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평양 수상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양 수상함군은 1975년 3월 창설된 미국 태평양 함대의 해상 전력으로, 순양함, 구축함, 호위함, 상륙함, 기뢰 부대, 해군 특수전 부대 등을 통합하여 구성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로버트 새뮤얼 샐저 중장이었으며, 에멧 헐시 티드 중장이 통합 작업을 마무리했다. 1978년에는 여러 항공모함 타격단, 구축함 전대, 상륙단, 특수전 그룹, 기뢰전대, 근무단 등으로 구성되었고, 2023년 기준으로는 일본, 싱가포르, 미국 등에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주의 부대 - 미국 해군대학원
    미국 해군대학원은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에 위치한 해군 대학원 교육 기관으로, 해군 장교, 정부 관료, 협력 국가 군인을 대상으로 대학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국방 관련 연구 및 교육에 기여하고 40명 이상의 우주 비행사를 배출했다.
  • 캘리포니아주의 부대 - 제3함대 (미국)
    제3함대는 미국 해군 함대 중 하나로, 서태평양 지역 작전 수행 및 한반도 유사시 제7함대 지원 역할을 하며, 하와이주 포드 섬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항공모함 타격단과 임무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은 유럽 및 아프리카 해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해군의 부대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해역 작전부대로 처음 편성되어 냉전 시대를 거치며 변화를 겪다가 2016년 현재의 체제를 갖추었으며, 주요 구성 부대로는 미국 제6함대가 있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는 1906년 창설된 대서양 함대를 기원으로 하며, 예하 부대 훈련 및 미국 본토 방위 역할을 수행하고,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 사령관을 겸임한다.
  • 1975년 설립 - 찰스 E. 스미스 센터
    찰스 E. 스미스 센터는 워싱턴 D.C.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WNBA 경기와 월드 팀테니스 경기를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 경기 및 행사의 중립 경기장으로 활용된다.
  • 1975년 설립 - 국제식량정책연구소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는 기아와 영양실조 없는 세상을 목표로 빈곤 감소와 지속가능한 식단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해결책을 연구하는 국제 연구기관으로서, 식량 가격, 성별, 기후변화, 농업 혁신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정책 입안자 등에게 연구 결과를 제공하지만, 연구 주제 선정 우선순위, 역량 강화 활동 부족, 특정 재단 자금 지원에 대한 우려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태평양 수상함군
개요
명칭태평양 수상함군
원어 명칭Naval Surface Force, U.S. Pacific Fleet
약칭SURPAC
역할미국 해군 태평양 함대 소속 수상함 부대
조직
소속미국 태평양 함대
본부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해군 기지
규모불명
지휘 체계미국 태평양 함대
역사
창설1975년 7월 1일
지휘관
현재 지휘관태평양 수상함군 사령관 (COMNAVSURFPAC)
추가 정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대규모 군축에 따라 1975년 7월 1일에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군(DESPAC), 프리깃함, 상륙군, 기뢰군(MINEPAC), 근무군(SEVPAC)이 수상함군으로 합쳐졌다.

1984년, 태평양 수상함대는 구축함모함 4척, 수리함 1척, 전함 1척이 SURPAC에 직접 보고하였고,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구난함 1척, ATF 3척, AVM 1척, 프리깃함 2척, LKA 1척, LST 1척으로 편성된 제1수상함전대가 창설되었다. 제1, 3, 5순양함-구축함단은 여러 개의 전대를, 제1근무단은 밸레로에 본부를 둔 탄약함 7척을 지휘하는 제3근무전대를 편성하였다.

1987년 4월 16일, 제1해군특수전단이 해군특수전사령부로 전속되었다.

상륙군은 이전에는 태평양 함대 상륙군 사령관(ComPhibPac)으로 알려져 있었다. 1941년 12월 7일, 이 직책은 윌리엄 P. 업셔 해병 소장이 맡았다. PacFlt 상륙군은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 제3보병사단을 두고 육군 작전 통제를 받았으며, 제2해병사단, 제2해병항공단, 제2방어대대(참조: 해병 방어대대) 및 보급창으로 구성되었다.[25]

1942년 4월 10일, 윌슨 브라운 해군 중장이 태평양 상륙군 사령관(ComPhibPac)으로 임명되었다.[26] 1944년 3월 8일, 리치먼드 K. 터너 해군 중장은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에게 미국 태평양 함대 상륙군 사령관으로 보고했다.[27] 1944년 6월 1일, 미국 태평양 함대 상륙군은 미국 함대 사령관에 의해 재편성되었고 터너 해군 중장은 모든 미국 태평양 함대 상륙군에 대한 유형 사령관으로 추가 임무를 부여받았다.

