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교육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교육장관은 핀란드 교육부를 이끄는 장관직이다. 1822년부터 1918년까지는 종무국장으로, 1918년부터 1922년까지는 종무교육국장으로 불렸다. 1922년부터 현재까지는 교육장관으로 불리고 있으며, 역대 장관들의 명단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교육장관 - 라우리 잉만
라우리 잉만은 핀란드의 정치인으로서 총리, 의회 의장, 교육장관을 역임했으며, 두 차례 핀란드 총리를 지냈다. - 핀란드의 교육장관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핀란드어 연구, 정치 활동, 외교관 경력을 가진 인물로, 핀란드어 통사론 연구를 시작으로 헬싱키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핀란드어 연구에 기여했고, 국회의원, 교육부 장관, 외무부 장관을 거쳐 덴마크와 헝가리 주재 특명전권대사를 지냈다.
핀란드의 교육장관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교육부 장관 |
국가 | 핀란드 |
상세 정보 | |
임명 기관 | 린네 내각, 안티 린트만 내각, 오르포 내각 |
현직 | 아니오 |
역대 장관 | |
초대 | 에밀 네스토리 세탤래 |
현직 | 안나-마야 헨릭손 |
2. 핀란드 교육부 장관
핀란드 교육부 장관은 핀란드 정부의 각료 중 한 명으로, 교육 및 과학 정책을 담당한다. 교육부는 교육, 연구, 문화, 청소년, 스포츠 정책을 총괄하며, 장관은 이러한 분야의 최고 책임자이다.
핀란드 교육부 장관은 교육 제도의 전반적인 운영과 발전을 책임지며, 교육 과정, 교원 정책, 교육 예산 등 주요 사안을 결정한다. 또한, 대학, 연구 기관, 도서관, 박물관 등 관련 기관을 감독하고 지원한다.
2. 1. 역대 장관
핀란드의 교육장관직은 시대에 따라 명칭과 역할이 변화해왔다. 1822년부터 1917년까지는 종무국장, 1882년부터 1918년까지는 종무교육국장, 1918년부터 1922년까지는 종무교육장관, 1922년부터 현재까지는 교육장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종무국장 (1822년-1882년, 1909년-1917년) ====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
요한 발헤임 | 무소속 | 1822년 10월 1일-1826년 3월 1일 | 만네르헤임 | |
1826년 3월 1일-1828년 1월 12일 | 폰 보른 | |||
1828년 1월 12일-1831년 10월 1일 | 팔크 | |||
구스타프 햬르네 | 무소속 | 1831년 10월 1일-1833년 4월 10일 | ||
요한 발헤임 | 무소속 | 1833년 4월 10일-1833년 10월 1일 | 햬르네 | |
라르스 루트거 예거호른 | 무소속 | 1840년 10월 1일-1841년 10월 1일 | ||
프레드릭 빌헬름 피핑 | 무소속 | 1841년 10월 1일-1844년 12월 15일 [1] | 폰 하르트만 | |
칼 빌헬름 트라프 | 무소속 | 1845년 2월 26일-1853년 2월 2일 | ||
악셀 루드비그 보른 | 무소속 | 1953년 2월 2일-1858년 4월 29일 | ||
하랄드 빅토르 빌헬름 푸루혤름 | 무소속 | 1858년 4월 29일-1868년 10월 20일 | 노르덴스탐 | |
요한 필리프 팔멘 | 무소속 | 1868년 12월 1일-1871년 5월 17일 | ||
헨리크 아돌프 메켈린 | 무소속 | 1871년 6월 6일-1882년 10월 1일 | ||
colspan=5 | | ||||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 핀란드당 | 1909년 10월 10일-1911년 | 마르코프 | |
파울 크라츠 | 핀란드당 | 1911년-1912년 | ||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 핀란드당 | 1912년-1913년 4월 21일 | ||
1913년 5월 16일-1917년 3월 26일 | 보로비티노프 |
==== 종무교육국장 (1822년-1909년, 1917년-1918년) ====
직책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헨리크 아돌프 메켈린 | 무소속 | 1882년 10월 1일 ~ 1885년 10월 1일 | 아프 포르셀레스 |
