팻 시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팻 시티는 권투 선수들의 삶을 그린 1972년 미국 영화이다. 빌리 털리, 어니 멍거 등 권투 선수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캘리포니아 스톡턴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권투 세계의 현실적인 모습을 묘사한다. 존 휴스턴 감독이 연출하고 스테이시 키치, 제프 브리지스 등이 출연했으며, 원작은 레너드 가드너의 소설이다. 영화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스테이시 키치가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 상을 수상하고, 수잔 타렐이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휴스턴 감독 영화 - 아프리카의 여왕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아프리카의 여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이 독일 군함 공격을 위해 급류를 항해하며 사랑에 빠지는 모험 로맨스 영화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고전 영화로 평가받는다. - 존 휴스턴 감독 영화 - 맥킨토시의 사나이
폴 뉴먼이 주연한 "맥킨토시의 사나이"는 전직 정보부 요원 출신 좀도둑이 탈옥 제안을 받고 국제적인 스파이 전쟁에 휘말리는 1973년 영국 첩보 영화로, 잉글랜드, 아일랜드, 몰타에서 촬영되었으며 존 휴스턴이 연출했다. - 미국의 스포츠 드라마 영화 - 인사이드 아웃 2
2024년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 2》는 13세 소녀 라일리가 고등학교 진학과 아이스하키 팀 입단을 앞두고 겪는 이야기를 배경으로, 의인화된 내면 감정들이 펼치는 이야기와 함께 불안, 질투, 당황, 권태, 향수 등 새로운 감정들이 등장하여 라일리의 사춘기 성장과 감정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하며, 비평적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흥행 성공을 거두었다. - 미국의 스포츠 드라마 영화 - 블루 크러쉬
《블루 크러쉬》는 하와이를 배경으로 트라우마를 극복하며 성장하는 여성 서퍼 앤 마리의 이야기를 그린 2002년 영화로, 수중 서핑 장면은 호평을 받았지만 스토리의 진부함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518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었다. - 1972년 영화 - 대부 (영화)
1972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연출하고 말론 브란도와 알 파치노가 주연한 영화 《대부》는 마리오 푸조의 소설을 원작으로 뉴욕 코를레오네 범죄 가족의 권력 투쟁과 몰락을 그린 갱스터 영화로, 아카데미상을 수상하며 영화사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 1972년 영화 - 의사 안중근
의사 안중근은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을 다룬 영화로, 그의 어린 시절부터 뤼순 감옥에서의 최후까지를 그리고 있으며,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고 항일 운동의 정신을 고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팻 시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Fat City |
감독 | 존 휴스턴 |
제작 | 레이 스타크, 존 휴스턴 |
각본 | 레너드 가드너 |
출연 | 스테이시 키치 제프 브리지스 수전 티렐 캔디 클라크 |
음악 | 마빈 햄리시 |
촬영 | 콘라드 L. 홀 |
편집 | 월터 A. 톰슨 |
제작사 | 라스타 |
배급사 | 컬럼비아 픽처스 |
상영 시간 | 97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장르 | 드라마 |
2. 줄거리
빌리 털리는 한창때가 지난 권투 선수로,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의 체육관에서 18세의 어니 멍거를 만나 스파링을 한다. 털리는 멍거의 잠재력을 보고 그의 전 매니저이자 트레이너인 루벤을 찾아가라고 제안하며, 자신도 권투를 다시 시작하기로 결심한다.
털리는 아내가 떠난 후 술에 의존하며, 직업도 없이 이주 노동자들과 함께 과일과 채소를 따며 생계를 유지한다. 그는 여전히 마지막 경기를 잘못 처리한 것에 대해 루벤을 탓하고 있다. 얼이 감옥에 가자 털리는 오마와 함께 살지만, 관계가 순탄치 않다.
멍거는 첫 경기에서 코가 부러지고 다음 경기에서도 KO를 당한다. 여자 친구 페이가 임신하자 결혼을 강요받고, 돈을 벌기 위해 들판에서 과일을 딴다.
털리는 복귀전에서 루세로와 대결하여 승리하지만, 적은 대전료에 실망하고 루벤과의 관계를 끝낸다. 오마의 아파트에서 얼을 만나고, 오마가 자신과 관계를 끊고 싶어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멍거는 거리에서 술에 취한 털리를 만나 커피를 마신다. 털리는 주변 사람들이 멀게 느껴진다고 말하고, 멍거는 잠시 더 머물러 달라는 털리의 부탁에 말없이 함께 커피를 마신다.
