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엑스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초연 X선원의 종류 및 특징
- 2.1. 발광 초연 X선원 (Luminous Supersoft X-ray Sources)
- 2.2. 우리 은하 내 초연 X선원 (Milky Way SSXSs)
- 2.3. 근접 쌍성 초연 X선원 (Close-binary supersoft source, CBSS)
- 2.4. 공생 쌍성 (Symbiotic binary)
- 2.5. 비상호작용 백색왜성 (Noninteracting white dwarfs)
- 2.6. 격변 변광성 (Cataclysmic variables, CV)
- 2.7. 자기 격변 변광성 (Magnetic cataclysmic variables)
- 2.8. 신성 (Nova)
- 2.9. 행성상 성운 (Planetary nebula)
- 2.10. 초연성 활동 은하핵 (Super soft active galactic nuclei)
- 3. 대진폭 분출 (Large amplitude outbursts)
- 참조
1. 개요
초연 X선원(SSXS)은 수십 eV의 흑체 온도와 1038 erg/s 미만의 전볼로미터 발광도를 특징으로 하는 천체이다. 발광 SSXS는 낮은 등가 흑체 온도와 1036에서 1038 erg/s 범위의 발광도를 가질 수 있으며,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와 같은 나선 은하에서 발견된다. SSXS는 백색 왜성에 강착되는 항성 표면 핵융합으로 엄청난 연 X선 플럭스를 생성하며, 공생 쌍성, 격변 변광성, 자기 격변 변광성, PG 1159 별, 신성, 행성상 성운, 초연성 활동 은하핵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엑스선천문학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엑스선천문학 - 초고광도 엑스선원
초고광도 엑스선원(ULX)은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이 주변 물질을 흡수하며 태양의 수백만 배 밝기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천체로, 좁은 빔 형태로 엑스선을 내뿜으며 중간질량 블랙홀, 퀘이사, 초신성 잔해, 펄사 등으로도 관측될 수 있다. - 엑스선원 천체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엑스선원 천체 - 조석교란
조석교란은 별이 초대질량 블랙홀의 조석력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으로, 파괴된 물질 일부가 블랙홀에 흡수되어 빛을 방출하며, 휴면 블랙홀의 존재를 드러내는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고, 2024년 5월 기준으로 약 100건의 사건이 보고되었다.
초연엑스선원 | |
---|---|
특징 | |
유형 | 항성 |
방출 | 엑스선 |
파장 | 0.09 ~ 2.5 keV (5 ~ 140 옹스트롬) |
발견 | |
발견 시기 | 1990년대 초 |
발견 도구 | ROSAT |
이론 |
2. 초연 X선원의 종류 및 특징
초연 X선원은 그 특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발광 초연 X선원 (Luminous Supersoft X-ray Sources): 수십 eV의 흑체 온도와 /s 정도의 발광도를 가진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우리 은하 내 초연 X선원 (Milky Way SSXSs): 우리 은하 내에서 발견되는 초연 X선원이다. MR 돛자리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근접 쌍성 초연 X선원 (Close-binary supersoft source, CBSS): 백색왜성에 강착되는 항성 표면 핵융합으로 연 X선을 방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공생 쌍성 (Symbiotic binary): 적색 거성과 뜨거운 별(주로 백색 왜성)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비상호작용 백색왜성 (Noninteracting white dwarfs): KPD 0005+5106과 같이 매우 뜨거운 백색 왜성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격변 변광성 (Cataclysmic variables, CV): 백색 왜성과 적색 왜성으로 구성된 근접 쌍성계로, 물질 전달과 핵융합으로 X선을 방출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V 궁수자리 (V Sagittae): 유일한 SSXS 비자성 격변 변광성으로 알려져 있다.
- VY Scl형 격변 변광성 (VY Scl cataclysmic variables): V751 Cyg 등이 여기에 속한다.
- 자기 격변 변광성 (Magnetic cataclysmic variables): 강착으로 인해 코로나 가스가 공급되어 X선을 방출한다.
- PG 1159 별 (PG 1159 stars): 매우 뜨겁고 맥동하는 백색 왜성의 한 종류이다.
- 신성 (Nova): GQ Mus, V1974 Cyg, 신성 LMC 1995 등이 초연 X선원으로 관측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행성상 성운 (Planetary nebula): 소마젤란은하의 1E 0056.8-7154와 같이 행성상 성운과 관련된 백색 왜성도 초연 X선원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 초연성 활동 은하핵 (Super soft active galactic nuclei): 최대 /s의 광도를 갖는다.
