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로파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로파워는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와 NASA가 개발한 우주용 초소형 원자로이다. 10kW의 전력을 생산하며, 노심의 크기는 지름 11cm, 높이 25cm로 작지만, 한 번 연료를 주입하면 10년간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NASA는 2028년 달에 킬로파워 원자로를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킬로파워 4기를 설치하면 달 기지에서 6명의 우주인이 생활하며 탐사 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 킬로파워 프로젝트의 지상 시험인 '크러스티'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800도의 고온에서도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킬로파워는 우주 탐사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 핵추진 잠수함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로 종류 - 핵융합로
핵융합로는 원자핵 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 임계 플라스마 조건 유지가 필수적이며, 중수소-삼중수소, 중수소-헬륨-3, 양성자-붕소-11 등의 반응이 연구되고 있고,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장점과 높은 비용, 방사화 문제 등의 단점이 있으며, 다양한 플라스마 가둠 방식과 에너지 회수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 원자로 종류 - 증식로
증식로는 핵분열성 물질 소모량보다 생산량이 많도록 설계된 원자로로, 높은 중성자 경제성을 통해 핵폐기물 감소 및 연료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지만 핵확산 위험, 경제성, 안전성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NASA의 계획 - EPOXI
EPOXI는 NASA의 확장 임무로, 딥 임팩트 탐사선을 활용하여 혜성 탐사(DIXI)와 외계 행성 관측(EPOCh)을 수행했으며, 2010년 하틀리 2 혜성 근접 비행을 통해 혜성 핵을 관측하고 외계 행성들의 분광학적 관측을 진행했다. - NASA의 계획 - 아폴로 계획
아폴로 계획은 미국의 유인 우주 탐사 계획으로,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는 데 성공하며 냉전 시대 미국 기술력의 상징이 되었다.
킬로파워 | |
---|---|
개요 | |
![]() | |
원자로 정보 | |
이름 | 킬로파워 원자로 |
개념 | 스털링 엔진 |
세대 | 실험적 |
유형 | 해당 없음 |
상태 | 개발 중 |
연료 유형 | HEU (고농축 우라늄) |
연료 상태 | 고체 (주조 실린더) |
제어 | 탄화붕소 제어봉 |
반사체 | 산화베릴륨 방사형 반사체 |
냉각재 | 나트륨 히트 파이프 |
감속재 | 해당 없음 |
전기 출력 | 1-10 kW |
열 출력 | 4.3–43.3 kWth |
용도 | 장기 우주 임무 |
웹사이트 | NASA 킬로파워 웹사이트 |
2. 역사
2018년 5월,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와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용 초소형 원자로(킬로파워)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킬로파워는 핵반응이 일어나는 '노심'이 지름 11cm, 높이 25cm로 매우 작지만, 연료를 한 번만 넣어도 10년간 계속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10kW 전기를 생산하는 킬로파워 4기를 설치하면 달에 있는 우주기지에서 6명의 우주인이 생활하면서 탐사 장비 충전 및 운용이 가능하다. NASA는 2028년 달에 초소형 원자로를 설치할 계획이다.
킬로파워 프로젝트를 지상에서 구현하는 마지막 단계인 '크러스티' 시험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네바다 안보국에서 수행되었고, 800°C의 고온에서도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18]
2. 1. 개발 배경
2012년 9월, 킬로파워 개발은 플랫탑 조립체를 핵 열원으로 사용한 DUFF(Demonstration Using Flattop Fissions, 평탄형 핵분열을 이용한 시연) 실험으로 시작되었다. DUFF 실험은 네바다 시험장에서 진행되었으며, 핵분열 에너지를 사용하는 최초의 스털링 엔진이자, 원자로에서 발전 변환 시스템으로 열을 수송하는 데 히트 파이프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례이다.[13]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의 소형 핵 원자로 프로젝트 관리자인 패트릭 맥클루어와 소형 핵분열 원자로 설계 팀의 리더인 데이비드 포스톤에 따르면,[16] DUFF 실험은 "저전력 원자로 시스템의 경우, 핵 실험이 기존 인프라 및 규제 환경 내에서 합리적인 비용과 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3]2. 2. KRUSTY 시험 및 핵분열 성공
2017년, KRUSTY 시험용 원자로가 완성되었다. KRUSTY는 최대 1킬로와트의 전력을 생산하도록 설계되었다.[14]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네바다 국립 안보 시설에서 KRUSTY의 테스트가 수행되었다.[1] 2018년 3월 20일, KRUSTY 원자로는 우라늄-235 28kg을 원자로 코어로 사용하여 28시간 동안 최대 출력으로 가동되었다. 850°C에서 약 5.5kW의 핵분열 전력을 생성했다. 스털링 엔진 끄기, 제어 로드 조정, 열 사이클링, 열 제거 시스템 비활성화 등 실패 시나리오를 평가하였고, 스크램 테스트로 실험이 마무리되었다.[17] KRUSTY 실험은 1965년 SNAP-10A 실험용 원자로 이후 미국이 우주 원자로에 대한 지상 테스트를 수행한 첫 번째 사례이다.[16]3. 기술적 특징
킬로파워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가진다.