3. 등장인물
3. 1. 주연
3. 2. 조연
수잔 티렐은 오마 리 그리어 역을 연기했다. 캔디 클락은 페이 머독 역을 연기했다. 니콜라스 콜라산토는 루벤 루나 역을 연기했다. 칼 D. 파커, 아트 아라곤, 커티스 코크스, 식스토 로드리게스 노리에가, 빌리 워커, 루벤 나바로, 알바로 로페스, 알 실바니도 조연으로 출연했다.
4. 제작
존 휴스턴은 자신의 젊은 시절 권투 경험 때문에 이 프로젝트에 매료되었다. 그는 권투 프로그램이 있었고 도시의 험한 지역에 위치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브러햄 링컨 고등학교에 다녔다.[2] 15세의 나이에 그는 캘리포니아에서 최고 랭킹의 아마추어 라이트급 선수였다. 코뼈가 부러진 후 그는 짧은 프로 경력을 마쳤다.[3]
- 원작자: 레너드 가드너
- 협력프로듀서: 데이비드 도스키
- 미술: 리처드 실버트
- 의상: 도로시 지킨스
- 배역: 프레드 루스
- 배역: 제니퍼 셜
4. 1. 기획
존 휴스턴은 젊은 시절 권투 경험 때문에 팻 시티 프로젝트에 매료되었다.[2] 그는 에이브러햄 링컨 고등학교에 다녔는데, 이 학교는 권투 프로그램이 있었고 도시의 험한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15세의 나이에 그는 캘리포니아에서 최고 랭킹의 아마추어 라이트급 선수였다.[2] 코뼈가 부러진 후 그는 짧은 프로 경력을 마쳤다.[3]4. 2. 캐스팅
휴스턴은 원래 말론 브란도를 빌리 털리 역으로, 보 브리지스를 어니 멍거 역으로 캐스팅할 계획이었다. 브란도가 휴스턴에게 여러 번 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알리자, 휴스턴은 결국 그 스타가 실제로 관심이 없다고 결론을 내리고 다른 배우를 찾다가 당시 비교적 무명이었던 스테이시 키치를 캐스팅했다.[4] 보 브리지스는 18세 역할을 설득력 있게 연기하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고 느껴 역할을 거절했지만, 그의 동생 제프를 그 역할에 추천했다.휴스턴은 몇몇 실존 권투 선수들을 조연으로 캐스팅했는데, 그중 일부는 그의 옛 지인이었다. 아트 아라곤 (베이비)은 전 라이트급 컨텐더였고, 커티스 코크스 (얼)는 동시 WBA, WBC 및 ''더 링''의 세계 웰터급 챔피언이었다.[4] 최고의 권투 트레이너 알 실바니는 영화의 격투 안무가였으며, 영화에서 심판으로 출연한다.
''팻 시티''는 또한 캔디 클라크의 영화 데뷔작이기도 했다.
4. 3. 촬영
영화는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을 배경으로 하며, 대부분 그곳에서 현지 촬영되었다. 소설에 묘사된 모든 원래의 빈민가는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철거되었다(웨스트 엔드 재개발). 빈민가 장면의 대부분은 원래 빈민가의 외곽 지역에서 촬영되었으며, 이곳은 영화 《팻 시티》가 촬영된 지 1년 후에 오트 로프투스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철거되었다.4. 4. 음악
영화의 시작과 끝 부분에서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이 우울한 곡인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을 불렀다.[2] 마빈 햄리시가 음악 감독을 맡았다.[2]5. 영화 제목의 의미
1969년, ''라이프''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원작자 레너드 가드너는 자신의 소설 제목이 흑인 속어의 일부라고 설명했다.[5] "팻 시티"에 가고 싶다고 말하는 것은 좋은 삶을 원한다는 뜻이다.[5] 가드너는 샌프란시스코의 전시회에서 빈민가의 사진을 본 후, 벽에 분필로 "팻 시티"라고 휘갈겨 쓴 것을 보고 제목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했다.[5] 그러면서 "팻 시티"는 아무도 도달할 수 없는 미친 목표를 의미하는 아이러니한 제목이라고 덧붙였다.[5]
팻 시티는 소설과 영화의 배경이 되는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의 오래된 별명이기도 하며, 이 별명은 가드너의 소설보다 먼저 존재했다.
