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은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은하단은 은하군과 은하단이 모여 형성된 거대한 우주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는 우주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필라멘트, 복합 초은하단, 장성, 시트 등으로 불리는 더 큰 구조를 형성한다. 초은하단은 수억 광년에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5% 이상을 차지하며, 그 배열은 초기 우주 조건과 은하 형성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초은하단 사이에는 거시공동이라는 빈 공간이 존재하며, 초은하단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3차원 지도가 활용된다.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초은하단이 관측되었으며, 우리 은하는 국부 은하군에 속하고, 국부 은하군은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일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은하단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에 위치한 거대한 초은하단인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국부 은하군을 포함하며 2억 광년의 직경에 달하고, 약 100개의 은하군과 은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처녀자리 은하단이 자리 잡고 있고, 평탄한 원반과 구형 헤일로로 구성되어 높은 질량 대 광도비로 암흑 물질의 존재를 시사한다.
  • 초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센타우루스자리에 위치한 섀플리 초은하단은 1930년대 할로 섀플리가 발견하고 1989년 소마크 라체우드후리가 재발견하여 섀플리의 업적을 기려 명명되었으며, 국부 은하군을 포함한 주변 은하들의 특이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력체로 우주 거대 구조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우주 거대구조 - 암흑물질
    암흑물질은 전자기파와 상호작용하지 않아 직접 관측은 불가능하지만, 중력 효과를 통해 존재가 예측되며 우주 질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우주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상의 물질로, 윔프나 액시온 등이 그 구성 성분 후보로 연구되고 있다.
  • 우주 거대구조 - 우주 끈
    우주 끈은 끈 이론에서 제안하는 1차원 물체로, 우주의 기원과 구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중력 효과와 중력파를 나타낼 수 있지만, 아직 직접적인 관측 증거는 없는 상태이다.
  • 천문학에 관한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천문학에 관한 - 적외선
    적외선은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780 nm에서 1 mm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로,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뉘며 군사, 의료, 산업, 과학,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초은하단
개요
유형거대한 우주 구조
구성 요소은하군
은하단
특징
설명거대한 은하군 또는 은하단들의 집합
추가 정보
관련 정보우주 거대 구조

2. 존재

초은하단의 존재는 우리 우주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은하는 한데 모여 수십 개 또는 수천 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은하군은하단을 이룬다. 그러한 은하군과 은하단, 그리고 고립된 은하는 초은하단이라 불리는 더욱 거대한 구조를 이룬다.

조지 에이벨은 1958년 에이벨 은하단 목록을 발표하면서 초은하단의 존재를 처음으로 제기했다. 그는 초은하단을 "이차 은하단"(''second-order cluster'') 또는 은하단의 은하단(cluster of clusters)이라고 불렀다.[30]

초은하단은 "필라멘트"(filament), "복합 초은하단"(supercluster complex), "장성"(wall) 또는 "시트"(sheet)라고 불리는 더 거대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들의 크기는 수억 광년에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5% 이상을 차지하는 100억 광년에 이른다. 초은하단의 관측은 초은하단이 형성될 때 우주의 초기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초은하단에 포함된 은하의 회전축 방향 또한 우주의 역사에서 은하의 초기 형성 과정에 대한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31]

초은하단 사이에는 극소수의 은하가 존재하는 거대한 빈 공간인 거시공동이 있다. 초은하단은 은하구름(galaxy cloud)이라 불리는 은하단의 무리로 자주 세분화된다.

3. 분포

초은하단은 우주에서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고, 대부분 은하군과 은하단으로 모여 있다. 이러한 은하군, 은하단, 그리고 고립된 은하들은 더 거대한 구조인 초은하단을 이룬다.

