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완 시리즈는 중화 직업봉구 리그의 우승팀을 결정하는 대회로, 전기, 후기 리그 우승팀 또는 플레이오프 승리팀 간의 대결로 진행된다. 7전 4선승제로 진행되며, 2000년 이전에는 한 팀이 두 시즌 모두 우승하면 타이완 시리즈 없이 해당 팀이 우승했다. 유니 세븐일레븐 라이온즈와 중신 브라더스가 각각 10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팀이며, 라쿠텐 몽키스, 웨이취안 드래건스, 푸방 가디언스가 그 뒤를 잇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완 시리즈 - 2011 타이완 시리즈
2011년 타이완 시리즈는 중화 직업봉구 연맹 챔피언 결정전으로,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가 라미고 몽키스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7전 4선승제로 진행, 선수 엔트리 확대, 무승부 없는 승부 결정, 6명의 심판 투입 등의 특징을 보였습니다. -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 차이치창
차이치창은 민주진보당 소속으로 입법위원, 입법원 부원장, CPBL 회장을 역임했으며 타이중 시장 선거에 출마하기도 한 중화민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 직업봉구 대연맹 - 2011 타이완 시리즈
2011년 타이완 시리즈는 중화 직업봉구 연맹 챔피언 결정전으로,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가 라미고 몽키스를 4승 1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7전 4선승제로 진행, 선수 엔트리 확대, 무승부 없는 승부 결정, 6명의 심판 투입 등의 특징을 보였습니다. - 199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안 컵위너스컵
아시안 컵위너스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1990년 창설하여 1990-91 시즌부터 2001-02 시즌까지 각국 컵 대회 우승팀들이 참가했던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으로 폐지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최다 우승국이다. - 199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IVB 배구 월드리그
FIVB 배구 월드리그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한 남자 배구 국제 대회로, 1990년 창설되어 매년 개최되었으나 2018년부터 배구 네이션스 리그로 대체되어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다.
타이완 시리즈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중화민국 |
창설 연도 | 1990년 |
최근 우승 | 2023년 (웨이취안 드래곤스) |
최다 우승 | 퉁이 라이온즈 (10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세부 정보 | |
참가팀 수 | 2팀 |
경기 장소 | 중화민국 |
우승컵 | 총관군 금배 |
관련 리그 | 중화 직업봉구 대련 |
2. 경기 방식
타이완 시리즈는 전반기와 후반기 리그 우승팀, 그리고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최종 우승을 놓고 겨루는 경기이다. 경기 방식은 리그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어 왔다.
각 팀은 전후반기 각각 60경기씩 치른다. 전반기 및 후반기 우승팀은 각각 1, 2번 시드를 받는다. 정규 시즌 승률이 더 높은 팀은 7전 4선승제 방식의 타이완 시리즈에 자동 진출하며, 홈/원정 경기 수는 2-2-3 방식으로 배분된다. 전후반기 모두 우승하지 못한 팀 중 정규 시즌 승률이 가장 좋은 팀은 5전 3선승제 플레이오프를 치러 타이완 시리즈 진출팀을 가린다. 만약 같은 팀이 두 시즌 모두 우승할 경우, 정규 시즌 승률이 다음으로 좋은 두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이 플레이오프 승자가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하며, 두 시즌 모두 우승한 팀은 1승 어드밴티지를 갖고 타이완 시리즈를 2-2-2 형식으로 시작한다.[1]
2000년 이전에는 한 팀이 두 시즌 모두 우승할 경우, 해당 팀이 바로 챔피언으로 결정되었고 타이완 시리즈는 열리지 않았다.[1]
2. 1. 현행 방식 (2009년 ~ 현재)
타이완 시리즈는 7전 4선승제로 진행되며, 홈/원정 경기 수는 2-2-3 방식으로 배분된다. 전기 및 후기 리그 우승팀이 모두 같을 경우, 리그 2위와 3위 팀이 플레이오프(5전 3선승제)를 치러 타이완 시리즈 진출팀을 가린다. 이 경우, 전기/후기 통합 우승팀은 1승의 어드밴티지를 갖는다. 전기 및 후기 리그 우승팀이 다를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전기, 후기 우승팀이 다른 경우
- 반기 우승팀 중 한 팀이 연간 승률 1위인 경우: 전기 우승팀과 후기 우승팀이 출전한다.
- 반기 우승팀 모두 연간 승률 1위가 아닌 경우: 반기 우승팀 중 연간 승률이 낮은 팀과 연간 승률 1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자와 반기 우승팀 중 연간 승률이 높은 팀이 시리즈에 출전한다.
