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찬도방론맥결집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은 조선 시대의 의학 서적입니다. 허준이 선조의 명으로 중국의 《찬도맥결》(纂圖脈訣)의 오류를 바로잡아 펴낸 책입니다.
주요 내용:


  • 기원: 중국 육조시대 고양생(高陽生)이 지은 《찬도맥결》을 바탕으로 합니다.
  • 편찬: 1581년(선조 14년) 허준이 교정 작업을 시작하여, 1612년(광해군 4년)에 간행되었습니다.
  • 구성: 총 4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독의약박물관에는 2권 2책(1권, 3권)만 소장)
  • 권1: 진맥입식(診脈入式) - 맥진에 대한 이론
  • 권2: 오장육부(五臟六腑)ㆍ좌우수진맥(左右手診脈) - 장부의 특성과 맥상 설명
  • 권3: 이십사맥(二十四脈)ㆍ칠표팔리구도(七表八裏九道) - 맥상과 촌관척 부위에 따른 구체적인 사례
  • 권4: 진잡병생사후급폭병후(診雜病生死候及暴病候) - 각종 증상과 진단 방법
  • 내용: 맥진법(진맥 방법)과 오장육부, 각종 병세에 따른 진맥법 등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
  • 의의: 조선시대 의학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허준의 《동의보감》 저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시대 의과 시험의 교재로 활용되기도 했습니다.

추가 정보:

  • 원래 《찬도맥결》은 중국 중세 이전의 유명한 의원들인 희범(希范), 결고(潔古), 통진자(通眞子) 등의 맥론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찬도(纂圖)'라는 이름과 달리, 본문에는 그림이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한독의약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