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립 공 메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 공 메달은 왕립 공학 아카데미에서 수여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매년 9월 후보 지명을 시작하며, 자격을 갖춘 후보가 없을 경우 수여되지 않는다. 1991년부터 시작되어, 항공, 가스 산업, 광섬유, 유한 요소 분석법, 화학 공학, 전기 자동차 등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상 - 코플리 메달
    코플리 메달은 왕립학회가 자연 지식 향상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고드프리 코플리 경의 기부로 시작되어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사람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이며 노벨상의 전신으로 여겨진다.
  • 과학기술상 - 교토상
    교토상은 이나모리 재단이 첨단기술, 기초과학, 사상·예술 분야에서 인류 발전에 공헌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국제적인 상으로, 메달과 증서, 5천만 엔의 상금이 주어지며, 수상자 중 노벨상 수상자가 다수 배출되는 등 권위 있는 상으로 인정받는다.
필립 공 메달
필립 공 메달
필립 공 메달
필립 공 메달
수여 기관공학한림원
수여 대상모든 국적의 모든 계층의 엔지니어
목적엔지니어링의 뛰어난 공헌
수여 자격뛰어난 공헌
상금금메달
첫 수여1991년
마지막 수여2021년

2. 배경

필립 공 메달은 왕립 공학 아카데미에서 수여한다. 후보 지명은 매년 9월경에 시작된다. 모든 국적의 후보를 대상으로 하므로 국제적인 상이다. 매년 수여하지만, 자격을 갖춘 후보가 없는 경우에는 메달을 수여하지 않는다.

3. 수상자 명단

연도수상자업적
1991프랭크 휘틀항공의 변혁을 이끈 제트 엔진 개발에 공헌
1992데니스 루크가스 산업의 현대화, 액화 천연 가스의 탐사, 수송 및 사용을 실용화하는데 공헌
1993수상자 없음
1994수상자 없음
1995수상자 없음
1996찰스 K. 가오광섬유를 발명하고 이를 상업화하는데 공헌
1997존 아르기리스유한 요소 분석법의 공식화 및 개발을 통해 엔지니어링 설계를 하는데 공헌
레이 윌리엄 클로프
1998수상자 없음
1999존 브라운BP에서 30년 이상 뛰어난 기여를 하였으며, BP가 애머코(Amoco)와 303억파운드 규모의 합병을 통해 영국 최대의 회사를 만드는데 공헌
2000알렉 브로어스실리콘 칩의 소형 전자 회로 분야에서 선구자이자 산업과 대학의 관계를 구축하여 케임브리지가 주요 경제 강국이 되도록 하는데 공헌
2001필립 러플스롤스로이스, 항공엔진 산업 및 영국의 엔지니어링을 강화하는데 공헌[1]
2002수상자 없음
2003데이비드 로즈통신 기술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전문성을 인정받아, 이를 전 세계적인 회사로 발전시키는데 공헌[2]
2004윌리엄 본필드인공 뼈 재료의 임상적 사용 개발, 상용화 및 확대에 있어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었고 생체재료 분야를 정의하는데 공헌[3]
2005제임스 두지수문학 분야에 공헌[4]
2006올지어드 지엔키에비츠기계 및 공학의 광범위한 분야에 뛰어난 공헌[5]
2007수상자 없음
2008론 데니스기업가적 기술, 공학 분야, 공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 미래의 젊은 엔지니어들에게 영감을 주는데 공헌[6]
2009수상자 없음
2010존 데이비슨유동화 및 기포 유동의 다상 유동 연구 분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화학공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는데 공헌[7]
2011수상자 없음
2012나임 후세인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다리 중 일부에 대한 획기적인 작업을 수행하는데 공헌[8]
2013수상자 없음
2014C. C. 찬전기자동차 개발에 공헌[9]
2015수상자 없음
2016조나단 인그램건물 정보 모델링 (BIM) 혁명을 예고한 시스템 개발[10]
2017수상자 없음
2018루시엔 브로니츠키지구의 지열을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
2019수상자 없음
2020밥 스튜어트음악 및 영화 산업의 오디오 엔지니어링에 대해 공헌[11]
2021글래디스 웨스트GPS의 공학적 혁신을 위한 길을 열어준 수학적 모델링 개발[12]
2022아사드 마다니허블 우주 망원경 제어 시스템과 승객 안전 기술의 선구자. 수십 년 동안 항공우주, 제조 및 운송 산업 전반에 걸쳐 지능형 센서와 시스템 개발[13]
2023수상자 없음
2024아로기야스와미 파울라지현재 및 미래의 모든 광대역 무선 통신의 기반인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 발명[14]


참조

[1] 뉴스 Ruffles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1-09-11
[2] 뉴스 Rhodes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3-06-05
[3] 뉴스 Bonfield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4-06-09
[4] 뉴스 Dooge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5-06-02
[5] 뉴스 Zienkiewicz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5-05-24
[6] 뉴스 Dennis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08-06-04
[7] 뉴스 Dennis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10-06-10
[8] 뉴스 Hussain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12-06-25
[9] 뉴스 Chan news release http://www.raeng.org[...] RAE 2012-06-06
[10] 웹인용 Prince Philip Medal for engineer behind revolution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https://www.raeng.or[...] RAEng 2024-10-07
[11] 웹인용 Prince Philip Medal for engineer behind revolution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https://www.raeng.or[...] RAEng
[12] 웹인용 ‘Hidden Figure’ whose mathematical modelling enabled GPS is first woman to win Prince Philip Medal https://raeng.org.uk[...]
[13] 웹인용 Visionary behind Hubble Space Telescope control system and passenger safety technology awarded Prince Philip Medal https://raeng.org.uk[...]
[14] 웹인용 Inventor of the core technology behind 4G, 5G mobile and Wi-Fi networks wins the biennial Prince Philip Medal https://raeng.org.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