2. 1. 발광 초연 X선원 (Luminous Supersoft X-ray Sources)
발광 초연 X선원은 수십 eV(약 20–100 eV)[5]의 특징적인 흑체 온도와 약 10E (약 3E 미만)의 전볼로미터 발광도를 갖는다.[6][5]명백히, 발광 SSXS는 ~15 eV만큼 낮은 등가 흑체 온도와 10E에서 100E 범위의 발광도를 가질 수 있다.[7] 은하수와 안드로메다 은하와 같은 일반적인 나선 은하의 원반에 있는 발광 SSS의 수는 대략 103 정도로 추정된다.[7]
2. 2. 우리 은하 내 초연 X선원 (Milky Way SSXSs)
우리 은하와 구상 성단 M3에서 초연엑스선원(SSXS)이 발견되었다.[6] MR 돛자리(RX J0925.7-4758)는 우리 은하의 희귀한 초연 X선 이중성 중 하나이다.[8] 이 천체는 성간 물질에 의해 심하게 적색화되어 청색 및 자외선 영역에서 관측하기 어렵다.[9] MR 돛자리의 주기는 약 4.03일로, 일반적인 초연성 시스템의 주기(하루 미만)보다 훨씬 길다.[9]2. 3. 근접 쌍성 초연 X선원 (Close-binary supersoft source, CBSS)
CBSS 모델은 엄청난 연엑스선 플럭스를 생성하는 발전기로서 백색왜성(WD)에 강착되는 항성 표면 핵융합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킨다.[8] 1999년 기준으로, 8개의 SSXS는 ~4시간에서 1.35일까지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8]천체명 | 위치 |
---|---|
RX J0019.8+2156 | 은하계 |
RX J0439.8-6809 | 대마젤란 은하 근처 은하계 헤일로 |
RX J0513.9-6951 | 대마젤란 은하 |
RX J0527.8-6954 | 대마젤란 은하 |
RX J0537.7-7034 | 대마젤란 은하 |
CAL 83 | 대마젤란 은하 |
CAL 87 | 대마젤란 은하 |
1E 0035.4-7230 | 소마젤란 은하 |
2. 4. 공생 쌍성 (Symbiotic binary)
변광성의 일종으로, 적색 거성이 외부 껍질을 팽창시켜 질량을 빠르게 항성풍 형태로 잃고 있으며, 다른 뜨거운 별 (종종 백색 왜성)이 가스를 이온화하는 쌍성계이다.[10] 1999년 기준으로 AG Dra (BB, MW), RR Tel (WD, MW), RX J0048.4-7332 (WD, SMC) 세 개의 공생 쌍성 SSXS가 있다.[8]2. 5. 비상호작용 백색왜성 (Noninteracting white dwarfs)
KPD 0005+5106은 온도가 약 100,000K에 달하는, 가장 젊고 뜨거운 백색 왜성 중 하나이다. 이 별은 DO형 백색 왜성이며, ROSAT를 통해 X선원으로 기록된 최초의 단일 백색 왜성이다.[11][12]2. 6. 격변 변광성 (Cataclysmic variables, CV)
격변 변광성(Cataclysmic variables, CV)은 백색 왜성과 적색 왜성으로 구성된 근접 쌍성계로, 로슈엽 오버플로를 통해 물질을 전달한다.[13] 융합 및 강착으로 작동하는 격변 변광성은 모두 X선원으로 관측되었다.[14] 강착 원반은 불안정성을 겪기 쉬워 왜성 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백색 왜성으로 떨어진 원반 물질의 일부는 축적된 수소층 하단의 밀도와 온도가 충분히 높아져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고, 수소층이 헬륨으로 빠르게 연소되는 격변 폭발을 유발한다.V 궁수자리와 V751 Cyg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2. 6. 1. V 궁수자리 (V Sagittae)
V 궁수자리는 아마도 유일한 초연엑스선원(SSXS) 비자성 격변 변광성이다. 볼로미터 광도는 (1–10) x 1037이며, 80 eV 미만의 흑체(BB) 강착체와 0.514195 일의 공전 주기를 포함하는 쌍성이다.[8]강착 원반은 질량 전달률(Ṁ)이 높은 시스템에서 열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13] 이러한 시스템은 왜성 신성의 특징적인 폭발이 없기 때문에 신성 유사(NL) 별이라고 불린다.[15]
2. 6. 2. VY Scl형 격변 변광성 (VY Scl cataclysmic variables)
NL 별들 중에는 2차 구성원으로부터의 Ṁ의 일시적인 감소 또는 중단을 보이는 작은 그룹이 있는데, 이를 VY Scl형 별 또는 반왜성 신성이라고 한다.[16]V751 Cyg (BB, MW)는 VY Scl형 격변광성(CV)으로, 볼로미터 광도는 6.5 x 1036 erg/s이며, 휴지기 상태에서 연 X선을 방출한다.[17] V751 Cyg의 약한 연 X선원의 최소 강도 발견은 일반적으로 휴지기 상태에서 약한 경 X선 방출을 보이는 CV와는 다른 특성으로, 난제를 제시한다.[17]
높은 광도 (6.5 x 1036 erg/s)는 일반적으로 VY Scl형 별의 맥락에서 이해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관측에 따르면 쌍성계가 휴지기 상태에서는 단순한 적색 왜성 + 백색 왜성 쌍으로 변하기 때문이다(원반이 대부분 사라짐).[17] "연 X선에서 높은 광도는 스펙트럼이 왜 적절한 여기 상태를 보이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문제를 제기한다."[17] He II λ4686/Hβ의 비율은 2001년까지 기록된 어떤 스펙트럼에서도 ~0.5를 초과하지 않았는데, 이는 강착(accretion)으로 구동되는 CV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초연성 쌍성(CBSS)에서 흔히 관찰되는 2의 비율에는 미치지 못한다.[17]