- 전기, 후기 우승팀이 같은 경우
- 연간 승률 2위 팀과 3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자와 전후기 우승팀(이 경우, 반드시 연간 승률 1위)이 시리즈에 출전한다. 전후기 우승팀에게는 1승 어드밴티지가 부여된다.
2. 2. 과거 방식
; 1990-1997- 전기, 후기 우승팀이 다른 경우
: 전기 우승팀과 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하여 4승을 먼저 거두는 팀이 연간 챔피언이 된다.
- 전기, 후기 우승팀이 같은 경우
: 타이완 시리즈를 진행하지 않고, 전후기 우승팀이 연간 챔피언이 된다.
; 1998, 1999
: 이 기간에는 단일리그로 진행되었다. 연간 승률 2위 팀과 3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실시하고, 그 승자와 연간 승률 1위 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하였다.
; 2000-2004
- 전기, 후기 우승팀이 다른 경우
: 전기 우승팀과 후기 우승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한다.
- 전기, 후기 우승팀이 같은 경우
: 전후기 통합 우승팀(이 경우, 반드시 연간 승률 1위)과 연간 승률 2위 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한다. 전후기 통합 우승팀에게는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졌다.
; 2005-2008
- 전기, 후기 우승팀이 다른 경우
: 전기, 후기 우승팀 중 연간 승률이 낮은 팀과 전기, 후기 우승팀을 제외한 팀 중에서 연간 승률이 가장 높은 팀(와일드 카드)이 플레이오프를 실시하고, 그 승자와 전기, 후기 우승팀 중 연간 승률이 높은 팀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한다.
- 전기, 후기 우승팀이 같은 경우
: 연간 승률 2위 팀과 3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실시하고, 그 승자와 전후기 통합 우승팀(이 경우, 반드시 연간 승률 1위)이 타이완 시리즈에 진출한다. (어드밴티지는 없음)
3. 역대 타이완 시리즈 결과
연도 | 우승 팀 | 경기 결과 (승-패) | 승패 현황 | 상대팀 |
---|---|---|---|---|
1990 | 웨이취엔 드래곤스 | 4 - 2 | ○×○○×○ | 싼샹 타이거스 |
1991 | 퉁이 라이언스 | 4 - 3 | ×○×○○×○ | 웨이취엔 드래곤스 |
1992 | 슝디 엘리펀츠 | 전·후기 통합 우승으로 시리즈가 열리지 않음. | ||
1993 | 슝디 엘리펀츠 | 4 - 2 | ○○×○×○ | 퉁이 라이언스 |
1994 | 슝디 엘리펀츠 | 전·후기 통합 우승으로 시리즈가 열리지 않음. | ||
1995 | 퉁이 라이언스 | 전·후기 통합 우승으로 시리즈가 열리지 않음. | ||
1996 | 퉁이 라이언스 | 4 - 2 | ○×○○×○ | 웨이취엔 드래곤스 |
1997 | 웨이취엔 드래곤스 | 4 - 2 | ××○○○○ | 스바오 이글스 |
1998 | 웨이취엔 드래곤스 | 4 - 3 | ○×○××○○ | 싱농 불스 |
1999 | 웨이취엔 드래곤스 | 4 - 1 | ○○○×○ | 허신 웨일즈 |
2000 | 퉁이 라이언스 | 4 - 3 | ○×○○××○ | 싱농 불스 |
2001 | 슝디 엘리펀츠 | 4 - 3 | ○×××○○○ | 퉁이 라이언스 |
2002 | 슝디 엘리펀츠 | 4 - 0 | ☆[1]○○○ | 중신 웨일스 |
2003 | 슝디 엘리펀츠 | 4 - 2 | ○×○○×○ | 싱농 불스 |
2004 | 싱농 불스 | 4 - 3 | ○○×××○○ | 퉁이 라이언스 |
2005 | 싱농 불스 | 4 - 0 | ○○○○ | 청타이 코브라스 |
2006 | 라뉴 베어스 | 4 - 0 | ○○○○ | 퉁이 라이언스 |
2007 | 퉁이 라이언스 | 4 - 3 | ○○×○××○ | 라뉴 베어스 |
2008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4 - 3 | ×○×○○×○ | 슝디 엘리펀츠 |
2009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4 - 3 | ○○×○××○ | 슝디 엘리펀츠 |
2010 | 슝디 엘리펀츠 | 4 - 0 | ○○○○ | 싱농 불스 |
2011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4 - 1 | ○○×○○ | 라미고 몽키스 |
