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르엉땃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르엉땃쥐는 2010년 베트남 닥락 성 욕돈 국립공원을 모식 산지로 하여 땃쥐속의 신종으로 기재된 땃쥐의 일종이다. 2006년 캄보디아 비라체이 국립공원에서 처음 채집되었으며, 2007년 베트남 남부 세 곳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비교적 긴 꼬리를 가진 작거나 중간 크기의 땃쥐로, 털은 등쪽이 짙은 회색이고 배쪽은 다소 옅은 특징을 갖는다.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건조 상록수림, 중앙 인도차이나 건조림, 남부 베트남 저지대 건조림 등 최소 3개의 생태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모든 표본은 숲에서 포획되었다. 학명 'phanluongi'는 판르엉땃쥐 발견 연구에 참여한 베트남 생물학자 판르엉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기재된 포유류 - 월리스안경원숭이
    월리스안경원숭이는 2010년 처음 기술된 술라웨시섬 고유종 안경원숭이로, 독특한 소리와 유전적 차이를 보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취약"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 2010년 기재된 포유류 - 북부담황색뺨긴팔원숭이
    북부담황색뺨긴팔원숭이는 수컷은 검은색 털과 밝은 갈색 가슴, 짙은 금빛-오렌지색 뺨을 가지며 암컷은 오렌지-베이지색 털을 가진 종이다.
  • 캄보디아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캄보디아의 포유류 - 이라와디돌고래
    이라와디돌고래는 짧은 부리와 둥근 머리, 작은 삼각형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참돌고래과의 돌고래로 동남아시아 하천 하구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시급하다.
  • 베트남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베트남의 포유류 - 인도차이나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는 과거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했으나 현재는 태국과 미얀마에 주로 서식하며, 어두운 색깔과 짧은 줄무늬, 작은 몸집이 특징이고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전 노력이 필요한 호랑이 아종이다.
판르엉땃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상태관심 필요 (LC)
땃쥐속 (Crocidura)
판르엉땃쥐 (C. phanluongi)
학명Crocidura phanluongi
명명자Jenkins, Abramov, Rozhnov, & Olsson, 2010
판르엉땃쥐 분포 지역
판르엉땃쥐의 분포 지역

2. 분류

판르엉땃쥐는 2006년 캄보디아 북동부 비라체이 국립공원에서 처음 채집되었으며, 2007년 베트남 남부 세 곳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현재 캄보디아에서 6점, 베트남에서 7점의 표본이 알려져 있다.[10]

2010년, 젠킨스(Paulina Jenkins)와 동료들은 판르엉땃쥐를 베트남 닥락 성 욕돈 국립공원을 모식 산지로 하여 땃쥐속(''Crocidura'')의 신종으로 기재했다. 이 결과는 2010년 1월 27일 주탁사(Zootaxa)에 실렸다.[11] 2004년 이후 베트남에서 땃쥐속에 속하는 신종 6종이 추가되었다.[12][13] 학명 ''phanluongi''는 판르엉땃쥐를 발견하게 된 연구 조사에 참여했던 베트남 생물학자 판르엉(Phan Luong)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4]

3. 형태

판르엉땃쥐는 비교적 긴 꼬리를 가진 작거나 중간 크기의 땃쥐이다. 털은 등쪽이 짙은 회색이고 배쪽은 다소 옅으며, 발의 윗면은 더욱 옅다.[5] 캄보디아 표본은 등쪽이 회갈색이고 배쪽은 은회색이다. 알려진 표본들 사이에는 약간의 형태 계측학적 변이가 있다.[6]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54~66mm이며 평균 59.6mm이다. 꼬리 길이는 40~48mm이며 평균 44.4mm이다. 뒷발 길이는 10~12mm이며 평균 11.7mm이다. 두개저 길이 (두개골 길이 측정)는 16.8~18.1mm이며 평균 17.4mm이다.[7] 두개골에서, 안와 간격은 좁다. 위 세 번째 어금니는 가늘고, 아래 세 번째 어금니의 발톱은 축소되어 있다.[6]

4. 생태

판르엉땃쥐는 최소 3개의 생태지역—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건조 상록수림, 중앙 인도차이나 건조림, 남부 베트남 저지대 건조림—에 걸쳐 비교적 넓은 분포를 보인다.[8] 모든 표본은 숲에서 포획되었다.[8]

참조

[1] 간행물 "''Crocidura phanluongi''" 2016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Crocidura phanluongi http://www.iucnredli[...] 2016
[10] 서적
[11] 서적
[12] 문서 6종의 땃쥐 정보
[13] 서적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