미국 태평양 함대 상륙군은 수송-상륙(APA), 화물선-상륙(AKA), 수송선(AP), 화물선(AK), 민간인 운용 수송선(XAP), 화물선(XAK), 상륙선(LSV), 상륙함(LSD), 상륙함(LST), 초계 및 특수정(PCS, SC, LCC), 상륙정(LSM, LCI(L), LCI(G), LCT(6), LCT(5), APc), 상륙정, 훈련 부대 및 상륙 작전, 수리 및 훈련 기지로 구성되었다. 이 부대는 제13기동부대로 지정되었다.

1975년에 이 직책은 폐지되었고, 그 기능은 미국 태평양 함대 해군 수상함대에 이관되었다.

2. 1. 창설 배경

대규모 군축에 따라 1975년 7월 1일에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군(DESPAC), 프리깃함, 상륙군, 기뢰군(MINEPAC), 근무군(SEVPAC)이 수상함군으로 합쳐졌다. 1975년 3월에 사령부가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은 로버트 새뮤얼 샐저 중장이었다.

로버트 새뮤얼 샐저 중장의 지휘 아래 모든 순양함, 구축함(이전에는 COMDESPAC 산하), 호위함(태평양 순양함-구축함 전대 소속), 상륙함(ComPhibPac), 기뢰 부대(이전에는 1968년에 해체된 제7기뢰전대 포함), 태평양 함대, 해군 지원 부대 함정, 보급함 및 수리함(태평양 함대 지원 부대(ComServPac) 소속), 해군 특수전 부대(SEALs), 그리고 태평양 함대의 상륙전 학교 통합이 시작되었다.[2]

1975년 6월 7일, 에멧 H. 티드 중장이 미국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 사령관을 맡았다.[2] 이 기간 동안 최종 통합이 이루어졌다.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 통합 임무가 완료되자 티드 제독은 퇴역을 요청했다. 33년 이상 복무한 그는 1976년 8월 부제독 계급으로 해군에서 퇴역했다.[3] 그는 미국 대통령을 대신하여 수훈 훈장 세 번째 수여 대신 두 번째 금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탁월한 공로에 대한 공로로..." 당시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은 183척의 함정과 55,000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2. 2. 창설 및 통합 과정

1975년 7월 1일,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한 뒤, 대규모 군축에 따라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군(DESPAC), 프리깃함, 상륙군, 기뢰군(MINEPAC), 근무군(SEVPAC)이 수상함군으로 합쳐졌다.[2] 1975년 3월에 사령부가 창설되었으며, 초대 사령관은 로버트 새뮤얼 샐저 중장이었다. 그의 지휘 하에 모든 순양함, 구축함(이전에는 COMDESPAC 산하), 호위함(태평양 순양함-구축함 전대 소속), 상륙함(ComPhibPac), 기뢰 부대(이전에는 1968년에 해체된 제7기뢰전대 포함), 태평양 함대, 해군 지원 부대 함정, 보급함 및 수리함(태평양 함대 지원 부대(ComServPac) 소속), 해군 특수전 부대(SEALs), 그리고 태평양 함대의 상륙전 학교 통합이 시작되었다.

1975년 6월 7일, 에멧 H. 티드 중장이 미국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 사령관을 맡았다.[2]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 통합 임무가 완료되자 티드 제독은 퇴역을 요청했다. 33년 이상 복무한 그는 1976년 8월 부제독 계급으로 해군에서 퇴역했다.[3] 그는 미국 대통령을 대신하여 수훈 훈장 세 번째 수여 대신 두 번째 금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당시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은 183척의 함정과 55,000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1978년 ''미국 함대 함선 및 항공기'' 제11판에 따르면,[4] 사령부는 순양함-구축함 제1전대(구축함 전대 5, 13, 23 소속), 순양함-구축함 제3전대(구축함 전대 7, 구축함 전대 17, 27 소속), 순양함-구축함 제5전대(구축함 전대 9, 21, 31, 37 (NRF) 소속), 수빅 만 해군 기지에 있는 서태평양 해상 전대(구축함 전대 15가 예하 부대로 요코스카에 주둔), 하와이에 있는 중태평양 해상 전대(구축함 전대 25, 33, 35 및 제5지원전대 소속), 오키나와에 있는 상륙단 제1단/제76기동전대, 샌디에이고에 사령부와 상륙전대 1, 3, 5, 7을 둔 동태평양 상륙단, 해군 특수전 그룹 1, 기뢰반 51, 52, 53, 54(모두 NRF)를 포함하는 제5기뢰전대(NRF), 오클랜드에 있는 제1지원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 및 제3 지원전대는 각각 샌디에이고와 발레호에 있었다.