조지 에이벨은 1958년 에이벨 은하단 목록을 발표하면서 초은하단을 "이차 은하단"(''second-order cluster'') 또는 은하단의 은하단(cluster of clusters)이라고 칭하며 그 존재를 상정했다.[30]

초은하단은 "필라멘트"(fillament), "복합 초은하단"(supercluster complex), "장성"(wall) 또는 "시트"(sheet)라고 불리는 더 거대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들은 수억 광년에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5% 이상을 차지하는 100억 광년에 이르는 크기를 가진다. 초은하단의 관측은 초은하단 형성 당시 우주의 초기 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초은하단에 포함된 은하의 회전축 방향은 우주 초기 은하 형성 과정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31]

초은하단 사이에는 거시공동이라 불리는, 극소수의 은하만이 존재하는 거대한 빈 공간이 존재한다. 초은하단은 은하구름(galaxy cloud)이라 불리는 은하단의 무리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왼쪽


수십, 수백만 개의 은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를 통해 초은하단의 배열 방식을 연구한다. 3차원 지도는 초은하단의 위치를 더 자세히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은하의 적색편이를 허블의 법칙을 통해 계산하여 3차원 위치를 파악한다.

초은하단은 우주에서 균일한 형태가 아닌 필라멘트를 따라 배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지도는 극소수의 은하만 포함하는 거대한 거시공동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은하는 거시공동 사이의 필라멘트에서 발견된다. 거시공동은 주로 공 모양을 띠지만, 초은하단은 그렇지 않다. 이들은 직경이 1억 광년에서 4억 광년에 이른다. 은하시트와 거시공동의 배열은 초기 우주에서 은하단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4. 초은하단 목록

은하 초은하단데이터비고
Einasto 초은하단2023년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 이미지를 분석하여 발견.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은하 초은하단이라고 주장했다.[8][9]
King Ghidorah 초은하단2023년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은하 초은하단.[10]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국부 은하군을 포함하며, 우리 은하를 포함한다.[2]
처녀자리 초은하단국부 은하군을 포함한다. 중심 근처에 처녀자리 은하단을 포함하며, 국부 초은하단이라고도 불린다. 47,000개 이상의 은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2014년 연구에 따르면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일부이다.[11]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바다뱀자리 초은하단과 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 두 개의 로브(lobe)로 구성되어 있다. 2014년,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에 흡수되었다.[11]
공작자리-인디언자리 초은하단2014년,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에 흡수되었다.[11]
남부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S373), 도라도 은하단,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을 포함한다.[12]
사라스와티 초은하단Abell 2361과 같은 43개의 거대한 은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고기자리에서 보인다.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섀플리 초은하단


4. 1. 가까운 초은하단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국부 은하군, 나아가 우리 은하를 포함하고 있는 초은하단이다.[33] 2014년에 새로 정의된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은 기존의 처녀자리 초은하단,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 공작자리-인디언자리 초은하단을 포함한다.[34]

초은하단정보설명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국부 은하군, 나아가 우리 은하를 포함하고 있는 초은하단이다.[33]
처녀자리 초은하단우리 은하가 위치한 국부 은하군을 포함한다. 중심부 근처에는 처녀자리 은하단이 위치해있고, 이 초은하단은 때때로 국부 초은하단으로 불린다. 적어도 47,000개가 넘는 은하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구성요소로 편입되었다.[34]
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바다뱀자리-센타우루스자리 초은하단은 두개의 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가끔 "Superclusters"로써 표기되거나, 서로 다른 두가지 이름으로 불린다.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공작자리-인디언자리 초은하단2014년,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구성요소로 편입되었다.[34]
머리털자리 초은하단CfA Homunculus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은하 필라멘트CfA2 장성의 중심부에 위치해있다.
조각가자리 초은하단SCl 9로 불린다.
헤라클레스자리 초은하단SCl 160으로 불린다.
사자자리 초은하단SCl 93으로 불린다.
뱀주인자리 초은하단공작자리-인디언자리-망원경자리 초은하단과 헤라클레스자리 초은하단과 함께 뱀주인자리 공동의 먼 부분의 필라멘트와 연결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성을 구성하고 있다. 이 초은하단의 중심부에는 cD 은하단인 뱀주인자리 초은하단이 있다. 적어도 두개 이상의 은하단, 네 개 이상의 은하군과 개개의 외톨이 은하로 구성되어 있다.[35]
섀플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초은하단 이후에 두번째로 발견된 초은하단이다.



남부 초은하단은 화로자리 은하단, 도라도 은하단,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을 포함한다.[12]

4. 2. 멀리 있는 초은하단



멀리 있는 초은하단은 다음과 같다.

