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레임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레임은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로, 주로 리그 오브 레전드 탑 라이너로 활동했다. 2012년 CJ 엔투스 블레이즈에 입단하며 프로 커리어를 시작하여, LGD 게이밍, 롱주 게이밍, 임모탈즈, 플라이퀘스트, 담원 게이밍 등 여러 팀에서 활동했다. 2020년 은퇴 후에는 인터넷 방송인으로 활동 중이며, 2013년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리그 오브 레전드 탑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모탈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후니 (프로게이머)
    후니는 2015년 프나틱에서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하여 여러 팀을 거쳐 활동하다가 손목 부상으로 은퇴 후 TSM 코치를 거쳐 현재 LCK 한국어 해설진과 LCK 글로벌 분석데스크에서 활동하며, 2015년 EU LCS 스프링 우승, 2017년 LCK 스프링 우승 및 MSI 우승 등의 경력이 있다.
  • 임모탈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크라운 (프로게이머)
    크라운은 스타크래프트와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로 활동했으며, 2017년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고 LCK 정규 시즌 MVP를 수상한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이다.
  • 플라이퀘스트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이그나
    이그나는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서포터 포지션에서 윈터폭스에서 데뷔하여 미스핏츠 게이밍에서 롤드컵 8강 진출, BBQ 올리버스, 샬케 04, 플라이퀘스트, 이블 지니어스 등 다양한 팀에서 활동하며 LEC 서머 2017 준우승, LCS 스프링/서머 2020 준우승 등의 경력을 쌓았다.
  • 플라이퀘스트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플라이 (프로게이머)
    플라이는 2013년 프로 데뷔 후 다수의 팀에서 미드 라이너로 활동하며 LCK 통산 400경기 출전과 1000킬 달성, 2019 LoL KeSPA컵 우승 등의 기록을 가진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다.
  • LGD 게이밍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피넛
    한왕호(피넛)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에서 팀 중심으로 변화하며 꾸준히 성장해온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다수의 팀에서 활약하며 LCK 7회 우승, 2021 LCK 서머 시즌 MVP 수상, 2018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 LGD 게이밍의 리그 오브 레전드 선수 - 마린 (프로게이머)
    장경환이라는 본명을 가진 마린은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출신 지도자로, SK텔레콤 T1 S에서 데뷔하여 2015년 롤드컵 우승과 MVP를 수상한 후 LGD 게이밍, 아프리카 프릭스, 탑 e스포츠 게이밍을 거쳐 은퇴, 2022년부터 팀 리퀴드의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플레임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호종
국적대한민국
출생지부산광역시
종목리그 오브 레전드 (포지션 : 탑)
아이디Flame

2. 선수 시절

2012년 10월 28일, CJ 엔투스 블레이즈에 입단하면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2-2013 윈터 시즌부터 팀의 주전 탑 라이너로 활동했다. 2013 스프링 시즌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결승 진출에 기여했으나, 결승전에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 서머 시즌에는 메타 변화로 가용 챔피언 폭이 줄어들면서 주춤했지만,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해 우승을 차지하고, WCG 2013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3-2014 윈터 시즌에는 NLB에서 우승을 달성했고, 2014 스프링 시즌에는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014 서머 시즌에는 팀이 챔피언스와 NLB에서 모두 탈락하면서 빠르게 시즌을 마감했다.

2015 시즌을 앞두고 LGD 게이밍에 입단했다.[1] LPL에서 활동하는 동안 에이콘과 번갈아 출전했다. 롤드컵 2015 시즌에 출전하여 조별리그 2주차 경기에서 활동했지만, 팀의 조별리그 탈락은 막지 못했다.

2016 시즌을 앞두고 롱주 게이밍에 입단하면서 LCK로 복귀했다.[2] 2016 스프링 시즌 엑스페션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 서브 선수로 활동했다. 2016 서머 시즌을 앞두고 롱주의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가, 서머 2라운드를 앞두고 다시 로스터에 등록되었으나,[3] 엑스페션이 주전으로 계속 활동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17 시즌을 앞두고 북미 리그의 임모탈즈에 입단했다.[4] 2017 스프링 시즌 팀의 주전으로 활동하면서 팀의 잔류에 기여했다. 서머 시즌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롤드컵 2017에서도 팀의 주전으로 활동했다.

2018시즌을 앞두고 플라이퀘스트에 입단했다.[5] 2018 스프링 시즌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팀의 부진을 이겨내지는 못했다. 2018 서머 시즌에는 무난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2019년 스프링 2라운드를 앞두고 담원 게이밍에 입단했다. 스프링 시즌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서머 시즌에는 너구리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면서 서브 선수로 활동했다. 리프트 라이벌즈 2019에서는 서브 선수로 참가하여 LCK의 우승에 기여했다. 롤드컵 2019에는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참가하지 못했지만, 객원 해설로 활동했다.

