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주 이수일 신도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충주 이수일 신도비(忠州 李守一 神道碑)는 조선 중기의 무신 이수일(1554∼1632) 장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667년(현종 8년)에 건립된 신도비입니다.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1년 3월 30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05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수일 장군:


  •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庵)입니다.
  •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였습니다.
  •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습니다.
  •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습니다.
  • 사후 좌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무(忠武)입니다.

신도비의 형태:

  • 화강암으로 만든 귀부(받침돌)와 이수(머릿돌), 대리석으로 만든 비신(몸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귀부는 웅장하며 추상적으로 조각되었고, 크기는 높이 약 90㎝, 길이 320㎝, 너비 210㎝입니다.
  • 이수는 반원형 형태로 앞뒤에 각기 2마리의 용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크기는 150×67×57㎝입니다.
  • 비신은 흰색 대리석으로 앞뒷면에 글이 새겨져 있으며, 크기는 97×26×243㎝입니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글씨가 뚜렷합니다.

비문:

  • 비문은 이경여(李敬輿)가 짓고, 김좌명(金佐明)이 썼으며, 제전(題篆, 비석의 머리글)은 김수항(金壽恒)의 글씨입니다.

위치:

  • 충주에서 국도 19호선을 타고 목행대교를 건넌 직후 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오석 방향의 김생로를 타고 약 6.6㎞ 정도 가면 석교라는 곳의 마을 입구에서 안내판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이수일 묘소 앞에 위치해 있습니다. 묘소는 1978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충주 이수일 신도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충주 이수일 신도비
국가충청북도
유형유형문화재
번호205
지정일2001년 3월 30일
주소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산202-1번지
시대조선시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