허용 가능한 X선 적합성을 낮은 광도 쪽으로 밀어붙이면, 광도가 ~2 x 1033 ergs/s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백색 왜성에서 재처리된 빛의 양이 ~4 x 1031 ergs/s 정도가 되어 이차 구성원의 예상 핵 광도와 거의 같아진다.[17]
2. 7. 자기 격변 변광성 (Magnetic cataclysmic variables)
자기 격변 변광성에서 나오는 X선은 흔하며, 이는 강착이 코로나 가스의 지속적인 공급을 제공하기 때문이다.[25] 이 시스템의 수와 궤도 주기를 비교한 그래프에서는 2~3시간 사이의 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최솟값이 나타난다. 이는 동반성이 완전히 대류를 하게 되고, 일반적인 다이너모(대류 외피 기저부에서 작동)가 더 이상 동반성에 각운동량을 제거할 자기 바람을 제공할 수 없을 때 자기 제동의 효과로 이해할 수 있다.[25] 회전은 행성상 성운과 바람의 비대칭적인 분출에 기인하며,[18] 자기장은 현장 다이너모에 기인한다.[19] 궤도 주기와 회전 주기는 강하게 자화된 백색 왜성에서 동기화된다.[25] 감지 가능한 자기장이 없는 경우에는 절대 동기화되지 않는다.11,000~15,000 K 범위의 온도를 가진 가장 극심한 자기장을 가진 모든 백색 왜성은 EUV/X선원으로는 감지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차갑다. 예를 들어 Grw +70°8247, LB 11146, SBS 1349+5434, PG 1031+234 및 GD 229가 있다.[20]
대부분의 고도로 자기화된 백색 왜성은 고립된 천체로 보이지만, G 23–46 (7.4 MG)과 LB 1116 (670 MG)은 분해되지 않은 쌍성계에 있다.[21]
RE J0317-853은 49,250 K로 가장 뜨거운 자기 백색 왜성이며, ~340 MG의 매우 강한 자기장과 725.4 s의 회전 주기를 가지고 있다.[21] 0.1~0.4 keV 사이에서 RE J0317-853은 ROSAT에 의해 감지되었지만, 0.4~2.4 keV의 고에너지 대역에서는 감지되지 않았다. RE J0317-853은 LB 9802 (또한 푸른 백색 왜성)에서 16초각 떨어진 푸른 별과 관련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는 연관되어 있지 않다.[21] 중심화된 쌍극자 자기장은 관측을 재현할 수 없지만, 남극에서 664 MG, 북극에서 197 MG의 편심 쌍극자 자기장은 가능하다.[21]
1995년까지 PG 1658+441만이 30,000 K 이상의 유효 온도를 가지고 있었다.[21] 이의 극 자기장 강도는 단지 3 MG이다.[21]
ROSAT 광시야 카메라 (WFC) 소스 RE J0616-649는 ~20 MG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22]
PG 1031+234는 ~200 MG에서 거의 1000 MG까지의 표면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3시간24분의 주기로 회전한다.[23]
CV의 자기장은 좁은 강도 범위에 제한되어 있으며, RX J1938.4-4623의 경우 최대 7080 MG이다.[24]
단일 자기 별 중 1999년까지 X선원으로 관측된 것은 없지만, 자기장은 주계열성에서 코로나 유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25]
2. 7. 1. PG 1159 별 (PG 1159 stars)
PG 1159 별은 대기가 탄소와 산소로 지배적인 PG 1159를 프로토타입으로 하는 매우 뜨겁고 종종 맥동하는 백색 왜성의 한 부류이다.[25]PG 1159 별은 ~1038 erg/s의 광도를 가지지만, 상당히 뚜렷한 부류를 형성한다.[26] RX J0122.9-7521은 은하 PG 1159 별로 확인되었다.[27][28]
2. 8. 신성 (Nova)
볼로미터 발광도가 ~1038 erg/s인 세 개의 초연엑스선원(SSXS)인 신성은 GQ 머스케(BB, MW), V1974 시그니(WD, MW), 그리고 신성 LMC 1995(WD)이다.[8] 1999년 당시 신성 LMC 1995가 쌍성이었을 경우 궤도 주기는 알려지지 않았다.1999년까지 재발성 신성인 U 스콜피오는 ROSAT에 의해 관측되지 않았으며, WD(74–76 eV)이고, Lbol ~ (8–60) x 1036 erg/s이며, 궤도 주기는 1.2306일이다.[8]
2. 9. 행성상 성운 (Planetary nebula)
소마젤란은하(SMC)에 위치한 1E 0056.8-7154는 2 x 1037 erg/s의 복사광도를 가진 백색 왜성이며, 이 백색 왜성과 관련된 행성상 성운이 존재한다.[8]2. 10. 초연성 활동 은하핵 (Super soft active galactic nuclei)
초연X선원은 최대 /s의 광도를 갖는다.[8]3. 대진폭 분출 (Large amplitude outbursts)
참조
[1]
웹사이트
Supersoft X-Ray Sources
http://library.think[...]