위리외 사카리 위리외코스키넨 | 핀란드당 | 1885년 10월 1일 ~ 1891년 11월 23일 | 폰 트로일 |
1891년 11월 23일 ~ 1899년 3월 28일 | 투데르 | ||
요한 구스타프 소흘만 | 무소속 | 1899년 11월 24일 ~ 1900년 10월 19일 | |
1900년 10월 19일 ~ 1901년 5월 16일 | 린데르 | ||
아르비드 게네츠 | 핀란드당 | 1901년 5월 16일 ~ 1905년 3월 29일 | |
1905년 3월 29일 ~ 1905년 11월 11일 | 스트렝 | ||
오토 도네르 | 청년 핀란드당 | 1905년 12월 1일 ~ 1908년 6월 4일 | 메켈린 |
위리외 코스키넨 위리외코스키넨 | 핀란드당 | 1908년 8월 1일 ~ 1909년 11월 13일 | 혤트 |
==== 종무교육장관 (1918년-1922년) ====
청년 핀란드당 소속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1917년 3월 26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토코이 원로원, 세탤래 원로원, 제1차 스빈후부드 원로원,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종무교육장관직을 역임했다.[1]
==== 교육장관 (1922년-현재) ====
각료 | 정당 | 임기 |
---|---|---|
위리외 로이마란타 | 무소속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닐로 리아카 | 농업동맹 | 1922년 11월 14일 – 1924년 1월 18일 |
위리외 로이마란타 | 무소속 | 1924년 1월 18일 – 1924년 5월 31일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4년 5월 31일 – 1925년 3월 31일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5년 3월 31일 – 1925년 12월 31일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5년 12월 31일 – 1926년 12월 13일 |
율리우스 아일리오 | 사회민주당 | 1926년 12월 13일 – 1927년 12월 17일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27년 12월 – 1928년 12월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8년 12월 – 1929년 8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29년 8월 – 1930년 7월 |
파보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1930년 7월 – 1931년 3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31년 3월 – 1932년 12월 |
오스카리 만테레 | 국민진보당 | 1932년 12월 – 1936년 10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36년 10월 – 1937년 3월 |
우노 하눌라 | 농업동맹 | 1937년 3월 – 1940년 3월 27일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40년 3월 27일 – 1943년 3월 5일 |
칼레 카우피 | 국민진보당 | 1943년 3월 5일 – 1944년 11월 |
우노 타키 | 사회민주당 | 1944년 11월 – 1945년 4월 |
요한 헬로 | 인민민주동맹 | 1945년 4월 – 1945년 12월 |
에이노 페칼라 | 인민민주동맹 | 1945년 12월 – 1946년 3월 |
에이노 유호 킬피 | 사회민주당 | 1946년 3월 – 1948년 7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48년 7월 – 1950년 3월 |
레나르트 헬랴스 | 농업동맹 | 1950년 3월 – 1951년 9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51년 9월 – 1953년 7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3년 7월 – 1953년 11월 |
아르보 살미넨 | 국민연합당 | 1953년 11월 – 1954년 5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4년 5월 – 1954년 10월 |
