승진한다.

3. 2. 특수 규칙

보트가 움직여 보트로 채워진 2×2 정사각형이 형성되면 다른 플레이어의 세 보트를 모두 잡는다. 이 규칙을 ''브리하나우카'' 또는 ''보트 승리''라고 부른다.

왕을 움직여 다른 왕의 원래 칸에 들어가면 신하사나를 얻었다고 한다. 만약 플레이어가 아군 플레이어의 왕좌(말이 반대편에 있는 플레이어)에서 신하사나를 얻으면 양쪽 군대를 모두 제어하게 된다.

작은 보트가 2×2칸을 채운 다른 세 개의 작은 보트를 뛰어넘을 때, 그 모든 작은 보트를 잡을 수 있다. 이 규칙은 영어로 "보트 트라이엄프(Boat Triumph)"라고 불린다.

3. 3. 주사위 사용

각 플레이어는 차례마다 두 개의 주사위(4면체 막대 주사위 또는 6면체)를 던져 나온 눈의 수에 따라 말을 움직인다. 플레이어는 주사위를 던지고 잡는 과정에서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각 주사위의 눈에 해당하는 말을 한 번씩, 총 두 번 움직일 수 있다. 같은 말을 두 번 움직이거나, 다른 말을 각각 한 번씩 움직일 수 있다. 원한다면 한 번 또는 두 번 모두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어떤 주사위를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초기 설명이 일치하지 않지만, H. J. R. 머레이는 정육면체 주사위(6면체)가 직사각형 주사위(4면체)를 대체한 것으로 추정한다.

주사위 눈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말은 다음과 같다. (막대 주사위에는 1과 6이 없다.)

주사위 눈
2작은 배
3
4코끼리
5보병 또는 왕


3. 4. 점수 계산

체크나 체크메이트는 없으며, 왕(킹)은 다른 말과 마찬가지로 잡을 수 있다. 게임의 목표는 가능한 많은 점수를 얻는 것이다. 상대의 말을 잡으면 다음과 같은 점수를 얻는다.

점수
폰(졸)1
보트(배)2
3
코끼리4
킹(왕)5



자신의 왕(킹)이 보드에 남아있는 동안, 세 명의 상대 왕(킹)을 모두 잡으면 54점을 얻는다. 이 점수는 세 군대의 모든 말들의 점수를 합한 것이다.

참조

[1] 서적 Murray 1913
[2] 웹사이트 Mahabharata, Book 4, Section 1 http://www.sacred-te[...] 2006-07-22
[3] 서적 The Mahabharata: 4. The Book of Virāṭa, 5. The Book of the Effo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4] 서적 Mahābhārata: Book Four: Virāṭa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and JJC Foundation 2006
[5] 웹사이트 Four-Handed Chaturanga http://history.chess[...]
[6] 서적 Murray 1913
[7] 서적 Forbes 1860
[8] 서적 Forbes 1860
[9] 서적 Murray 1913
[10] 문서 Murray
[11] 웹사이트 Mahabharata, Book 4, Section 1 http://www.sacred-te[...]
[12] 웹사이트 Four-Handed Chaturanga http://history.chess[...]
[13] 서적 Forbes
[14] 서적 Forb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