[2]
웹사이트
Super Soft X-ray Sources - Discovered with ROSAT
http://www.mpe.mpg.d[...]
[3]
웹사이트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Supersoft X-ray Sources
http://www.mpe.mpg.d[...]
[4]
웹사이트
Catalog of Supersoft X-ray Sources
http://www.aip.de/~j[...]
[5]
논문
Supersoft X-ray sources
2006-12
[6]
논문
RX J0045.4+4154: A Recurrent Supersoft X-ray Transient in M31
http://lheawww.gsfc.[...]
1995
[7]
논문
Luminous Supersoft X-Ray Sources
https://pure.uva.nl/[...]
1997
[8]
논문
Catalog of supersoft X-ray sources
http://www.mpe.mpg.d[...]
2000
[9]
논문
Synoptic Observations of the Supersoft Binary MR Velorum (RX J0925.7-4758): Determination of the Orbital Period
http://www.iop.org/E[...]
2001-09
[10]
웹사이트
David Darling site symbiotic star description
http://www.daviddarl[...]
[11]
논문
Detection of the First Coronal X-Ray Source about a White Dwarf
1993-10
[12]
논문
Spectral analysis of the hottest known helium-rich white dwarf: KPD 0005+5106
1994
[13]
논문
Photometric Study of KR Aurigae during the High State in 2001
http://pasj.asj.or.j[...]
2002-12
[1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ataclysmic Variables (CVs)
http://heasarc.gsfc.[...]
[15]
논문
Dwarf-Nova Outbursts
1996
[16]
서적
Cataclysmic Variable St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7]
논문
Superhumps in Cataclysmic Binaries. XX. V751 Cygni
2001-01
[18]
논문
Origin of the rotation rates of single white dwarfs
1998
[19]
논문
Upper Limits for Magnetic Fields on Pulsating White Dwarfs
1997
[20]
논문
A Search for Magnetic Fields among DA White Dwarfs
1995
[21]
논문
RE J0317-853: the hottest known highly magnetic DA white dwarf
1995
[22]
논문
RE J0317-853: the hottest known highly magnetic DA white dwarf
1995-12
[23]
논문
The rotationally modulated Zeeman spectrum at nearly 10 to the 9th Gauss of the white dwarf PG 1031 + 234
1987
[24]
논문
Two-pole accretion in the high-field polar RXJ 1938.6-4612
1995
[25]
논문
White dwarfs in the 1990s
1999
[26]
서적
White Dwarfs
Springer
1995
[27]
논문
X-Ray Discovery of a Hot PG1159 Star, RX J0122.9-7521
1995
[28]
서적
Supersoft X-Ray Sources
1996
[29]
논문
Discovery of a giant and luminous X-ray outburst from the optically inactive galaxy pair RX J1242.6-1119
1999
[30]
웹인용
Supersoft X-Ray Sources
http://library.think[...]
2012-10-26
[31]
저널
RX J0045.4+4154: A Recurrent Supersoft X-ray Transient in M31
http://lheawww.gsfc.[...]
2012-10-26
[32]
저널
http://www.sciencedi[...]
[33]
웹인용
Super Soft X-ray Sources - Discovered with ROSAT
http://www.mpe.mpg.d[...]
[34]
저널
http://www.mpe.mpg.d[...]
[35]
웹인용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Supersoft X-ray Sources
http://www.mpe.mpg.d[...]
[36]
웹인용
Catalog of Supersoft X-ray Sources
http://www.aip.de/~j[...]
2012-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