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타리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텍타리아과는 고란초아목에 속하는 양치류 과이다. 1990년, 일부 속이 Dryopteridaceae의 아과로 취급되었으나, 이후 텍타리아과로 인정되었다. 2019년 11월 기준으로, Arthropteris, Draconopteris, Hypoderris, Malaifilix, Polydictyum, Pteridrys, Tectaria, Triplophyllum 등 8개의 속을 포함한다. 2016년 분지학적 분석을 통해 Tectaria s.s.에서 Draconopteris와 Malaifilix가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텍타리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문적 권위 | 파니그라히 |
하위 분류 계층 | 속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이명 | 아스피디아과 아르트로프테리스과 딕티옥시피스과 히포데리아과 |
과 | |
과 (한국어) | 텍타리아과 |
과 (학명) | Tectariaceae |
명명자 | Panigrahi, 1986 |
2. 분류사
1990년, 카를 U. 크라머와 공동 저자들은 ''Pleocnemia''와 현재 인정되는 7개의 속을 Dryopteridaceae의 아과로 취급했다.[1] 다른 두 속, ''Arthropteris''와 ''Psammiosorus''는 ''Oleandra''와 함께 크라머의 Oleandraceae를 구성했다. 현재 크라머의 Dryopteridaceae 버전은 다계통군임이 밝혀졌다. ''Arthropteris'' (''Psammiosorus'' 포함)는 텍타리아과(Tectariaceae) 내에 있으며 Tectariaceae는 Oleandraceae, Davalliaceae, Polypodiaceae로 구성된 분지군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2] 2006년, 양치류 분류의 개정에서 텍타리아과(Tectariaceae)는 인정되는 과가 되었다.[3] 2007년, Dryopteridaceae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서 ''Pleocnemia''가 포함되었고 Dryopteridaceae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또한 2007년, ''Dracoglossum''이 새로운 속으로 명명되었다.[5] 이후 Lomariopsidaceae로 이동되었다.
2. 1. 하위 속
2019년 11월 기준, ''세계 양치류 및 석송류 목록''은 다음 속을 인정한다.[9] ''Polydictyum''은 2016년 PPG I 출판 이후 ''Tectaria''에서 분리되었다.[9]- ''Arthropteris'' J.Sm.
- ''Draconopteris'' Li Bing Zhang & Liang Zhang
- ''Hypoderris'' R.Br.
- ''Malaifilix'' Li Bing Zhang & Schuettp.
- ''Polydictyum'' C.Presl
- ''Pteridrys'' C.Chr. & Ching
- ''Tectaria'' Cav.
- ''Triplophyllum'' Holttum
넓은 의미(''sensu lato'')의 텍테리아속에는 아르트롭테리스속 (''Arthropteris''), 드라코글로숨속 (''Dracoglossum''), 히포데리스속 (''Hypoderris''), 프삼미오소루스속 (''Psammiosorus''), ''Pteridrys'', 텍타리아속 (''Tectaria''), ''Triplophyllum'' 등이 포함된다.
3. 계통 분류
2016년 고란초아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
2016년에 수행된 텍타리아과에 대한 분지학적 분석에서 ''Tectaria'' ''sensu stricto''로부터 두 개의 새로운 속, ''Draconopteris''와 ''Malaifilix''가 분리되었다.[6]
4. 각주
참조
[1]
서적
"Dryopteridaceae"
Springer-Verlag
[2]
논문
"Fern phylogeny inferred from 400 leptosporangiate species and three plastid genes"
[3]
논문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Fern Family Dryopteridaceae inferred from Chloroplast rbcL and atpB genes"
[5]
논문
"''Dracoglossum'', a new Neotropical fern genus (Pteridophyta)"
[6]
논문
"Circumscription and phylogeny of the fern family Tectariaceae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markers,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genera: Draconopteris and Malaifilix (Tectariaceae)"
[7]
간행물
An Open and Continuously Updated Fern Tree of Life
[8]
웹사이트
Tree viewe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FTOL
https://fernphy.gith[...]
2022-12-12
[9]
웹사이트
Checklist of Ferns and Lycophytes of the World
https://worldplants.[...]
2019-11-28
[10]
서적
"Dryopteridaceae"
Springer-Verlag
[11]
논문
"Fern phylogeny inferred from 400 leptosporangiate species and three plastid genes"
[12]
논문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13]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Fern Family Dryopteridaceae inferred from Chloroplast rbcL and atpB genes"
[14]
논문
"''Dracoglossum'', a new Neotropical fern genus (Pteridophyta)"
[15]
서적
Tectariace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저널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