케르투 살라스티 | 농업동맹 | 1954년 10월 – 1956년 3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6년 3월 – 1957년 5월 |
케르투 살라스티 | 농업동맹 | 1957년 5월 – 1957년 11월 |
레이노 오이티넨 | 무소속 | 1957년 11월 – 1958년 4월 |
쿠스타 빌쿠나 | 무소속 | 1958년 4월 – 1958년 8월 |
카를로 카야찰로 | 인민당 | 1958년 8월 – 1959년 1월 |
헤이키 호시아 | 농업동맹 | 1959년 1월 – 1962년 4월 |
아르미 호시아 | 인민당 | 1962년 4월 – 1963년 12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63년 12월 – 1964년 9월 |
유시 사우코넨 | 국민연합당 | 1964년 9월 – 1966년 5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66년 5월 – 1968년 3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중앙당 | 1968년 3월 – 1970년 5월 |
야코 누미넨 | 무소속 | 1970년 5월 – 1970년 7월 |
야코 이탤래 | 자유인민당 | 1970년 7월 – 1971년 10월 |
마티 로우에코스키 | 무소속 | 1971년 10월 – 1972년 2월 |
올프 순드크비스트 | 사회민주당 | 1972년 2월 – 1974년 6월 |
보이토 칼리오 | 사회민주당 | 1974년 6월 – 1974년 9월 |
울프 순드크비스트 | 사회민주당 | 1974년 9월 – 1975년 6월 |
라우리 포스티 | 무소속 | 1975년 6월 – 1975년 11월 |
파보 배위뤼넨 | 중앙당 | 1975년 11월 – 1976년 9월 |
마랴타 배내넨 | 중앙당 | 1976년 9월 – 1977년 5월 |
크리스티안 게스트린 | 스웨덴인당 | 1977년 5월 – 1978년 3월 |
야코 이탤래 | 자유인민당 | 1978년 3월 – 1979년 5월 |
패르 스텐배크 | 스웨덴인당 | 1979년 5월 – 1982년 2월 |
칼레비 키비스퇴 | 인민민주동맹 | 1982년 2월 – 1982년 12월 |
카리나 수오니오 | 사회민주당 | 1982년 12월 – 1986년 5월 |
피료 알라카페 | 사회민주당 | 1986년 6월 – 1987년 4월 |
크리스토페르 탁셀 | 스웨덴인당 | 1987년 4월 – 1990년 6월 |
올레 노르바크 | 스웨덴인당 | 1990년 6월 – 1991년 4월 |
리타 우오수카이넨 | 국민연합당 | 1991년 4월 – 1994년 2월 |
올리페카 헤이노넨 | 국민연합당 | 1994년 2월 – 1999년 4월 |
마이야리사 라스크 | 사회민주당 | 1999년 4월 – 2003년 4월 |
툴라 하타이넨 | 사회민주당 | 2003년 4월 – 2005년 9월 |
안티 칼리오매키 | 사회민주당 | 2005년 9월 – 2007년 4월 |
사리 사르코마 | 국민연합당 | 2007년 4월 – 2008년 12월 |
헤나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2008년 12월 – 2011년 6월 22일 |
유카 구스타프손 | 사회민주당 | 2011년 6월 22일 – 2013년 5월 24일 |
크리스타 키우루 | 사회민주당 | 2013년 5월 24일 – 2015년 5월 29일 |
사니 그라흔라소넨 | 국민연합당 | 2015년 5월 29일 – |
2. 1. 1. 종무국장 (1822년-1882년, 1909년-1917년)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
요한 발헤임 | 무소속 | 1822년 10월 1일-1826년 3월 1일 | 만네르헤임 | |
1826년 3월 1일-1828년 1월 12일 | 폰 보른 | |||
1828년 1월 12일-1831년 10월 1일 | 팔크 | |||
구스타프 햬르네 | 무소속 | 1831년 10월 1일-1833년 4월 10일 | ||
요한 발헤임 | 무소속 | 1833년 4월 10일-1833년 10월 1일 | 햬르네 | |
라르스 루트거 예거호른 | 무소속 | 1840년 10월 1일-1841년 10월 1일 | ||
프레드릭 빌헬름 피핑 | 무소속 | 1841년 10월 1일-1844년 12월 15일 [1] | 폰 하르트만 | |
칼 빌헬름 트라프 | 무소속 | 1845년 2월 26일-1853년 2월 2일 | ||
악셀 루드비그 보른 | 무소속 | 1953년 2월 2일-1858년 4월 29일 | ||
하랄드 빅토르 빌헬름 푸루혤름 | 무소속 | 1858년 4월 29일-1868년 10월 20일 | 노르덴스탐 | |
