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폐세계 가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폐쇄 세계 가설은 지식 관리 및 형식 논리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지식 기반이 완전하거나 불완전하지만 최선의 답을 도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적용된다. 데이터베이스 예시를 통해 설명되며, 논리적으로는 현재 지식 기반에 의해 수반되지 않는 리터럴의 부정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형식화된다. 다양한 형식화 방법이 존재하며, 부분 폐쇄 세계 가설을 통해 개방 세계 가정과 폐쇄 세계 가정 사이의 절충안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리 프로그래밍 - 자동 정리 증명
    자동 정리 증명은 논리적 진술의 타당성을 자동으로 확인하는 기술로서, 형식 논리 발전과 컴퓨터 등장 이후 다양한 논리를 지원하며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관련 연구와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논리 프로그래밍 - 논리형 프로그래밍
    논리형 프로그래밍은 수학적 논리에 기반하여 사실과 규칙들의 모음으로 프로그램을 구성, 문제 해결을 위한 추론 과정을 정의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 지식 표현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지식 표현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폐세계 가설
개요
이름폐쇄 세계 가정
로마자 표기Pye쇄 Segye Gajeong
영어 이름Closed World Assumption
약칭CWA
관련 분야지식 표현
설명
정의어떤 진술이 참이라고 믿을 충분한 근거가 없다면 거짓이라고 가정하는 것
예시데이터베이스에 "기린은 날 수 있다"라는 구절이 없다면, 기린은 날 수 없다고 결론 내리는 것
적용 분야데이터베이스
지식 기반 시스템
논리 프로그래밍
특징효율적인 추론 가능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할 경우 오류 발생 가능
장점 및 단점
장점데이터베이스나 지식 기반 시스템에서 부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
단점실제 세계의 복잡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잘못된 결론을 초래할 수 있음
주의사항
적용 시 고려사항정보의 완전성 여부
추론의 정확성 요구 수준
관련 개념
반대 개념개방 세계 가정(Open World Assumption, OWA)
설명어떤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으면, 모른다고 가정하는 것
참고 자료
참고 서적ISBN: 9780306400605
관련 문서Closed world assumption (영어 위키백과)

2. 정의 및 예시

지식 관리 맥락에서 폐쇄 세계 가설은 두 가지 상황에서 사용된다. 첫째, 지식 베이스가 완전하다고 알려진 경우이다. (예: 모든 직원의 기록을 포함하는 기업 데이터베이스) 이 경우, 지식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는 거짓으로 간주된다. 둘째, 지식 베이스가 불완전하다고 알려졌지만, 불완전한 정보로부터 "최선의" 확실한 답변을 도출해야 하는 경우이다.

실패에 의한 부정은 참이라고 증명되지 않은 명제는 거짓으로 간주하는 폐쇄 세계 가설과 관련이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편집자와 기사 정보가 표로 주어졌을 때, 폐쇄 세계 가설에서는 표의 정보가 완전하다고 가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 예시' 참고)

2. 1. 데이터베이스 예시

데이터베이스에 주어진 기사에 대해 작업한 편집자를 보고하는 다음 표가 있다. 형식 논리에 대한 기사를 편집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질의는 일반적으로 "사라 존슨"을 반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편집
편집자기사
존 도형식 논리
조슈아 A. 노턴형식 논리
사라 존슨공간 데이터베이스 소개
찰스 폰지형식 논리
엠마 리-춘형식 논리



폐쇄 세계 가설에서 위 표는 완전한 것으로 간주된다(모든 편집자-기사 관계를 나열). 따라서 사라 존슨은 형식 논리에 대한 기사를 편집하지 않은 유일한 편집자이다. 반대로, 개방 세계 가설에서는 표가 모든 편집자-기사 튜플을 포함한다고 가정하지 않으며, 형식 논리 기사를 편집하지 않은 사람이 누구인지에 대한 답은 알 수 없다. 표에 나열되지 않은 편집자의 수와 사라 존슨이 편집했지만 표에 나열되지 않은 기사의 수는 알 수 없다.

3. 논리적 형식화

형식 논리에서 폐세계 가설을 처음 형식화할 때는 지식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리터럴(참 또는 거짓으로 판별 가능한 명제)의 부정(¬)을 지식 베이스에 추가했다. 이 경우, 지식 베이스가 혼 절로 표현되면 일관성이 유지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드는 영국인 또는 아일랜드인이다."라는 지식 베이스는 프레드가 영국인인지 아일랜드인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

이때, "프레드는 영국인이 아니다"와 "프레드는 아일랜드인이 아니다"를 지식 베이스에 추가하면, "프레드는 영국인 또는 아일랜드인"이라는 기존 지식과 모순되어 일관성을 잃게 된다.

