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래난초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래난초아족은 40여 개의 속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타래난초속(Spiranthes)이 대표적이다. 타래난초속은 한국에 자생하며 나선형으로 꼬인 꽃차례가 특징이다. 타래난초속 외에도 Aracamunia, Aulosepalum, Beloglottis 등 다양한 속이 타래난초아족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구난초족 - 백운란속
백운란속은 난초과에 속하며 아시아, 오세아니아, 태평양 지역 등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종을 포함하는 식물 속이다. - 투구난초족 - 산타래난초속
산타래난초속은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산타래난초와 G. orchioides 등이 속하는 난초 속이다. - 1842년 기재된 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842년 기재된 식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타래난초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piranthinae |
명명자 | Lindl. ex Meisn. |
발표 연도 | 1842년 |
상위 분류 | 투구난초족 |
하위 분류 | |
속 | Aracamunia Aulosepalum Beloglottis Brachystele Buchtienia Coccineorchis Cotylolabium Cybebus Cyclopogon Degranvillea Deiregyne Dichromanthus Eltroplectris Eurystyles Funkiella Hapalorchis Helonoma Kionophyton Lankesterella Lyroglossa Mesadenella Mesadenus Nothostele Odontorrhynchus Pelexia Physogyne Pseudogoodyera Pteroglossa Quechua Sacoila Sarcoglottis Sauroglossum Schiedeella Skeptrostachys Sotoa Spiranthes Stalkya Stenorrhynchos Svenkoeltzia Thelyschista Veyretia |
2. 하위 분류
타래난초족에는 40여 개의 속(genus)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타래난초속( ''Spiranthes'' Rich.)은 타래난초아족에 속하는 속으로, 한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속이다. 나선형으로 꼬인 꽃차례가 특징이다.
타래난초속 외에도, ''Aracamunia'' Carnevali & I.Ramírez, ''Aulosepalum'' Garay, ''Beloglottis'' Schltr., ''Brachystele'' Schltr., ''Buchtienia'' Schltr., ''Coccineorchis'' Schltr., ''Cotylolabium'' Garay, ''Cybebus'' Garay, ''Cyclopogon'' C.Presl, ''Degranvillea'' Determann, ''Deiregyne'' Schltr., ''Dichromanthus'' Garay, ''Discyphus'' Schltr., ''Eltroplectris'' Raf., ''Eurystyles'' Wawra, ''Funkiella'' Schltr., ''Greenwoodiella'' Salazar, Hern.-López & J.Sharma, ''Hapalorchis'' Schltr., ''Helonoma'' Garay, ''Kionophyton'' Garay, ''Lankesterella'' Ames, ''Lyroglossa'' Schltr., ''Mesadenella'' Pabst & Garay, ''Mesadenus'' Schltr., ''Microthelys'' Garay, ''Nothostele'' Garay, ''Odontorrhynchus'' M.N.Correa, ''Pelexia'' Poit. ex Lindl., ''Physogyne'' Garay, ''Potosia'' (Schltr.) R.González & Szlach. ex Mytnik, ''Pseudogoodyera'' Schltr., ''Pteroglossa'' Schltr., ''Quechua'' Salazar & L.Jost, ''Sacoila'' Raf., ''Sarcoglottis'' C.Presl, ''Sauroglossum'' Lindl., ''Schiedeella'' Schltr., ''Skeptrostachys'' Garay, ''Sotoa'' Salazar, ''Stalkya'' Garay, ''Stenorrhynchos'' Rich. ex Spreng., ''Svenkoeltzia'' Burns-Bal., ''Thelyschista'' Garay, ''Veyretia'' Szlach. 등이 있다.
2. 1. 타래난초속 (Spiranthes)
타래난초속(Spiranthes)은 타래난초아족에 속하는 속으로, 한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속이다. 나선형으로 꼬인 꽃차례가 특징이다.2. 2. 기타 속
타래난초속( ''Spiranthes'' Rich.) 외에도, ''Aracamunia'' Carnevali & I.Ramírez, ''Aulosepalum'' Garay, ''Beloglottis'' Schltr., ''Brachystele'' Schltr., ''Buchtienia'' Schltr., ''Coccineorchis'' Schltr., ''Cotylolabium'' Garay, ''Cybebus'' Garay, ''Cyclopogon'' C.Presl, ''Degranvillea'' Determann, ''Deiregyne'' Schltr., ''Dichromanthus'' Garay, ''Discyphus'' Schltr., ''Eltroplectris'' Raf., ''Eurystyles'' Wawra, ''Funkiella'' Schltr., ''Greenwoodiella'' Salazar, Hern.-López & J.Sharma, ''Hapalorchis'' Schltr., ''Helonoma'' Garay, ''Kionophyton'' Garay, ''Lankesterella'' Ames, ''Lyroglossa'' Schltr., ''Mesadenella'' Pabst & Garay, ''Mesadenus'' Schltr., ''Microthelys'' Garay, ''Nothostele'' Garay, ''Odontorrhynchus'' M.N.Correa, ''Pelexia'' Poit. ex Lindl., ''Physogyne'' Garay, ''Potosia'' (Schltr.) R.González & Szlach. ex Mytnik, ''Pseudogoodyera'' Schltr., ''Pteroglossa'' Schltr., ''Quechua'' Salazar & L.Jost, ''Sacoila'' Raf., ''Sarcoglottis'' C.Presl, ''Sauroglossum'' Lindl., ''Schiedeella'' Schltr., ''Skeptrostachys'' Garay, ''Sotoa'' Salazar, ''Stalkya'' Garay, ''Stenorrhynchos'' Rich. ex Spreng., ''Svenkoeltzia'' Burns-Bal., ''Thelyschista'' Garay, ''Veyretia'' Szlach. 등이 있다.2. 3. 한국의 자생 식물
참조
[1]
간행물
Pl. Vasc. Gen. t. diagn. 385, comm. 288
1842
[2]
웹사이트
BioOne Quechua, a New Monotypic Genus
http://www.bioone.or[...]
2018-10-21
[3]
서적
Plantarum vascularium genera :secundum ordines naturales digesta eorumque differentiae et affinitates tabulis diagnostacis expositae t. diagn. 385, comm.288
18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