요한 필리프 팔멘 | 무소속 | 1868년 12월 1일-1871년 5월 17일 | ||
헨리크 아돌프 메켈린 | 무소속 | 1871년 6월 6일-1882년 10월 1일 | ||
colspan=5 | | ||||
각료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 핀란드당 | 1909년 10월 10일-1911년 | 마르코프 | |
파울 크라츠 | 핀란드당 | 1911년-1912년 | ||
안데르스 비레니우스 | 핀란드당 | 1912년-1913년 4월 21일 | ||
1913년 5월 16일-1917년 3월 26일 | 보로비티노프 |
2. 1. 2. 종무교육국장 (1822년-1909년, 1917년-1918년)
직책 | 정당 | 임기 | 원로원 |
---|---|---|---|
헨리크 아돌프 메켈린 | 무소속 | 1882년 10월 1일 ~ 1885년 10월 1일 | 아프 포르셀레스 |
위리외 사카리 위리외코스키넨 | 핀란드당 | 1885년 10월 1일 ~ 1891년 11월 23일 | 폰 트로일 |
1891년 11월 23일 ~ 1899년 3월 28일 | 투데르 | ||
요한 구스타프 소흘만 | 무소속 | 1899년 11월 24일 ~ 1900년 10월 19일 | |
1900년 10월 19일 ~ 1901년 5월 16일 | 린데르 | ||
아르비드 게네츠 | 핀란드당 | 1901년 5월 16일 ~ 1905년 3월 29일 | |
1905년 3월 29일 ~ 1905년 11월 11일 | 스트렝 | ||
오토 도네르 | 청년 핀란드당 | 1905년 12월 1일 ~ 1908년 6월 4일 | 메켈린 |
위리외 코스키넨 위리외코스키넨 | 핀란드당 | 1908년 8월 1일 ~ 1909년 11월 13일 | 혤트 |
2. 1. 3. 종무교육장관 (1918년-1922년)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는 청년 핀란드당 소속으로, 1917년 3월 26일부터 1918년 11월 27일까지 종무교육장관직을 역임했다. 그는 토코이 원로원, 세탤래 원로원, 제1차 스빈후부드 원로원, 제1차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장관직을 수행했다.[1]각료 | 정당 | 임기 |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청년 핀란드당 | 1917년 3월 26일–1918년 11월 27일 |
2. 1. 4. 교육장관 (1922년-현재)
각료 | 정당 | 임기 |
---|---|---|
위리외 로이마란타 | 무소속 | 1922년 6월 2일 – 1922년 11월 14일 |
닐로 리아카 | 농업동맹 | 1922년 11월 14일 – 1924년 1월 18일 |
위리외 로이마란타 | 무소속 | 1924년 1월 18일 – 1924년 5월 31일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4년 5월 31일 – 1925년 3월 31일 |
에밀 네스토르 세탤래 | 국민연합당 | 1925년 3월 31일 – 1925년 12월 31일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5년 12월 31일 – 1926년 12월 13일 |
율리우스 아일리오 | 사회민주당 | 1926년 12월 13일 – 1927년 12월 17일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27년 12월 – 1928년 12월 |
라우리 잉그만 | 국민연합당 | 1928년 12월 – 1929년 8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29년 8월 – 1930년 7월 |
파보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1930년 7월 – 1931년 3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31년 3월 – 1932년 12월 |
오스카리 만테레 | 국민진보당 | 1932년 12월 – 1936년 10월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36년 10월 – 1937년 3월 |
우노 하눌라 | 농업동맹 | 1937년 3월 – 1940년 3월 27일 |
안티 쿠코넨 | 농업동맹 | 1940년 3월 27일 – 1943년 3월 5일 |
칼레 카우피 | 국민진보당 | 1943년 3월 5일 – 1944년 11월 |
우노 타키 | 사회민주당 | 1944년 11월 – 1945년 4월 |
요한 헬로 | 인민민주동맹 | 1945년 4월 – 1945년 12월 |
