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이우 레닌 기념비의 붕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이우 레닌 기념비의 붕괴는 2013년 12월 유로마이단 시위 중 키이우에 있던 레닌 동상이 철거된 사건이다. 이 동상은 1946년 12월 5일 셰브첸코 대로와 흐레샤티크 거리가 만나는 지점에 세워졌으며, 소비에트 연방의 조각가 세르게이 메르쿠노프가 제작했다. 2013년 12월 8일 시위대가 동상을 끌어내리면서 붕괴되었고, 이후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레닌 기념비를 비롯한 공산주의 기념물들이 파괴되거나 제거되는 "레니노파드" 현상이 일어났다. 붕괴 이후 키이우 시민들은 이 사건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우크라이나 - 유로마이단
유로마이단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반정부 시위 운동으로, 친EU 정책 철회, 러시아 압력, 사회 문제에 대한 반발로 인해 발생하여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사임과 친유럽 통합을 요구하며 격화되었고, 우크라이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 2013년 우크라이나 - 2013년 12월 11일 유로마이단 공격
2013년 12월 11일 유로마이단 공격은 베르쿠트 특수 경찰 부대가 유로마이단 시위대를 강제 진압하려 한 사건으로, 체포와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야누코비치 정부 붕괴와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및 우크라이나 침공에 영향을 미쳤다. - 2013년 12월 - 창어 3호
2013년 달의 폭풍의 바다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착륙선 창어 3호는 중국 최초로 달 착륙 및 탐사 로버를 성공적으로 운용하며 달 표면 조사, 우주 환경 감지, 월면 천체 관측 등 다양한 과학적 목표를 수행했고, 현재까지도 운용되며 달 탐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2013년 12월 -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는 미얀마에서 44년 만에 개최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종합 스포츠 대회로, 11개국 선수들이 34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태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회 기간 동안 일부 논란이 있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2014년 크림반도 합병과 돈바스 전쟁을 거쳐 2022년 러시아의 전면 침공으로 확대된 진행 중인 분쟁으로, 복잡한 역사, 지정학적 위치, 나토 확장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며 국제법 위반으로 규탄받고 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민스크 협정
민스크 협정은 2014년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의 평화를 위해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체결된 협정으로, 휴전, 권력 분권화, 휴전 감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지만, 분쟁 지속으로 인해 효력을 잃었다.
키이우 레닌 기념비의 붕괴 | |
---|---|
개요 | |
![]() | |
위치 | 키이우 |
좌표 | 50°27′07″N 30°31′23″E |
날짜 | 2013년 12월 8일 |
목표 | 유로마이단 시위대의 항의 |
원인 | 유로마이단 정부의 반대 시위 금지법 |
사건 배경 | |
배경 | 키이우의 레닌 기념비는 우크라이나의 마지막 레닌 기념비 중 하나였다. |
정치적 맥락 | 2013년 12월 1일부터 키이우에서 레닌 동상을 철거하라는 요구가 있었다. |
이전 시도 | 2009년에도 레닌 동상을 파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다. |
붕괴 | |
날짜 및 시간 | 2013년 12월 8일 |
방법 | 시위대가 동상을 넘어뜨리고 망치로 부쉈다. |
참여자 | 스보보다 당원 시위대 |
여파 | |
반응 | 다양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일부는 환영하고 일부는 비판했다. |
대체 | 동상 자리에는 다양한 예술 작품과 조형물이 설치되었다. |
법적 조치 | 파괴 행위에 대한 법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
기타 | |
관련 사건 |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유사한 레닌 동상 철거 사건이 발생했다. |
추가 정보 | 이 사건은 유로마이단 시위의 중요한 상징적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 |
2. 배경
키이우의 레닌 동상은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제작되어 1939년 뉴욕 박람회에 전시된 후 1946년 키이우에 설치되었다. 이 동상은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반대로 유지되었다. 독립 이후 동상 철거 시도 등으로 인해 경찰의 감시가 강화되었다.
2. 1. 건립 과정
세르게이 메르쿠노프가 소비에트 연방 시절 카렐리야 공화국에서 레닌 묘에 조각했던 것과 동일한 키이우의 레닌 동상은 3.45m 크기였다. 이 동상은 1939년 뉴욕 박람회에 전시되었다가 1946년 12월 5일 키예프의 셰브첸코 대로 사거리 ''Khreshchatyk'' 가에 세워졌다.[2]2. 2. 초기 역사
키이우의 레닌 동상은 높이 3.45m로, 소비에트 연방 시절 조각가 세르게이 메르쿠노프가 카렐리야 공화국에서 레닌의 묘지에 조각한 것과 동일한 작품이다. 이 동상은 1939년 뉴욕 박람회에 전시된 후, 1946년 12월 5일 키이우의 셰브첸코 대로 사거리 ''Khreshchatyk'' 가에 세워졌다.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소비에트 연방의 전체주의를 상징하는 이 기념물은 독립 이후 철거되었어야 했다.[2] 그러나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저항으로 키이우에 남은 마지막 레닌 동상은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독립 이후 동상 철거 시도와 같은 여러 사건이 발생했고, 이 때문에 경찰 병력이 증강되어 감시가 이루어졌다.