6. 평가
6. 1. 비평가들의 반응
존 휴스턴은 이 영화를 통해 흥행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서서 엄청난 호평과 흥행 성공을 거두었으며, 곧 더 많은 작품을 의뢰받게 되었다.빈센트 캔비는 ''뉴욕 타임스'' 영화 평론가로서 이 영화와 휴스턴의 연출을 높이 평가하며, "''팻 시티''는 그 내용처럼 절망적이기에는 너무나 생동감이 넘친다"라고 평했다.[8]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를 휴스턴의 최고작 중 하나로 칭찬하며, 배우들의 연기를 높이 평가했다. 이버트는 "[휴스턴]은 [이야기]를 평정심 있고, 감상적이지 않은 정직함으로 다루어 그의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만들었다"라고 썼다.[9]
''빌리지 보이스''의 J. 호버먼은 "이 영화는 교묘한 작품이며, 매우 연출된 쇼이다."라고 썼다.[10] ''시카고 리더''의 데이브 케어는 "존 휴스턴은 1972년에 영원한 상실이라는 자신의 주제를 지적으로 절제된 방식으로 다시 표현했다."라고 썼다.[11] 영화 평론가 데니스 슈워츠는 "이 우울한 스포츠 드라마는 절망적인 삶을 살아가는 주변 인물들에 대한 훌륭하고 절제된 인물 연구"라고 평했다.[12]
챔피언 권투 선수 무하마드 알리는 영화 상영 후 휴스턴에게 "저건 진짜야, 저건 바로 나야."라고 말했다고 한다.[13]
2009년, ''팻 시티''는 뉴욕시 필름 포럼에서 일주일 동안 재상영되었다.[14]
로튼 토마토에서 2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신선도 100%를 기록했으며, 가중 평균은 8.5/10이다. 이 사이트의 평가는 "''팻 시티''는 복싱 드라마의 냉혹하고 통렬한 단면을 보여주며,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보여준다"이다.[15]
이 드라마는 콘래드 L. 홀의 조명 사용을 다룬 다큐멘터리 ''빛의 비전: 촬영 기법의 예술''(1992)에 소개되었다.[16]
6. 2. 수상 및 후보 지명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 KCFCC 상 남우주연상을 스테이시 키치가 수상했으며, 말론 브란도와 공동 수상이었다. 벨기에 영화 비평가 협회 그랑프리를 수상했다.제45회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 후보에 수잔 타렐이 지명되었다.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 남우주연상 선정 과정에서는 논란이 있었다. 당초 스테이시 키치가 최다 득표를 하였으나, 낮은 투표율을 이유로 일부 비평가들이 수상 기준을 과반수 득표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여 관철시켰다. 이후 재투표에서 키치는 과반 득표에 실패하였고, 말론 브란도 역시 과반 득표를 하지 못했다. 결국, 타협안으로 로렌스 올리비에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당시 영화계의 기존 질서와 권위가 새로운 흐름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7. 한국 사회와의 관련성
참조
[1]
웹사이트
Fat City- Soundtrack details - SoundtrackCollector.com
https://www.soundtra[...]
2023-03-22
[2]
웹사이트
FAT CITY (1972)
https://catalog.afi.[...]
2023-03-19
[3]
뉴스
John Huston, Film Director, Writer and actor, Dies at 81
https://www.nytimes.[...]
1987-08-29
[4]
웹사이트
The Lineal Welterweight Champs
http://www.cyberboxi[...]
Cyber Boxing Zone
2016-10-28
[5]
간행물
A short talk with a first novelist
https://books.google[...]
1969-08-29
[6]
뉴스
Huston Takes New Look at Life in 'Fat City'
https://www.nytimes.[...]
1972-07-27
[7]
뉴스
U.S. Directors Are Stars Of Cannes Film Festival
https://www.nytimes.[...]
1972-05-05
[8]
뉴스
Canby, Vincent
http://movies2.nytim[...]
The New York Times
1972-07-27
[9]
웹사이트
Ebert, Roger
http://rogerebert.su[...]
Chicago Sun-Times
1972-01-01
[10]
웹사이트
John Huston's Late-Career Hit, ''Fat City''
http://www.villagevo[...]
Village Voice
2009-09-15
[11]
웹사이트
Fat City
http://www.chicagore[...]
Chicago Reader
2000-01-01
[12]
웹사이트
Schwartz, Dennis
http://homepages.sov[...]
Ozus' World Movie Reviews
2005-02-03
[13]
웹사이트
The Mysterious Greatness of 'Fat City'
https://www.theatlan[...]
2012-06-30
[14]
웹사이트
John Huston's Late-Career Hit, ''Fat City''
http://www.villagevo[...]
The Village Voice
2009-09-15
[15]
웹사이트
Fat City
http://www.rottentom[...]
[16]
문서
Visions of Light web s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