2020 시즌에는 너구리가 팀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미드 시즌 컵에도 출전하지 못했으며, 롤드컵 2020에는 국외여행허가 문제로 불참했다. 2020 시즌 종료 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6]

2. 1. CJ 엔투스 블레이즈 (2012.10 ~ 2014.12)

2012년 10월 28일, CJ 엔투스 블레이즈에 입단하면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2012-2013 윈터 시즌부터 팀의 주전 탑 라이너로 활동했다. 2013 스프링 시즌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결승 진출에 기여했으나, 결승전에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 서머 시즌에는 메타 변화로 가용 챔피언 폭이 줄어들면서 주춤했지만, IEM 시즌 7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해 우승을 차지하고, WCG 2013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3-2014 윈터 시즌에는 NLB에서 우승을 달성했고, 2014 스프링 시즌에는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014 서머 시즌에는 팀이 챔피언스와 NLB에서 모두 탈락하면서 빠르게 시즌을 마감했다.

2. 2. LGD 게이밍 (2014.12 ~ 2015.12)

2015 시즌을 앞두고 LGD 게이밍에 입단했다.[1] LPL에서 활동하는 동안 에이콘과 번갈아 출전했다. 롤드컵 2015 시즌에 출전하여 조별리그 2주차 경기에서 활동했지만, 팀의 조별리그 탈락은 막지 못했다.

2. 3. 롱주 게이밍 (2015.12 ~ 2016.12)

2016 시즌을 앞두고 롱주 게이밍에 입단하면서 LCK로 복귀했다.[2] 2016 스프링 시즌 엑스페션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 서브 선수로 활동했다. 2016 서머 시즌을 앞두고 롱주의 엔트리에서 제외되었다가, 서머 2라운드를 앞두고 다시 로스터에 등록되었으나,[3] 엑스페션이 주전으로 계속 활동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2. 4. 임모탈즈 (2016.12 ~ 2017.11)

2017 시즌을 앞두고 북미 리그의 임모탈즈에 입단했다.[4] 2017 스프링 시즌 팀의 주전으로 활동하면서 팀의 잔류에 기여했다. 서머 시즌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롤드컵 2017에서도 팀의 주전으로 활동했다.

2. 5. 플라이퀘스트 (2017.11 ~ 2018.11)

2018시즌을 앞두고 플라이퀘스트에 입단했다.[5] 2018 스프링 시즌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팀의 부진을 이겨내지는 못했다. 2018 서머 시즌에는 무난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기여했다.

2. 6. 담원 게이밍 (2019.02 ~ 2020.12)

2019년 스프링 2라운드를 앞두고 담원 게이밍에 입단했다. 스프링 시즌에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서머 시즌에는 너구리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면서 서브 선수로 활동했다. 리프트 라이벌즈 2019에서는 서브 선수로 참가하여 LCK의 우승에 기여했다. 롤드컵 2019에는 로스터에서 제외되어 참가하지 못했지만, 객원 해설로 활동했다.

2020 시즌에는 너구리가 팀의 에이스로 자리매김하면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미드 시즌 컵에도 출전하지 못했으며, 롤드컵 2020에는 국외여행허가 문제로 불참했다. 2020 시즌 종료 후,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3. 은퇴 후

현역 은퇴 이후 인터넷 방송인으로 전향하여 활동하고 있다.[7] 2021년에는 한중 와일드리프트 대회에 LCK 레전드 팀 소속으로 참가했으나, LPL 레전드 팀에게 3-0으로 패배했다.[7]

4. 수상 경력

참조

[1] 뉴스 '플레임' 이호종, LGD 입단…최천주-구승빈과 한솥밥 http://game.dailyesp[...] 데일리e스포츠 2014-12-23
[2] 뉴스 롱주IM, '캡틴잭' 강형우-'플레임' 이호종 영입 발표 https://www.xportsne[...] 엑스포츠뉴스
[3] 뉴스 '3강'은 여전하나 치열했던 롤챔스 서머 1R http://www.inews24.c[...] 아이뉴스24
[4] 뉴스 ‘플레임’ 이호종 “나를 인정해준 임모탈스, 롤드컵이 최우선 목표” https://www.fomos.kr[...] FOMOS
[5] 뉴스 '플레임' 이호종, 플라이퀘스트와 함께 간다 http://game.dailyesp[...] 데일리e스포츠 2017-11-24
[6] 뉴스 '플레임' 이호종, 은퇴 선언...'9년 선수 생활 마무리' https://www.fomos.kr[...] FOMOS
[7] 뉴스 韓 '와일드 리프트' 中과 격차 "그래도 희망을 봤다" http://news.tf.co.kr[...] T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