이처럼 폐세계 가설을 형식화하면 일관성 있는 지식 베이스가 일관성을 잃는 경우가 발생한다. 폐세계 가설을 도입해도 일관성이 유지되는 경우는, 지식 베이스 K의 모든 에르브랑 모델의 교집합과 K의 모델이 동일한 경우뿐이다. 명제 논리에서 이 조건은 K가 단 하나의 최소 모델만을 가지는 것과 같으며, 이는 참으로 할당된 변수의 부분 집합을 갖는 다른 모델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형식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3. 1. 다양한 형식화

형식 논리에서 폐세계 가설의 첫 번째 형식화는 현재 지식 기반에 의해 수반되지 않는 리터럴의 부정을 지식 기반에 추가하는 것이다. 이 추가의 결과는 지식 기반이 혼 형태일 경우 항상 일관성을 유지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관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식 기반

:\{English(Fred) \vee Irish(Fred)\}

English(Fred)Irish(Fred)도 수반하지 않는다.

이 두 리터럴의 부정을 지식 기반에 추가하면 다음이 된다.

:\{English(Fred) \vee Irish(Fred), \neg English(Fred), \neg Irish(Fred)\}

이는 일관성이 없다. 즉, 폐세계 가설의 이러한 형식화는 때때로 일관성 있는 지식 기반을 일관성 없는 지식 기반으로 바꾼다. 폐세계 가설은 지식 기반 K의 모든 에르브랑 모델의 교집합이 K의 모델이기도 할 때 정확하게 K에 불일치를 도입하지 않는다. 명제적 경우에서 이 조건은 K에 단일 최소 모델이 있는 것과 같다. 여기서 모델은 참으로 할당된 변수의 하위 집합을 다른 모델이 갖지 않는 경우 최소이다.

이러한 문제를 겪지 않는 대안적인 형식화가 제안되었다. 다음 설명에서 고려되는 지식 기반 K는 명제적이라고 가정한다. 모든 경우에서 폐세계 가설의 형식화는 K에 대해 "부정에 자유로운" 공식, 즉 거짓으로 간주할 수 있는 공식의 부정을 K에 추가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즉, 지식 기반 K에 적용된 폐세계 가설은 지식 기반을 생성한다.

:K \cup \{\neg f ~|~ f \in F\}.

K에서 부정을 위해 자유로운 공식 집합 F는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폐세계 가설의 다양한 형식화를 초래한다. 다음은 다양한 형식화에서 부정을 위해 자유로운 f의 정의이다.

  • CWA(폐세계 가설): fK에 의해 수반되지 않는 양의 리터럴이다.
  • GCWA(일반화된 CWA): fK \not\vdash c인 모든 양의 절 c에 대해 K \not\vdash c \vee f가 성립하는 양의 리터럴이다.[2]
  • EGCWA(확장 GCWA): 위와 같지만 f는 양의 리터럴의 결합이다.
  • CCWA(주의 CWA): GCWA와 같지만, 양의 절은 주어진 집합의 양의 리터럴과 다른 집합의 (양과 음) 리터럴로 구성된 경우에만 고려된다.
  • ECWA(확장 CWA): CCWA와 유사하지만 f는 주어진 집합의 리터럴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의 공식이다.[3][4]


ECWA와 제한의 형식화는 명제적 이론에서 일치한다.[5][6] 질의 응답의 복잡성 (폐세계 가설 하에서 공식이 다른 공식에 의해 수반되는지 확인)은 일반적으로 일반 공식의 경우 다항식 계층의 두 번째 수준에 있으며, 혼 공식의 경우 P에서 coNP까지이다. 원래의 폐세계 가설이 불일치를 도입하는지 확인하려면 NP 오라클에 대한 최대 로그 횟수의 호출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문제의 정확한 복잡성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7]

모든 술어에 대해 폐세계를 가정할 수 없지만, 그중 일부가 닫힌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는 부분 폐세계 가설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체제는 일반적으로 지식 기반을 열려 있고 잠재적으로 불완전한 것으로 간주하지만, 완전성 단언을 사용하여 닫힌 지식 기반의 일부를 지정할 수 있다.[8]