3. 붕괴 과정
2013년 12월 1일, 유로마이단 시위 도중 복면을 쓴 사람들이 동상 철거를 시도했으나 경찰의 저지로 실패했고, 유로마이단 주도자들은 이 시도에 대해 비판했다. 12월 8일, 시민들이 스보보다가 이 사건을 주도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고,[3] 시위 참가자들이 동상을 끌어내려 붕괴시켰다. 경찰은 이를 방관했다.[4] 동상이 붕괴되자 군중은 우크라이나 국가를 불렀고, 동상 조각은 시위 참여자들의 기념품이 되었다.[5][6]
3. 1. 2013년 12월 1일 시도
2013년 12월 1일, 복면을 쓴 사람들이 유로마이단 시위 도중 동상 철거를 시도했다. 경찰은 즉각 기동대를 보내 저지하고자 했으나 공격을 받아 일단 철수했다. 유로마이단 주도자들은 즉각 동상 철거 시도와 경찰 병력과의 대치 모두에 대해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3][4][5][6]3. 2. 2013년 12월 8일 붕괴
2013년 12월 8일, 시위 참가자들이 키이우에 있는 레닌 기념비를 끌어내려 파괴했고,[4] 경찰은 이 상황을 방관했다.[4] 동상이 땅에 떨어지면서 부서지자, 군중은 우크라이나 국가를 불렀다.[5] 이후 사람들은 동상 조각을 기념품으로 가져갔다.[5][6]시민들은 점차 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스보보다)가 이 사건을 주도했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3]
4. 붕괴 이후
키이우 레닌 동상 붕괴는 우크라이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여러 레닌 기념비의 파괴 또는 제거가 가속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2014년 봄, 유로마이단 시위대는 "Ленінопад"(레니노파드, '레닌의 붕괴'를 의미)라는 구호 아래 키이우, 지토미르, 체멘스키 등지에서 공산주의 기념비를 파괴했다.[7] 다른 도시와 마을에서는 중장비를 동원해 기념물을 제거하고 고철 처리장 등에 버렸다.[8][9]
4. 1. 레니노파드 (레닌의 붕괴)
키이우 레닌 동상의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레닌 기념비를 비롯한 공산주의 기념물들이 파괴되거나 제거되는 현상이 가속화되었다. 2014년 봄까지 유로마이단 시위대들은 "Ленінопад"(레니노파드, '레닌의 붕괴'를 의미)라는 구호 아래 키이우 지역, 지토미르, 체멘스키 등의 지역에서 이러한 움직임을 주도했다.[7] 다른 도시와 마을에서는 중장비를 동원하여 기념물들을 철거했고, 그 잔해는 고철 처리장 등에 버려졌다.[8][9]4. 2. 정치권의 반응
우크라이나 민주 개혁 동맹(UDAR) 소속 의원 발레리 카르푼소프는 우크라이나 경찰이 키이우 레닌 동상이 무너지는 동안 주변에 있던 사람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10]4. 3. 시민들의 반응
키이우 주민 대다수(69%)는 시위 중 레닌 동상을 무너뜨린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긍정적인 의견은 13%였고, 15%는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11]5. 사진 자료
이 섹션은 붕괴 이후의 레닌 동상과 그 잔해 사진들을 보여주는 섹션이므로, 하위 섹션의 이미지를 그대로 나열하는 것은 중복이다. 따라서 이 섹션에서는 사진 자료가 있다는 사실만 간략하게 언급하고,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적절하다.
결과:
(사진 자료는 하위 섹션 참조)
5. 1. 붕괴 직후
5. 2. 시위 현장
5. 3. 현재 모습
참조
[1]
뉴스
Mannequins placed in Lenin’s old spot
http://www.kyivpost.[...]
2014-04-13
[2]
웹사이트
Про заходи у зв'язку з 75-ми роковинами Голодомору 1932 – 1933 років в Україні
http://www.president[...]
2014-01-28
[3]
웹사이트
Svoboda assumes responsibility for pulling down Lenin monument in Kyiv
http://zik.ua/en/new[...]
[4]
웹사이트
Lenin statue toppled in Ukraine protest
http://www.cnn.com/2[...]
[5]
웹사이트
Full Video of Protesters In Kyiv Toppling, Decapitating Lenin Statue
http://hypervocal.co[...]
[6]
웹사이트
Protesters rid Kyiv of Lenin statue
http://www.kyivpost.[...]
[7]
뉴스
Ленінопад триває: вождя скинули в Каневі, Миколаєві, Херсоні
http://tsn.ua/ukrayi[...]
TSN
2014-04-13
[8]
뉴스
В Україні – Ленінопад: пам’ятники вождю падають один за одним
http://www.radiosvob[...]
2014-04-13
[9]
뉴스
Good Bye Lenin! Десовєтизація України. Кінець 2013 - початок 2014 років
http://iaryna.cartod[...]
2014-04-13
[10]
뉴스
Міліція вже почала затримувати людей за повалення пам'ятника Леніну - УДАР
http://www.pravda.co[...]
2014-04-13
[11]
웹인용
PRESS-RELEASE “ATTITUDE OF RESIDENTS OF Kyiv TO REMOVAL OF LENIN’S MONUMENT” In the period from 10 to 14 of December 2013 the company Research & Branding Group
http://rb.com.ua/PR_[...]
2014-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