초은하단정보설명
물고기자리-고래자리 초은하단
목동자리 초은하단SCl 138
시계자리 초은하단z=0.063 (7억 광년)시계자리-그물자리 초은하단 전체로 표기되었다.
북쪽왕관자리 초은하단z = 0.07
비둘기자리 초은하단
물병자리 초은하단
물병자리 B 초은하단
물병자리-염소자리 초은하단
물병자리-고래자리 초은하단
목동자리 A 초은하단
조각칼자리 초은하단z = 0.126 (14억 광년)SCl 59
용자리 초은하단
용자리-큰곰자리 초은하단
화로자리-에리다누스자리 초은하단
두루미자리 초은하단
사자자리 A 초은하단
사자자리-육분의자리 초은하단
사자자리-처녀자리 초은하단SCl 107
현미경자리 초은하단SCl 174
페가수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SCl 3
물고기자리 초은하단SCl 24
물고기자리-양자리 초은하단
큰곰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머리털자리 초은하단SCl 111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SCl 40


4. 3. 매우 멀리 있는 초은하단


  • 하이페리온 원시 초은하단: z=2.45로, 2018년 발견 당시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크고 오래된 원시 초은하단이었다.[15][16]
  • 살쾡이자리 초은하단: z=1.27이며, 1999년에 발견되었다.[17] ClG J0848+4453라고도 불리며, 최소 두 개의 은하단 RXJ 0848.9+4452 (z=1.26)와 RXJ 0848.6+4453 (z=1.27)을 포함한다. 발견 당시 가장 멀리 떨어진 초은하단으로 알려졌다.[19]
  • SCL @ 1338+27: z=1.1, 길이는 70Mpc이다. 2001년에 z=1.1에서 23개의 QSO가 특이하게 밀집된 곳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이 은하단 복합체의 크기는 은하 벽이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으며, CfA2 거대 벽 필라멘트의 크기와 비슷하다. 발견 당시 z=0.5 이상에서 가장 크고 가장 멀리 떨어진 초은하단이었다.[21][22]
  • SCL @ 1604+43: z=0.91로, 2000년에 발견되었을 당시 우주 깊숙한 곳에서 발견된 가장 큰 초은하단이었다. Cl 1604+4304 (z=0.897)와 Cl 1604+4321 (z=0.924) 등 두 개의 은하단과 새롭게 발견된 은하단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23]
  • SCL @ 0018+16: z=0.54이며, 전파 은하 54W084C (z=0.544) 주변에 위치한다. 최소 세 개의 큰 은하단 CL 0016+16 (z=0.5455), RX J0018.3+1618 (z=0.5506), RX J0018.8+1602로 구성되어 있다.[24]
  • MS 0302+17: z=0.42, 길이는 6Mpc이다. 동쪽의 CL 0303+1706, 남쪽의 MS 0302+1659, 북쪽의 MS 0302+1717 등 최소 세 개의 은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25]
  • Einasto 초은하단: z = ~0.25 (30억 광년), 길이 = 3억 6천만 광년, 질량 = 2.6 × 1016 태양 질량이다. 2023년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loan Digital Sky Survey) 이미지를 분석하여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은하 초은하단이라고 주장되었다.[8][9]
  • King Ghidorah 초은하단: z = 0.50-0.64, 질량 = 1 × 1016 태양 질량이다. 2023년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은하 초은하단이다.[10]
  • 사라스와티 초은하단: 거리는 40억 광년(1.2 Gpc), 길이는 6억 5천 2백만 광년이다. Abell 2361과 같은 43개의 거대한 은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고기자리에서 보인다.

