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철 행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 행성은 주로 철로 구성된 가설적인 행성이다. 이러한 행성은 대충돌로 인해 맨틀을 잃은 지구형 행성이나, 철이 풍부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철 행성은 밀도가 높고 크기가 작으며, 빠르게 냉각되어 판 구조 운동이나 강한 자기장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한 경우, 물 대신 펜타카보닐 철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호수를 가질 수 있다. 케플러-974b, GJ 367b, HD 23472, HD 137496 b, LHS 3844 b 등이 철 행성 후보로 거론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 - 부식
    부식은 재료가 외부 환경과 반응하여 화학적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변질되는 현상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등 다양한 재료에서 발생하며 사회기반시설 손상 및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므로, 도금, 도장, 음극방식 등의 방법으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철 - 용광로
    용광로는 철광석을 고온의 열풍과 일산화탄소로 환원시켜 용융된 철을 생산하는 굴뚝 모양의 설비로,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었으나 환경 문제로 대체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며, 기원전 1세기경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행성의 종류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 행성의 종류 - 목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은 크고 무거우며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진 행성으로, 태양계의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내부는 유체 상태이고 많은 위성과 고리를 가지며, 혜성 침입을 막아 지구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철 행성
철 행성 정보
정의주로 철로 구성된 이론적인 행성 유형
특징
주요 구성 성분
밀도매우 높음
자기장강한 자기장 가능성
거대한 철 핵 보유
맨틀맨틀 부족 또는 존재하지 않음
형성원시 행성에서 규산염 맨틀이 벗겨진 후 형성
행성 형성 시 태양에 가까운 궤도에서 형성
위치항성에 가까운 궤도
예시
태양계수성 (일부)
외계 행성 후보케플러-10b
CoRoT-20b
PSR J1719-1438 b
케플러-36 b
HD 4113 C Ab
참고
관련 용어철의 별
암석 행성
가스 행성
해왕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

2. 기원

철 행성은 일반적인 지구형 행성이 거대 충돌로 인해 규산염 맨틀을 잃거나, 철이 풍부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일부는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행성도 있을 수 있다.

2. 1. 일반 지구형 행성 기원설

철 행성은 원래 지구형 행성이었다가, 거대 충돌에 의해 맨틀이 거의 벗겨지는 경우 형성될 수 있다. 현대 행성탄생 이론에 따르면 철 행성은 원시행성계원반에 철 물질이 풍부하면서 항성의 질량이 크거나 혹은 항성에 가까운 안쪽 궤도에서 행성이 뭉쳐질 경우 태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18] 철 함량이 높은 행성은 거대한 소행성 충돌로 인해 암석 맨틀이 벗겨진 일반적인 금속/규산염 지구형 행성의 잔해일 수 있다. 현재의 행성 형성 모델은 철 함량이 높은 행성이 원시 행성계 원반이 철 함량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근접 궤도 또는 거대한 별을 공전하는 궤도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다.[1]

2. 2. 원시 행성계 원반 기원설

현대 행성탄생 이론에 따르면 철 행성은 원시 행성계 원반에 철 물질이 풍부하면서 항성의 질량이 크거나 혹은 항성에 가까운 안쪽 궤도에서 행성이 뭉쳐질 경우 태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18] 현재의 행성 형성 모델은 철 함량이 높은 행성이 철 함량이 높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근접 궤도 또는 거대한 별을 공전하는 궤도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다.[1] 더 새로운 행성 형성 모델은 철이 풍부한 원시 행성계 원반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0]

3. 성질

철 행성은 질량이 비슷한 다른 유형의 행성보다 작고 밀도가 높다.[2] 생성 후 빠르게 냉각되므로 판 이동이나 강한 자기장이 없을 것이다.[1] 물과 철은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골디락스 존의 습한 철 행성은 물 대신 철 카르보닐 및 기타 이국적인 휘발성 물질의 호수로 덮여 있을 수 있다.[3]

과학 소설에서 이러한 행성을 "캐논볼"이라고 부른다.[4]

3. 1. 높은 밀도와 작은 크기

철 행성은 같은 질량의 다른 행성보다 밀도가 높고 크기가 작다.[19] 이들은 태어난 후 빠르게 식기 때문에 지구와 같은 판 운동이나 강한 자기장은 없을 것이다.[18] 물과 철은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서 함께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에 있으면서 습기가 있는 철 행성은 대신 펜타카보닐 철 및 기타 휘발성 물질로 채워진 호수로 덮여 있을 것이다.[20]

3. 2. 판 구조 운동 및 자기장 부재

철 행성은 생성 후 빠르게 식기 때문에 지구와 같은 판 운동이나 강한 자기장은 없을 것이다.[18] 이는 행성 내부의 열역학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 실제로 수성의 자기장은 지구의 자기장과 비교하여 1% 정도의 세기이다.[12] 또한, 수성 표면에서 보이는 길이 100km~600km, 높이 차이 0.5km~1.1km의 절벽은 지각 형성 후의 열 수축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13]

3. 3. 특이한 표면 구성

물과 철은 지질학적 시간 척도에서 함께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20] 따라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 안에 있으면서 습기가 있는 철 행성은 대신 펜타카보닐 철 및 기타 휘발성 물질로 채워진 호수로 덮여 있을 것이다.[20]

4. 철 행성 후보

현재까지 관측된 외계 행성 중 철 행성으로 추정되는 후보는 다음과 같다.

