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극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측극기류는 연농어목, 두꺼비고기목, 아귀목, 대구목, 첨치목 등을 포함하는 어류 분류군이다. 현재는 두꺼비고기목, 아귀목, 첨치목을 극기류로 분류하고, 달고기목과 스틸레포루스목을 포함한다. 측극기류는 연농어목을 포함하는 Percopsaria와 Zeiogadaria로 나뉘며, Zeiogadaria는 달고기목을 포함하는 Zeiariae와 스틸레포루스목, 대구목을 포함하는 Gadariae로 나뉜다. 분자 계통 분석 결과는 형태학적 분류와 모순되는 경우가 있으며, 측극기류는 단일 계통군이 아니고 재분류 과정을 거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측극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Paracanthopterygii |
명명자 | Greenwood 외, 1966년 |
하위 분류군 계급 | 목 |
하위 분류군 | †Sphenocephaliformes 농어붙이목 달고기목 첨치목 대구목 |
2. 하위 분류
이전의 전통적인 분류 방식에는 다음 5개 목이 포함되었다.
- 연농어목 (Percopsiformes)
- 두꺼비고기목 (Batrachoidiformes) - 최근에는 극기류로 분류.
- 아귀목 (Lophiiformes) - 최근에는 극기류로 분류.
- 대구목 (Gadiformes)
- 첨치목 (Ophidiiformes) - 최근에는 극기류로 분류.
하지만, 현재 두꺼비고기목, 아귀목, 첨치목 등은 극기류로 분류하며, 대신에 달고기목(Zeiformes)과 스틸레포루스목(Stylephoriformes)을 포함하고 있다.[8]
Sphenocephaliformes 목은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된 해산어류로, 한때 연농어목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독립된 목으로 취급되고 있다. Sphenocephaliformes 목에는 , 의 2속이 속한다.[9]
3. 계통 분류
2016년과 2017년의 분자생물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측극기류는 더 이상 단일 계통군이 아니며, 여러 번의 재분류 과정을 거치고 있다.[10][11] 현재 측극기류에는 연농어목, 달고기목, 스틸레포루스목, 대구목이 포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8]
측극기류는 과거 진골어류의 하위 분류군인 진정골어아강에 속하는 경골어류의 일군으로, 연어목, 대구목, 실고기목, 갯민어목, 아귀목 등 6개 목을 포함했었다.[4] 하지만, 분자생물학적 분석 결과, 측극기류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졌으며, 연어목과 대구목은 각각 금눈돔목과 달고기목과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5][6]
이러한 분자 계통 분석 결과는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와 모순되는 경우가 많아, 추가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7]
3. 1. 2016년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
2016년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1]{| class="wikitable"
|-
! 계통 분류
|-
|
|}
3. 2. 2017년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
다음은 2016년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이다.[11]{| class="wikitable"
|-
! 측극기류
|-
|
{| class="wikitable"
|-
! Percopsaria
|-
| 연농어목
|-
! Zeiogadaria
|-
|
{| class="wikitable"
|-
! Zeiariae
|-
| 달고기목
|-
! Gadariae
|-
|
|}
|}
|}
|}
참조
[1]
학술지
A new species of the paracanthopterygian Xenyllion (Sphenocephaliformes) from the Mowry Formation (Cenomanian) of Utah, USA
2020
[2]
학술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3]
서적
Family-group names of fossil fishes
https://www.research[...]
[4]
학술지
Phyletic studies of teleostean fishes, with a provisional classification of living forms
[5]
학술지
The interrelationships of acanthomorph fishes: a total evidence approach using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6]
학술지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oadfishes (order Batrachoidiformes) in the higher ray-finned fish as inferred from partitioned Bayesian analysis of 102 whol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7]
서적
Fishes of the world (4th edn)
John Wiley and Sons
[8]
학술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9]
학술지
Earliest North American articulated freshwater acanthomorph fish (Teleostei: Percopsiformes) from Upper Cretaceous deposits of Alberta, Canada
[10]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20-03-12
[11]
문서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