1984년까지, SurfPac은 4척의 구축함모함(AD), 1척의 수리함(AR), 그리고 전함 1척으로 보임)이 직접 보고했으며, 해상 전대 1이 롱비치에 설립되었다. 해상 전대 1은 구조함(ARS) 1척, ATF 3척, AVM 1척, 호위함 2척, LKA 1척, LST 1척으로 구성된 혼합 부대였다.[5] 순양함-구축함 제1, 3, 5 전대는 여전히 여러 전대를 지휘했으며, 제1 지원단은 발레호에 본부를 둔 제3 지원전대(7척의 탄약 수송함으로 구성)를 예하로 두었다.

1987년 4월 16일, 제1해군특수전단이 해군특수전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 3. 주요 변화

1975년 7월 1일, 베트남 전쟁에서 철수한 뒤 대규모 군축에 따라 태평양 함대의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군(DESPAC), 프리깃함, 상륙군, 기뢰군(MINEPAC), 근무군(SEVPAC)이 수상함군으로 합쳐졌다.[2]

1975년 3월, 사령부가 창설되었고 초대 사령관은 로버트 새뮤얼 샐저 중장이었다. 그의 지휘 아래 순양함, 구축함, 호위함, 상륙함, 기뢰 부대, 보급함 및 수리함, 해군 특수전 부대(SEALs), 태평양 함대의 상륙전 학교 통합이 시작되었다. 1975년 6월 7일, 에멧 H. 티드 중장이 미국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 사령관을 맡았고,[2] 이 기간 동안 최종 통합이 이루어졌다. 통합 임무가 완료되자 티드 제독은 퇴역을 요청했고, 1976년 8월 부제독 계급으로 퇴역했다.[3] 당시 태평양 함대 해상 전력은 183척의 함정과 55,000명 이상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1978년, ''미국 함대 함선 및 항공기'' 제11판에 따르면,[4] 사령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예하 부대
순양함-구축함 제1전대구축함 전대 5, 13, 23
순양함-구축함 제3전대구축함 전대 7, 구축함 전대 17, 27
순양함-구축함 제5전대구축함 전대 9, 21, 31, 37 (NRF)
서태평양 해상 전대 (수빅 만 해군 기지)구축함 전대 15 (요코스카 주둔)
중태평양 해상 전대 (하와이)구축함 전대 25, 33, 35 및 제5지원전대
상륙단 제1단/제76기동전대(오키나와)
동태평양 상륙단 (샌디에이고)상륙전대 1, 3, 5, 7
해군 특수전 그룹 1
제5기뢰전대(NRF)기뢰반 51, 52, 53, 54 (모두 NRF)
제1지원단 (오클랜드)제1 및 제3 지원전대 (각각 샌디에이고와 발레호)



1984년, SurfPac은 구축함모함(AD) 4척, 수리함(AR) 1척, 전함 1척()이 직접 보고했으며, 롱비치에 해상 전대 1이 창설되었다. 해상 전대 1은 구조함(ARS) 1척, ATF 3척, AVM 1척, 호위함 2척, LKA 1척, LST 1척으로 구성되었다.[5] 순양함-구축함 제1, 3, 5 전대는 여전히 여러 전대를 지휘했으며, 제1 지원단은 발레호에 본부를 둔 제3 지원전대(7척의 탄약 수송함으로 구성)를 예하로 두었다.

1987년 4월 16일, 제1해군특수전단이 해군특수전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 4. 역대 사령관

취임일계급성명비고
1975년 3월중장로버트 S. 샐저
1975년 6월중장에멧 H. 티드
1976년 7월중장윌리엄 R. 세인트 조지
1979년 5월중장리 배겟 주니어
1982년 7월중장해리 C. 슈레이더 주니어
1985년 7월중장조지 W. 데이비스 주니어
1988년 8월중장로버트 K. U. 키훈
1990년 12월중장데이비드 M. 베넷
1992년 11월대령위르트 R. 플래드임시
1993년 4월중장데이비드 B. 로빈슨
1996년 6월중장알렉산더 J. 크레키치
1998년 8월중장에드워드 무어 주니어
2001년 5월중장티모시 W. 라플레어
2005년 3월중장테렌스 T. 에트나이어
2008년 2월소장케빈 M. 퀸임시
2008년 3월중장더우드 C. 커티스
2011년 6월중장리처드 W. 헌트
2012년 7월중장토마스 H. 코프먼 3세
2014년 8월중장토마스 S. 로우던
2018년 1월중장리처드 A. 브라운
2020년 8월중장로이 I. 키치너
2023년 8월소장이베트 M. 데이비즈직무 대행
2023년 12월중장브렌던 R. 맥레인현재


3. 부대

해군 예비군(NRF) 소속 제37구축함전대서태평양 수상단수빅만 해군기지제15구축함전대일본 요코스카 해군 시설중부태평양 수상단하와이 진주만 해군기지제25, 33, 35구축함전대, 제5근무전대제1상륙단/제76임무대오키나와동태평양 상륙단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제1, 3, 5, 7상륙전대제1해군특수전단제5기뢰전대제51, 52, 53, 54기뢰분대
해군 예비군(NRF) 소속제1근무단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제1근무전대(샌디에이고), 제3근무전대(발레이오)

