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 애니메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어 애니메이션은 아이폰 소프트웨어 팀에서 개발되었으며, 2006년 WWDC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레이어 객체 간의 위계 구조를 활용하여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하며, 가벼운 데이터 구조로 인해 다수의 객체를 동시에 애니메이션 처리할 수 있다. 암시적 애니메이션과 명시적 애니메이션 모델을 모두 제공하여 개발자가 쉽게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며, 코어 이미지, 코어 비디오, Quartz 기술 등 모든 시각적 요소의 애니메이션을 지원한다. 그래픽 처리 장치(GPU) 가속을 통해 복잡한 애니메이션도 부드럽게 처리하며, 메인 실행 루프와 별도의 스레드에서 애니메이션 시퀀스가 실행되어 애플리케이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acOS API - 오픈스텝
오픈스텝은 넥스트와 선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환경 및 API 표준으로, 넥스트스텝을 기반으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acOS, iOS의 Cocoa API 및 GNUstep과 같은 자유 소프트웨어 구현체의 기반이 되었다. - MacOS API - 코어 오디오
코어 오디오는 macOS의 오디오 프레임워크로서 낮은 레이턴시와 유연한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오디오 유닛 플러그인, 다양한 오디오 포맷, 그리고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등의 서비스로 구성된다. - 2007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는 2007년 1월 30일에 출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 체제이며, 윈도우 XP의 후속작으로 윈도우 에어로, 빠른 검색, 보안 강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 2007년 소프트웨어 - 맥 OS X 레퍼드
맥 OS X 레퍼드는 2007년에 출시된 애플의 운영 체제로, Time Machine, Spaces 등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개발자 기술 측면에서 다양한 개선을 이루었다.
코어 애니메이션 | |
---|---|
개요 | |
![]() | |
종류 | 애니메이션 그래픽 합성 프레임워크 |
개발사 | 애플 |
운영 체제 | macOS |
출시일 | 2007년 |
기술적 세부 사항 | |
기반 | 쿼츠 |
API | 코코아 |
2. 역사
코어 애니메이션은 아이폰 소프트웨어 팀에 의해 처음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식적으로는 2006년 8월 7일 WWDC 2006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3], Mac OS X v10.5 레오파드에 처음 탑재되었다. 이후 2007년 맥월드 엑스포에서 애플은 아이폰이 특별히 개조된 버전의 OS X를 실행하며 코어 애니메이션을 사용한다고 발표하였다.
코어 애니메이션은 레이어 객체들의 위계 구조를 활용하여, 간단한 프로그래밍만으로도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효과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벼운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백 개의 객체 레이어를 동시에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표시하는 것이 용이하다.
3. 특징
추상화된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는 애니메이션이 다른 스레드나 응용 프로그램의 활동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다. 프레임 속도 관리는 코어 애니메이션이 직접 담당하며, 화면 내용에 변화가 생길 때만 다시 그리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유연한 레이아웃 관리 기능을 통해 특정 레이어의 크기와 위치를 다른 연관된 레이어들과의 상대적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코어 애니메이션은 개발자가 애니메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암시적 애니메이션''과 ''명시적 애니메이션'' 모델을 제공하며,[2] GPU 가속,[1] 다른 쿼츠 기술과의 통합[1]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1. 함축적 애니메이션과 명시적 애니메이션
'''코어 애니메이션'''은 명시적 애니메이션 방법과 암시적 애니메이션 방법을 모두 지원하여, 개발자가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
암시적 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 대상 요소의 속성이 변경될 때, 코어 애니메이션이 자동으로 중간 과정을 보간하여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개발자가 애니메이션을 위한 별도의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비교적 쉽게 동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2]
반면, 명시적 애니메이션은 개발자가 애니메이션 객체를 직접 생성하고 시작 상태와 최종 상태를 명확하게 지정하여 애니메이션의 세부 과정을 제어하는 방식이다.[2] 개발자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여 더욱 다채롭고 복잡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3. 2. 그래픽 처리 장치(GPU) 가속
코어 애니메이션은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활용하여 렌더링 과정을 가속할 수 있다.[1][4] 이는 코어 이미지, 코어 비디오, 다른 쿼츠 기술과 같은 다양한 시각적 요소의 애니메이션 처리에 적용된다.[1][4] GPU 가속을 통해 복잡한 애니메이션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의 부담을 줄여 응용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코어 애니메이션으로 구현되는 애니메이션 시퀀스는 메인 실행 루프와는 별도의 스레드에서 실행된다.[1][4] 이 덕분에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동안에도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는 등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한다.[1][4] 진행 중인 애니메이션을 중단하거나 되돌리는 등의 제어도 가능하다.[1][4]
3. 3. 코어 이미지 및 코어 비디오와의 통합
코어 애니메이션은 모든 시각적 요소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 수 있으며, 코어 이미지, 코어 비디오, 그리고 다른 쿼츠 기술들과 통합되어 작동한다.[4][1] 이를 통해 개발자는 다양한 그래픽 기술에 걸쳐 일관된 방식으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코어 애니메이션은 다른 그래픽 모델과 마찬가지로 그래픽 프로세서(GPU)를 활용하여 렌더링 과정을 가속할 수 있다.[4][1]
4. 응용 프로그램 성능
애니메이션 시퀀스는 메인 실행 루프와 독립된 스레드에서 실행되므로, 애니메이션이 진행되는 중에도 응용 프로그램은 계속해서 작동할 수 있다. 이 방식 덕분에 애니메이션은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진행 중인 애니메이션을 중단하거나 반전시키고, 대상을 다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1][4]
기존의 코코아(Cocoa) 애니메이션을 코어 애니메이션으로 업데이트하는 작업은 비교적 간단하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표준 GUI 위젯과 창은 초기에 코어 애니메이션 설정 명령에 등록된다. 또한, 코어 애니메이션 관련 코드는 표준 GUI 로직과 분리되어 관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Apple – Developer – Leopard Technology Series for Developers – Leopard Developer Application Technologies Overview
https://developer.ap[...]
2007-06-12
[2]
웹사이트
Apple – Mac OS X Leopard – Technology – Core Animation
https://web.archive.[...]
2007-10-30
[3]
문서
Apple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2000s
[4]
웹인용
Leopard Technology Series for Developers: Leopard Developer Application Technologies Overview
https://web.archive.[...]
2008-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