2012 | 라미고 몽키스 | 4 - 1 | ○○×○○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2013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4 - 0 | ○○○○ | EDA 라이노스 |
2014 | 라미고 몽키스 | 4 - 1 | ○○○×○ | 중신 브라더스 |
2015 | 라미고 몽키스 | 4 - 3 | ○×××○○○ | 중신 브라더스 |
2016 | EDA 라이노스 | 4 - 2 | ××○○○○ | 중신 브라더스 |
2017 | 라미고 몽키스 | 4 - 1 | ☆[2]×○○○ | 중신 브라더스 |
2018 | 라미고 몽키스 | 4 - 2 | ☆[3]○××○○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
2019 | 라미고 몽키스 | 4 - 1 | ○×○○○ | 중신 브라더스 |
2020 | 퉁이 라이언스 | 4 - 3 | ○×××○○○ | 중신 브라더스 |
2021 | 중신 브라더스 | 4 - 0 | ○○○○ | 퉁이 라이언스 |
2022 | 중신 브라더스 | 4 - 0 | ○○○○ | 라쿠텐 몽키스 |
2023 | 웨이취엔 드래곤스 | 4 - 3 | ○××○×○○ | 라쿠텐 몽키스 |
2024 | 중신 브라더스 | 4 - 1 | ○×○○○ | 퉁이 라이언스 |
승리팀에서 본 결과를 나타내는 성적표이다. ○는 승리, ●는 패배, ☆는 어드밴티지(1승)를 의미한다.[1][2][3]
4. 팀별 출전 및 우승 기록
타이완 시리즈의 역대 우승팀과 준우승팀,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우승팀 | 결과 | 준우승팀 |
---|---|---|---|
1990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2 | 머큐리즈 타이거스 |
1991 | 퉁이 라이온스 | 4–3 | 웨이취안 드래곤스 |
1992 | 브라더 엘리펀츠 | 브라더 엘리펀츠가 전후기 우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 |
1993 | 브라더 엘리펀츠 | 4–2 | 퉁이 라이온스 |
1994 | 브라더 엘리펀츠 | 브라더 엘리펀츠가 전후기 우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 |
1995 | 퉁이 라이온스 | 퉁이 라이온스가 전후기 우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 |
1996 | 퉁이 라이온스 | 4–2 | 웨이취안 드래곤스 |
1997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2 | 차이나 타임스 이글스 |
1998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3 | 시논 불스 |
1999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1 | 쿠스 그룹 웨일스 |
2000 | 퉁이 라이온스 | 4–3 | 시논 불스 |
2001 | 브라더 엘리펀츠 | 4–3 | 퉁이 라이온스 |
2002 | 브라더 엘리펀츠 | 4–0 | 차이나트러스트 웨일스 |
2003 | 브라더 엘리펀츠 | 4–2 | 시논 불스 |
2004 | 시논 불스 | 4–3 | 퉁이 라이온스 |
2005 | 시논 불스 | 4–0 | 마코토 코브라스 |
2006 | 라뉴 베어스 | 4–0 | 퉁이 라이온스 |
2007 | 퉁이 라이온스 | 4–3 | 라뉴 베어스 |
2008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3 | 브라더 엘리펀츠 |
2009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3 | 브라더 엘리펀츠 |
2010 | 브라더 엘리펀츠 | 4–0 | 시논 불스 |
2011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1 | 라미고 몽키스 |
2012 | 라미고 몽키스 | 4–1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2013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0 | EDA 라이노스 |
2014 | 라미고 몽키스 | 4–1 | 중신 브라더스 |
2015 | 라미고 몽키스 | 4–3 | 중신 브라더스 |
2016 | EDA 라이노스 | 4–2 | 중신 브라더스 |
2017 | 라미고 몽키스 | 4–1 | 중신 브라더스 |
2018 | 라미고 몽키스 | 4–2 | 퉁이 라이온스 |