- 핵연료 및 원자로 코어: 93% 우라늄-235와 7% 몰리브덴 합금을 핵연료로 사용하며,[10][6] 고체 주조 합금 구조의 원자로 코어는 산화 베릴륨 반사체로 둘러싸여 있다. 이는 중성자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연쇄 반응을 지속시키고, 감마선 방출을 줄여 탑재된 전자 장치를 보호한다.[7]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에 사용되는 플루토늄-238과 같은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의 공급 불확실성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
- 무게: KRUSTY 1kWe 모델은 134kg이며, 우라늄-235 28kg을 포함한다. 화성용 10kWe 모델은 총 1500kg(코어 226kg 포함), 우라늄-235 43.7kg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4][9]
- 반응 제어 및 안전성: 핵반응 제어는 중성자 흡수체인 붕소 탄화물 막대 하나로 이루어진다.[10] 원자로는 차갑게 발사되어 고도로 방사성인 핵분열 생성물이 생기는 것을 막도록 설계되었다. 원자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중성자 흡수 붕소 막대를 제거하여 핵 연쇄 반응이 시작되도록 한다.[10] 제어봉 삽입 깊이는 우라늄 핵분열 속도를 조절하여 열 출력이 부하에 맞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킬로파워는 광범위한 환경과 시나리오에서 본질적 안전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여러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핵융해를 완화한다. 수동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냉각수 순환을 위한 기계적 메커니즘이 불필요하다. 원자로 설계는 음의 연료 온도 반응도 계수를 생성하는 설계 기하학을 통해 자체 규제된다.[12]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 원자로 온도가 감소하고, 이는 수축을 유발하여 중성자 누출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반응성이 증가하고 전력 출력이 증가하여 수요를 충족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전력 수요가 낮을 때에도 동일하게 작동한다.[9]
- 열 전달 및 발전: 액체 나트륨으로 채워진 수동 열 파이프가 원자로 코어 열을 자유 피스톤 스털링 엔진으로 전달하며, 이 엔진은 왕복 운동을 생성하여 선형 전기 발전기를 구동한다.[11] 액체 나트륨은 약 400°C에서 700°C 사이의 고온에서 자유롭게 흐르며, 핵분열 코어는 일반적으로 약 600°C에서 작동한다.
3. 1. 핵연료 및 원자로 코어
킬로파워는 93% 우라늄-235와 7% 몰리브덴 합금을 핵연료로 사용한다.[10][6] 원자로 코어는 고체 주조 합금 구조이며, 산화 베릴륨 반사체로 둘러싸여 있다. 산화 베릴륨 반사체는 중성자가 원자로 코어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연쇄 반응을 지속시키고, 탑재된 전자 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감마선 방출을 줄여준다.[7] 우라늄 코어는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에 사용되는 플루토늄-238과 같은 다른 방사성 동위원소의 공급 불확실성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8]KRUSTY 1kWe 킬로파워 원자로의 무게는 134kg이며, 우라늄-235 28kg을 포함한다. 화성용 우주 등급 10kWe 킬로파워는 총 질량 1500kg(코어 226kg 포함), 우라늄-235 43.7kg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4][9]
3. 2. 반응 제어 및 안전성
핵반응 제어는 중성자 흡수체인 붕소 탄화물 막대 하나로 이루어진다.[10] 이 원자로는 차갑게 발사되어 고도로 방사성인 핵분열 생성물이 생기는 것을 막도록 설계되었다. 원자로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중성자 흡수 붕소 막대를 제거하여 핵 연쇄 반응이 시작되도록 한다.[10] 제어봉 삽입 깊이는 우라늄 핵분열 속도를 조절하여 열 출력이 부하에 맞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킬로파워는 광범위한 환경과 시나리오에서 본질적 안전을 확보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여러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핵융해를 완화한다. 수동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냉각수 순환을 위한 기계적 메커니즘이 불필요하다. 원자로 설계는 음의 연료 온도 반응도 계수를 생성하는 설계 기하학을 통해 자체 규제된다.[12]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 원자로 온도가 감소하고, 이는 수축을 유발하여 중성자 누출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반응성이 증가하고 전력 출력이 증가하여 수요를 충족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전력 수요가 낮을 때에도 동일하게 작동한다.[9]
3. 3. 열 전달 및 발전
액체 나트륨으로 채워진 수동 열 파이프가 원자로 코어 열을 자유 피스톤 스털링 엔진으로 전달하며, 이 엔진은 왕복 운동을 생성하여 선형 전기 발전기를 구동한다.[11] 액체 나트륨은 약 400°C에서 700°C 사이의 고온에서 자유롭게 흐르며, 핵분열 코어는 일반적으로 약 600°C에서 작동한다.4. 활용 분야
킬로파워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우주 탐사: 2018년 5월,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용 초소형 원자로(킬로파워)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 잠수함 (대한민국 관점): 대한민국은 북한의 SLBM 개발로 인해 핵추진 잠수함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다.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는 킬로파워 기술을 바탕으로 2 MW 전기출력의 메가파워 원자로 개념도 개발했다. 메가파워는 트레일러로 이동 가능하며, 전력이 필요한 지역에 도착 후 3일(72시간) 안에 운영 가능하다.