에이노 페칼라 | 인민민주동맹 | 1945년 12월 – 1946년 3월 |
에이노 유호 킬피 | 사회민주당 | 1946년 3월 – 1948년 7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48년 7월 – 1950년 3월 |
레나르트 헬랴스 | 농업동맹 | 1950년 3월 – 1951년 9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51년 9월 – 1953년 7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3년 7월 – 1953년 11월 |
아르보 살미넨 | 국민연합당 | 1953년 11월 – 1954년 5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4년 5월 – 1954년 10월 |
케르투 살라스티 | 농업동맹 | 1954년 10월 – 1956년 3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농업동맹 | 1956년 3월 – 1957년 5월 |
케르투 살라스티 | 농업동맹 | 1957년 5월 – 1957년 11월 |
레이노 오이티넨 | 무소속 | 1957년 11월 – 1958년 4월 |
쿠스타 빌쿠나 | 무소속 | 1958년 4월 – 1958년 8월 |
카를로 카야찰로 | 인민당 | 1958년 8월 – 1959년 1월 |
헤이키 호시아 | 농업동맹 | 1959년 1월 – 1962년 4월 |
아르미 호시아 | 인민당 | 1962년 4월 – 1963년 12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63년 12월 – 1964년 9월 |
유시 사우코넨 | 국민연합당 | 1964년 9월 – 1966년 5월 |
레이노 오이티넨 | 사회민주당 | 1966년 5월 – 1968년 3월 |
요하네스 비롤라이넨 | 중앙당 | 1968년 3월 – 1970년 5월 |
야코 누미넨 | 무소속 | 1970년 5월 – 1970년 7월 |
야코 이탤래 | 자유인민당 | 1970년 7월 – 1971년 10월 |
마티 로우에코스키 | 무소속 | 1971년 10월 – 1972년 2월 |
올프 순드크비스트 | 사회민주당 | 1972년 2월 – 1974년 6월 |
보이토 칼리오 | 사회민주당 | 1974년 6월 – 1974년 9월 |
울프 순드크비스트 | 사회민주당 | 1974년 9월 – 1975년 6월 |
라우리 포스티 | 무소속 | 1975년 6월 – 1975년 11월 |
파보 배위뤼넨 | 중앙당 | 1975년 11월 – 1976년 9월 |
마랴타 배내넨 | 중앙당 | 1976년 9월 – 1977년 5월 |
크리스티안 게스트린 | 스웨덴인당 | 1977년 5월 – 1978년 3월 |
야코 이탤래 | 자유인민당 | 1978년 3월 – 1979년 5월 |
패르 스텐배크 | 스웨덴인당 | 1979년 5월 – 1982년 2월 |
칼레비 키비스퇴 | 인민민주동맹 | 1982년 2월 – 1982년 12월 |
카리나 수오니오 | 사회민주당 | 1982년 12월 – 1986년 5월 |
피료 알라카페 | 사회민주당 | 1986년 6월 – 1987년 4월 |
크리스토페르 탁셀 | 스웨덴인당 | 1987년 4월 – 1990년 6월 |
올레 노르바크 | 스웨덴인당 | 1990년 6월 – 1991년 4월 |
리타 우오수카이넨 | 국민연합당 | 1991년 4월 – 1994년 2월 |
올리페카 헤이노넨 | 국민연합당 | 1994년 2월 – 1999년 4월 |
마이야리사 라스크 | 사회민주당 | 1999년 4월 – 2003년 4월 |
툴라 하타이넨 | 사회민주당 | 2003년 4월 – 2005년 9월 |
안티 칼리오매키 | 사회민주당 | 2005년 9월 – 2007년 4월 |
사리 사르코마 | 국민연합당 | 2007년 4월 – 2008년 12월 |
헤나 비르쿠넨 | 국민연합당 | 2008년 12월 – 2011년 6월 22일 |
유카 구스타프손 | 사회민주당 | 2011년 6월 22일 – 2013년 5월 24일 |
크리스타 키우루 | 사회민주당 | 2013년 5월 24일 – 2015년 5월 29일 |
사니 그라흔라소넨 | 국민연합당 | 2015년 5월 29일 – |
참조
[1]
웹사이트
Ministers
https://valtioneuvos[...]
2019-06-06
[2]
웹사이트
Organisation
http://minedu.fi/en/[...]
2018-03-21
[3]
웹사이트
Prime Minister Orpo’s Government appointed
https://valtioneuvos[...]
2023-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