4. 부분 폐쇄 세계 가설

강한 부정을 사용한 논리 프로그램 언어는 일부 명제에 대해 폐쇄 세계 가정을 가정하고 다른 명제는 열린 세계 가정의 영역에 남겨둘 수 있게 해준다.[9] OWA와 CWA 사이의 중간 지점은 부분 폐쇄 세계 가정(PCWA)에 의해 제공된다. PCWA 하에서, 지식 기반은 일반적으로 열린 세계 의미론 하에 처리되지만, 완전성 주장을 통해 폐쇄 세계 의미론 하에 처리되어야 하는 부분을 주장할 수 있다. PCWA는 개방된 도메인으로 인해 CWA를 적용할 수 없지만, OWA가 무엇이든 가능하다고 지나치게 믿는 상황에 특히 필요하다.[10][11]

5. 한계 및 유의점

폐세계 가설은 지식 베이스에 명시적으로 참이라고 증명되지 않은 사실은 거짓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은 유용할 수 있지만, 몇 가지 한계와 유의점이 존재한다.


  • 일관성 문제: 원래의 폐세계 가설은 지식 베이스에 모순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드는 영국인 또는 아일랜드인이다"라는 지식 베이스에 "프레드는 영국인이 아니다"와 "프레드는 아일랜드인이 아니다"를 추가하면 모순이 발생한다.
  • 복잡성 문제: 폐세계 가설 하에서 어떤 사실이 참인지 확인하는 문제는 계산적으로 복잡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경우 다항식 계층의 두 번째 수준에 해당하며, 혼 절의 경우에도 P에서 coNP 사이의 복잡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변형된 폐세계 가설이 제안되었다.

  • CWA (Closed World Assumption): 지식 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긍정 리터럴은 거짓으로 간주한다.
  • GCWA (Generalized CWA): K \not\vdash c인 모든 양의 절 c에 대해 K \not\vdash c \vee f가 성립하는 양의 리터럴 f는 거짓으로 간주한다.[2]
  • EGCWA (Extended GCWA): GCWA와 유사하지만, 여러 긍정 리터럴의 결합도 거짓으로 간주할 수 있다.
  • CCWA (Careful CWA): GCWA와 유사하지만, 특정 집합의 리터럴만 고려한다.
  • ECWA (Extended CWA): CCWA와 유사하지만, 특정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임의의 논리식도 거짓으로 간주할 수 있다.[3][4]


ECWA는 제한과 명제 논리에서 동일한 결과를 낸다.[5][6]

부분 폐세계 가설은 모든 술어(predicate)에 대해 폐세계를 가정하는 대신, 일부 술어가 닫혀 있다고 알려진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8]

실패에 의한 부정은 폐세계 가설과 관련이 있으며, 참이라고 증명할 수 없는 명제는 거짓이라고 추론한다.

지식 관리에서 폐세계 가설은 데이터베이스가 완전하다고 가정하거나, 불완전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선의 답변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편집자와 기사 제목을 나타내는 표이다.

편집자기사
John DoeFormal Logic
Joshua A. NortonFormal Logic
Sarah JohnsonIntroduction to Spatial Databases
Charles PonziFormal Logic
Emma Lee-ChoonFormal Logic



폐세계 가설 하에서는 위 표가 완전하다고 가정하고, Sarah Johnson만이 "Formal Logic" 편집에 참여하지 않은 유일한 편집자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반면, 개방 세계 가설에서는 표에 모든 정보가 있다고 확신할 수 없으므로, 답을 내릴 수 없다.

참조

[1] 서적 On Closed World Data Bases Plenum Press 1978
[2] 간행물 On indefinite databases and the closed world assumption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82
[3] 간행물 Evaluation of Queries under Closed-World Assumption. https://www.deepdyve[...] 1997
[4] 간행물 Evaluation of Queries under Closed-World Assumption. Part II: The Hierarchical Case https://www.deepdyve[...] 2000
[5] 논문 Propositional circumscription and extended closed-world reasoning are Π 2 p {\displaystyle \Pi _{2}^{p}} \Pi^p_2-complete 1993-06
[6] 논문 Closed-world databases and circumscription 1985-11
[7] 논문 The complexity of propositional closed world reasoning and circumscription 1994-04
[8] 간행물 Turning The Partial-closed World Assumption Upside Down http://ceur-ws.org/V[...] 2015
[9] 서적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Prentice Hall 2010
[10] 간행물 Integrity = Validity + Completeness https://dl.acm.org/d[...] 1989
[11] 웹사이트 Turning The Partial-closed World Assumption Upside Down http://ceur-ws.org/V[...]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