4. 1. 우주 탐사
2018년 5월,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와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용 초소형 원자로(킬로파워)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NASA는 2028년 달에 10kW 전기를 생산하는 킬로파워 4기를 설치하여, 달 우주기지에서 6명의 우주인이 생활하며 탐사 장비를 충전 및 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18]4. 2. 잠수함 (대한민국 관점)
대한민국은 북한의 SLBM 개발 때문에 핵추진 잠수함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크다. 도산안창호급 잠수함은 전기출력 600 kW의 연료전지를 탑재해서, 매우 느린 속도로만 수중 운행이 가능한데, 수중 최고 속도인 20 노트(시속 37 km)를 내려면 2 MW의 전기출력이 필요하다.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는 킬로파워 기술로 2 MW 전기출력의 메가파워 원자로의 개념도 개발했다. 메가파워는 트레일러로 이동이 가능하고, 전력이 필요한 지역에 도착한 뒤 3일(72시간) 만에 운영이 가능하다. 노심 수명은 12년으로, 12년 동안 연료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이 원자로 해체에 드는 시간은 7일이다.
즉, 과거에는 핵추진 잠수함을 개발하려면 소형 원자로 개발 및 잠수함 내부 설치가 복잡했지만, 미국에서는 트럭으로 운반 가능한 컨테이너 크기의 메가파워 원자로를 개발했다. 잠수함에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전선만 연결하면 핵추진 잠수함이 된다. 일본은 이러한 초소형 원자로 기술 발달 추이를 예측하여, 초소형 원자로를 끼우기만 하면 핵추진 잠수함이 되도록 디젤 잠수함을 개발했다고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Demonstration Proves Nuclear Fission System Can Provide Space Exploration Power
https://www.nasa.gov[...]
NASA
2018-05-02
[2]
웹사이트
Kilopower Small Fission Technology (KP)
https://techport.nas[...]
NASA
2011-08-09
[3]
웹사이트
Powering Up NASA's Human Reach for the Red Planet
https://www.nasa.gov[...]
NASA
2017-11-13
[4]
논문
Space Nuclear Reactor Development
http://permalink.lan[...]
2017-03-06
[5]
웹사이트
Kilopower Project media slides
https://www.nasa.gov[...]
NASA and Los Alamos
2018-01-26
[6]
뉴스
NASA's Kilopower nuclear reactor would be a space exploration game changer
https://thehill.com/[...]
2019-05-10
[7]
뉴스
NASA successfully tests next-generation space reactor
https://newatlas.com[...]
GIZMAG PTY LTD
2018-05-02
[8]
웹사이트
Plutonium supply for NASA missions faces long-term challenges - SpaceNews.com
https://spacenews.co[...]
2017-10-10
[9]
웹사이트
A small fission reactor for planetary surface and deep space power
http://fiso.spiritas[...]
2019-07-08
[10]
논문
Development of NASA's Small Fission Power System for Science and Human Exploration
https://ntrs.nasa.go[...]
2015-06-01
[11]
뉴스
NASA KRUSTY Nuclear Reactor Could Power Outposts on Mars for Years
https://www.autoevol[...]
SoftNews NET
2018-05-03
[12]
웹사이트
KRUSTY: First of a New Breed of Reactors, Kilopower Part II
https://beyondnerva.[...]
beyondnerva
2017-11-19
[13]
논문
The DUFF experiment - What was learned?
https://www.research[...]
2013-01
[14]
뉴스
NASA to Test Fission Power for Future Mars Colony
https://www.space.co[...]
2017-06-29
[15]
웹사이트
Kilowatt Reactor Using Stirling TechnologY (KRUSTY) Experiment Update Marcy 2017
https://ncsp.llnl.go[...]
2017-03
[16]
보고서
NASA's Kilopower Reactor Development and the Path to Higher Power Missions
https://ntrs.nasa.go[...]
2017-03-04
[17]
웹사이트
KRUSTY: We Have Fission! Kilopower part III
https://beyondnerva.[...]
beyondnerva
2018-05-02
[18]
뉴스
원전은 위험?…이젠 트럭에도 싣고 다닌다, 초소형 원자로 혁명
매일경제
202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