2019 | 라미고 몽키스 | 4–1 | 중신 브라더스 |
2020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3 | 중신 브라더스 |
2021 | 중신 브라더스 | 4–0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2022 | 중신 브라더스 | 4–0 | 라쿠텐 몽키스 |
2023 | 웨이취안 드래곤스 | 4–3 | 라쿠텐 몽키스 |
2024 | 중신 브라더스 | 4–1 | 퉁이 7-Eleven 라이온스 |
4. 1. 타이완 시리즈 출전 기록
순위 | 팀 | 시리즈 출전 횟수 | 통산 전적 | 비고 |
---|---|---|---|---|
1 | 퉁이 라이온즈 | 16 | 47승 49패 | 1번 통합 우승 (타이완 시리즈x) |
2 | 중신 브라더스 | 15 | 43승 38패 | 2번 통합 우승 (타이완 시리즈x) |
3 | 웨이취엔 드래곤스 | 7 | 21승 16패 | |
4 | 싱농 불스 | 6 | 16승 19패 | |
5 | 라쿠텐 몽키스 | 9 | 16승 12패 | 라뉴 베어스ㆍ라미고 몽키스 포함 |
6 | 중신 웨일스 | 2 | 1승 7패 | 허신 웨일즈 포함 |
7 | 싼샹 타이거스 | 1 | 2승 4패 | |
스바오 이글스 | 2승 4패 | |||
청타이 코브라스 | 4패 |
순위 | 팀 | 우승 횟수 | 비고 |
---|---|---|---|
1 | 퉁이 라이온즈 | 9 | 전·후기 통합우승 제외 (1회) |
2 | 중신 브라더스 | 8 | 전·후기 통합우승 제외 (2회) |
3 | 라쿠텐 몽키스 | 7 | 라뉴 베어스ㆍ라미고 몽키스 포함 |
4 | 웨이취엔 드래곤스 | 5 | |
5 | 푸방 가디언스 | 3 | EDA 라이노스,싱농 불스 포함 |
구단 | 출장 횟수 | 연간 우승 | 승 | 패 | 무 | 승률 | 최근 우승 연도 (당시 상대) | 결정 구장(당시) |
---|---|---|---|---|---|---|---|---|
통이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 17 | 10 | 48 | 52 | 0 | .480 | 2020년(중신 형제) | 타이중 인터콘티넨탈 야구장 |
라쿠텐 몽키스 | 11 | 7 | 33 | 25 | 0 | .569 | 2019년(중신 형제) | 타이중 인터콘티넨탈 야구장 |
중신 형제 | 16 | 10 | 48 | 39 | 0 | .551 | 2022년(통이 7-ELEVEn 라이온즈) | 타이중 인터콘티넨탈 야구장 |
웨이취안 드래곤스 | 7 | 5 | 25 | 19 | 0 | .568 | 2023년(라쿠텐 몽키스) | 타이베이 시립 톈무 야구장 |
푸방 가디언스 | — | — | — | — | — | .--- | ||
현존하지 않는 구단 | ||||||||
싱농 불스 | 6 | 2 | 16 | 19 | 0 | .457 | 2005년(청타이 코브라스) | 자이 시립 야구장 |
EDA 라이노스 | 2 | 1 | 4 | 6 | 0 | .400 | 2016년(중신 형제) | 타이중 인터콘티넨탈 야구장 |
중신 웨일스 | 2 | 0 | 1 | 7 | 0 | .125 | ※연간 우승 경험 없음 | |
싼샹 타이거스 | 1 | 0 | 2 | 4 | 0 | .333 | ||
시바오 이글스 | 1 | 0 | 2 | 4 | 0 | .333 | ||
미디어 T-렉스 | 1 | 0 | 0 | 4 | 0 | .000 |
4. 2. 타이완 시리즈 우승 기록
순위 | 팀 | 우승 횟수 | 비고 |
---|---|---|---|
1 | 퉁이 라이온즈 | 9 | 전·후기 통합우승 제외 (1회) |
2 | 중신 브라더스 | 8 | 전·후기 통합우승 제외 (2회) |
3 | 라쿠텐 몽키스 | 7 | 라뉴 베어스·라미고 몽키스 포함 |
4 | 웨이취엔 드래곤스 | 5 | |
5 | 푸방 가디언스 | 3 | EDA 라이노스, 싱농 불스 포함 |
5. 기타
1992년에는 슝디 엘리펀츠(현 중신 브라더스)가 전후기 통합 우승을 차지하여 타이완 시리즈가 열리지 않았다.[1] 대신 슝디는 웨이취안 드래곤스, 싼샹 타이거스, 퉁이 라이온스의 연합팀과 '진 챔피언 도전 경기'를 치러 4승 2패로 승리했다.[1]
참조
[1]
문서
슝디가 전·후기 통합 우승을 했기 때문에,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졌음.
[2]
문서
라미고가 전·후기 통합 우승을 했기 때문에,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졌음.
[3]
문서
라미고가 전·후기 통합 우승을 했기 때문에, 1승 어드밴티지가 주어졌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