5. 지구의 위치

우리 은하는 국부 은하군에 속하며, 국부 은하군은 처녀자리 초은하단의 일부이다. 2014년, 처녀자리 초은하단은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일부로 재정의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Local Group http://www.universet[...] 2015-12-06
[2] 논문 Earth's new address: 'Solar System, Milky Way, Laniakea' https://www.nature.c[...] 2014-09-03
[3] 웹사이트 The Universe within 14 billion Light Years http://www.atlasofth[...] 2015-12-06
[4] 뉴스 An Intergalactic Heavyweight http://www.eso.org/p[...] 2013-02-12
[5] 논문 The distribution of rich clusters of galaxies. A catalogue of 2,712 rich clusters found on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Palomar Observatory Sky Survey https://thesis.libra[...] 1958
[6] 논문 Orientation of Galaxies in the Local Supercluster: A Review 2006
[7] 논문 The Sloan Great Wall. Morphology and galaxy content 2011-05-09
[8] 웹사이트 Einasto Supercluster: the new heavyweight contender in the universe {{!}} Tartu Ülikool https://ut.ee/en/con[...] 2024-03-22
[9] 논문 Identification of Superclusters and Their Properties in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Using the WHL Cluster Catalog 2023
[10] 논문 King Ghidorah Supercluster: Mapping the light and dark matter in a new supercluster at z = 0.55 using the subaru hyper suprime-cam https://academic.oup[...] 2022-11-22
[11] 논문 The Laniakea supercluster of galaxies 2014-09-02
[12] 서적 The World of Galaxies Springer, New York, NY. 2020-09-23
[13] 논문 Large-scale structure of galaxies in the Ophiuchus region 2000
[14] 논문 The dynamics of the Corona Borealis supercluster 1988
[15] 간행물 Scientists in Chile unveil 'A Cosmic Titan' cluster of galaxie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10-17
[16] 논문 The progeny of a Cosmic Titan: a massive multi-component proto-supercluster in formation at z=2.45 in VUDS
[17] 논문 An X-Ray-Selected Galaxy Cluster at z = 1.26 1999
[18] 웹사이트 Lynx Supercluster http://simbad.u-stra[...]
[19] 논문 Discovery of a large-scale clumpy structure of the Lynx supercluster at z∼1.2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0] 논문 Optical Identification of the ASCA Lynx Deep Survey: An Association of Quasi-Stellar Objects and a Supercluster at z = 1.3? 2003
[21] 간행물 Subaru Observation of a Supercluster of Galaxies and QSOS at Z = 1.1 2004
[22] 논문 Superclustering of Faint Galaxies in the Field of a QSO Concentration at z ~ 1.1 2001
[23] 논문 A Definitive Optical Detection of a Supercluster at z ≈ 0.91 2000
[24] 논문 Superclustering at Redshift z = 0.54 1996
[25] 문서 The MS0302+17 Supercluster http://www.ifa.hawai[...] University of Hawaii
[26] 문서 宇宙の大規模構造、超銀河団、超空洞、壁 理科年表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s://official.rik[...]
[27] 문서 Earth's new address: 'Solar System, Milky Way, Laniakea' / Nature http://www.nature.co[...]
[28] 웹인용 Local Group http://www.universet[...] 2009-05-04
[29] 웹인용 The Universe within 14 billion Light Years http://www.atlasofth[...]
[30] 논문 The distribution of rich clusters of galaxies. A catalogue of 2712 rich clusters found on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Palomar Observatory Sky Survey 1958
[31] 논문 Orientation of Galaxies in the Local Supercluster: A Review 2006
[32] 뉴스 An Intergalactic Heavyweight http://www.eso.org/p[...] 2013-02-12
[33] 문서 Earth's new address: 'Solar System, Milky Way, Laniakea' / Nature http://www.nature.co[...]
[34] 논문 The Laniakea supercluster of galaxies 2014-09-02
[35] 논문 Large-scale structure of galaxies in the Ophiuchus region
[36] 저널 An X-Ray-Selected Galaxy Cluster at z = 1.26
[37] 웹인용 Lynx Supercluster http://simbad.u-stra[...] 2014-01-02
[38] 콘퍼런스 Discovery of a large-scale clumpy structure of the Lynx supercluster at z∼1.27 케임브리지 유니버서티 프레스
[39] 저널 Optical Identification of the ASCA Lynx Deep Survey: An Association of Quasi-Stellar Objects and a Supercluster at z = 1.3?
[40] 콘퍼런스 Subaru Observation of a Supercluster of Galaxies and QSOS at Z = 1.1"
[41] 저널 Superclustering of Faint Galaxies in the Field of a QSO Concentration at z ~ 1.1
[42] 저널 A Definitive Optical Detection of a Supercluster at [CLC][ITAL]z[/ITAL][/CLC] ≈ 0.91
[43] 저널 Superclustering at Redshift [CLC][ITAL]z[/ITAL] = 0.54[/CLC]
[44] 웹사이트 The MS0302+17 Supercluster http://www.ifa.hawai[...] 2009-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