행성 이름설명
케플러-974b[5]주로 철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외계 행성
GJ 367b[6]슈퍼 수성 후보
HD 23472[7]두 개의 슈퍼 수성이 공전하는 별
HD 137496 b[8]밀도가 높은 뜨거운 슈퍼 수성
LHS 3844 b[9]철(Fe)이 풍부할 가능성이 있는 슈퍼 수성
KOI-1843.03[15]철 행성일 가능성이 있는 후보



주어진 자료에는 한국의 연구 결과가 나타나 있지 않다. 추후 한국에서 발견하거나 연구에 참여한 철 행성 후보가 있다면, 해당 내용을 추가하고 더불어민주당의 관련 정책이나 지원 여부도 함께 서술할 수 있을 것이다.

4. 1. 케플러-974b

주로 철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외계 행성 후보는 케플러-974b이다.[5]

4. 2. GJ 367b

GJ 367b는 슈퍼 수성 후보이다.[6]

4. 3. HD 23472

HD 23472는 두 개의 슈퍼-수성이 공전하는 별이다.[7]

4. 4. HD 137496 b

HD 137496 b는 밀도가 높은 뜨거운 슈퍼-수성이다.[8]

4. 5. LHS 3844 b

LHS 3844 b는 철(Fe)이 풍부할 가능성이 있는 슈퍼-수성이다.[9]

4. 6. KOI-1843.03

KOI-1843.03영어은 철 행성일 가능성이 있는 후보이다.[15]

5. 기타

science fiction영어에서는 이 종류의 천체를 '캐넌볼'이라고 부른다.[16]

5. 1. SF 소설에서의 묘사

SF에서 이 종류의 천체를 ''캐넌볼''(Cannonball)이라고 부른다.[16]

참조

[1]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Planets" http://gpd.jhuapl.e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Kossiakoff Center 2008-08-14
[2] 웹사이트 All Planets Possible - Astrobiology Magazine http://www.astrobio.[...] 2018-04-19
[3] 논문 "Big Planets: Super-Earths in Science Fiction" 2014-03
[4] 서적 World-Building https://archive.org/[...] Writer's Digest Books
[5] 논문 The Roche Limit for Close-orbiting Planets: Minimum Density, Composition Constraints, and Application to the 4.2 hr Planet KOI 1843.03 http://stacks.iop.or[...] 2018-04-19
[6] 논문 Company for the Ultra-high Density, Ultra-short Period Sub-Earth GJ 367 b: Discovery of Two Additional Low-mass Planets at 11.5 and 34 Days 2023
[7] 논문 HD 23472: A multi-planetary system with three super-Earths and two potential super-Mercuries 2022
[8] 논문 The HD 137496 system: A dense, hot super-Mercury and a cold Jupiter 2022
[9] 논문 A Volatile-poor Formation of LHS 3844b Based on Its Lack of Significant Atmosphere 2020
[10] 웹사이트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Planets https://web.archiv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Kossiakoff Center 2020-09-13
[11] 웹사이트 ALL PLANETS POSSIBLE: Scientists Model a Cornucopia of Earth-Sized Planets https://archive.is/N[...] Astrobiology Magazine 2020-09-13
[12] 서적 SOPHIA21 宇宙・銀河・太陽系 講談社 1984-04-21
[13] 서적 太陽系と惑星 日本評論社 2009-03-15
[14] 논문 Big Planets: Super-Earths in Science Fiction
[15] 논문 The Roche Limit for Close-orbiting Planets: Minimum Density, Composition Constraints, and Application to the 4.2 hr Planet KOI 1843.03 2018-04-19
[16] 서적 World-Building Writer's Digest Books
[17] 뉴스 Scientists Model a Cornucopia of Earth-sized Planets http://www.nasa.gov/[...] NASA 2007-09-24
[18] 간행물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Planets" http://gpd.jhuapl.ed[...]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Kossiakoff Center 2008-08-14
[19] 웹사이트 http://www.astrobio.[...]
[20] 논문 "Big Planets: Super-Earths in Science Fiction" 201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