[28][4]

3. 1. 현재 (2023년 기준)

주둔지부대
요코스카
사세보
싱가포르
하와이주 진주만
워싱턴주 에버렛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28]

3. 2. 과거 부대 (1978년)

부대위치비고
순양함-구축함단 1 (제5, 13, 23구축함전대)
순양함-구축함단 3 (제7, 17, 27구축함전대)
순양함-구축함단 5 (제9, 21, 31, 37구축함전대)제37구축함전대는 해군 예비군(NRF) 소속
서태평양 수상단수빅만 해군기지
제15구축함전대일본 요코스카 해군 시설
중부태평양 수상단하와이 진주만 해군기지
* 제25, 33, 35구축함전대
제1상륙단/제76임무대오키나와
동태평양 상륙단 (제1, 3, 5, 7상륙전대)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제1해군특수전단
제5기뢰전대 (제51, 52, 53, 54기뢰분대)해군 예비군(NRF) 소속
제1근무단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 제1근무전대* 샌디에고

[4]

참조

[1] 문서 Reference OPNAVINST 5450.337A
[2] 웹사이트 mrfa archive http://www.mrfa.org/[...] 2014-08-07
[3] 서적 Register of Retired Commissioned and Warrant Officers, Regular and Reserve, of the United States Navy https://books.google[...] Bureau of Naval Personnel 1978-10-01
[4] 서적 The Ships and Aircraft of the U.S. Fleet Naval Institute Press 1978
[5] 문서 Ships and Aircraft 1984
[6] 뉴스 Naval Surface Force gets new commander https://cdnc.ucr.edu[...] 1976-08-05
[7] 뉴스 Adm. Baggett to assume command of Pacific Fleet Surface Force https://cdnc.ucr.edu[...] 1979-05-31
[8] 뉴스 Adm. Schrader given new command https://cdnc.ucr.edu[...] 1982-07-29
[9] 웹사이트 Calendar Year 1985 Command History for USS TARAWA (LHA 1) https://www.history.[...] U.S. Navy 1986-04-28
[10] 뉴스 Kihune replaces Adm. Davis in change of command here https://cdnc.ucr.edu[...] 1988-08-25
[11] 뉴스 Kihune hands reins to Bennett https://cdnc.ucr.edu[...] 1990-12-20
[12] 뉴스 VADM Robinson Heads Pacific Surface Fleet https://cdnc.ucr.edu[...] 1993-04-14
[13] 웹사이트 DTIC General/Flag Officer List for 1997 https://apps.dtic.mi[...]
[14] 웹사이트 Vice Admiral Edward Moore, Jr http://raahistory.co[...] U.S. Pacific Fleet
[15] 웹사이트 Vice Admiral Timothy W. LaFleur http://www.chinfo.na[...] U.S. Navy 2002-05-15
[16] 뉴스 Change of command ceremony https://www.dvidshub[...] Defense Visual Distribution Distribution Service 2008-02-29
[17] 뉴스 PN1285 — Rear Adm. Derwood C. Curtis — Navy — 110th Congress (2007-2008) https://www.congress[...] 2008-03-13
[18] 뉴스 Navy surface ships in San Diego will get new leader http://www.chicagotr[...] 2012-05-11
[19] 뉴스 Change of command at Naval Surface Forces https://www.sandiego[...] 2012-07-20
[20] 뉴스 New Navy ships boss installed https://www.sandiego[...] 2014-08-07
[21] 뉴스 Vice Adm. Brown Replaces Vice Adm. Rowden as Commander of Naval Surface Forces https://news.usni.or[...] 2018-01-19
[22] 뉴스 Vice Adm. Kitchener Takes Command of Naval Surface Forces as Vice Adm. Brown Retires https://news.usni.or[...] 2020-08-03
[23] 웹사이트 Commander, Naval Surface Forces Holds Change of Command https://www.dvidshub[...] Commander, Naval Surface Force, U.S. Pacific Fleet 2023-08-18
[24] 웹사이트 Commander, Naval Surface Forces, Holds Change of Command https://www.dvidshub[...] Commander, Naval Surface Force, U.S. Pacific Fleet 2023-12-21
[25] 웹사이트 Amphibious Force, U.S. Pacific Fleet http://niehorster.or[...] Orbat.com/Niehorster
[26] 백과사전 Brown, Wilson, Jr. (1882-1959) http://pwencycl.kgbu[...] 2010-08-04
[27] 문서 Transport Doctrine, Amphibious Forces, U.S. Pacific Fleet http://www.ibiblio.o[...] U.S. Pacific Fleet 1944-09
[28] 웹인용 organization chart https://www.surfpac.[...] United States Navy 2023-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