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홀로포닉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로포닉스는 1980년 아르헨티나 발명가 휴고 주카렐리가 개발한 음향 기술이다. 주카렐리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이 소리 방출기이며, 귀 내부에서 기준 소리와 외부 소리의 간섭 패턴을 형성하여 소리의 방향을 인식한다고 주장했다. 1983년 영국에서 홀로포닉스 시스템을 시연하기 위한 음반이 발매되었으며, 핑크 플로이드, 로저 워터스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이 기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주카렐리의 이론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현재까지 음향 방출이 소리 위치 파악에 사용된다는 증거는 없다. 홀로포닉스는 바이노럴 녹음과 유사하게, 머리전달함수(HRTF)를 통해 소리의 방향감을 재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음 - 오디오 엔지니어
    오디오 엔지니어는 음향 녹음, 강화, 방송 장비 설치 및 작동을 담당하는 전문가로, 연구 개발을 통해 새로운 오디오 기술을 개발하고 건축, 전기, 음악, 심리 음향학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음반 제작의 각 단계를 담당한다.
  • 녹음 - 웃음 트랙
    웃음 트랙은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관객의 반응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 녹음된 웃음소리나 다른 관중의 반응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의 재미를 더하고 시청자의 웃음을 유도하는 데 기여하지만 인공적인 웃음소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미디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미디어 기술 - 신호 처리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은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필터, 변환 등의 기술 요소와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등의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
홀로포닉스
홀로포닉스
유형녹음 기술
관련바이노럴 녹음
다른 이름
영어Holophony
설명
설명홀로포닉스는 바이노럴 녹음 기술을 사용하여 3D 오디오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술임. 바이노럴 녹음은 사람의 머리와 귀의 위치를 고려하여 음원을 녹음하는 방식으로, 홀로포닉스는 이를 통해 더욱 현실감 있는 소리를 제공함.

2. 역사

1980년 휴고 주카렐리가 밀라노 공과대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홀로포닉스를 발명했다.[1] 1983년에는 CBS가 제작한 "주카렐리 홀로포닉스(Zuccarelli Holophonics, The Matchbox Shaker)"라는 제목의 음반이 영국에서 발표되었다. 이 음반은 홀로포닉스 시스템을 시연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짧은 음향 효과 녹음들로 구성되었다.[1]

2. 1. 초기 개발 및 상용화

1980년, 아르헨티나 발명가 휴고 주카렐리는 밀라노 공과대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홀로포닉스를 개발했다.[1] 1983년, 주카렐리는 CBS를 통해 "Zuccarelli Holophonics (The Matchbox Shaker)"라는 음반을 영국에서 발표했다.[1] 이 음반은 홀로포닉스 기술을 시연하기 위해 특별히 제작된 짧은 음향 효과 녹음들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성냥갑 흔들기, 이발, 벌, 풍선, 비닐봉투, 새, 비행기, 불꽃놀이, 천둥, 경주용 자동차 소리 등이 포함되어 입체 음향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했다.[1]

홀로포닉스 기술은 초기에 핑크 플로이드의 ''The Final Cut''[1], 로저 워터스의 솔로 앨범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6], 사이킥 TV의 ''Dreams Less Sweet''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음반 작업에 사용되었다. 또한 영화 사운드트랙, 대중음악, 텔레비전, 테마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2]

2. 2. 기술 적용 및 논란

초기에 홀로포닉스는 핑크 플로이드의 ''The Final Cut''[1], 로저 워터스의 솔로 앨범 ''The Pros and Cons of Hitch Hiking''[6], 사이킥 TV의 ''Dreams Less Sweet''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음반 제작에 활용하였다. 이 기술은 영화 사운드트랙, 대중음악, 텔레비전 프로그램, 테마파크 등에도 사용되었다.[2] 가장 유명한 음향 효과는 사운드 엔지니어 마우리치오 마기가 모데나 움비 스튜디오에서 녹음했다. 홀로포닉스는 움베르토 마기에 의해 특허 등록되었다.

1983년, 휴고 주카렐리는 뉴 사이언티스트 잡지에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지만, 그의 이론과 과학적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3][4]

2. 3. 과학적 근거 논란

휴고 주카렐리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이 소리를 방출하며, 이 방출된 소리가 외부 소리와 간섭하여 방향 정보를 생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달팽이관이 이러한 간섭 패턴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소리의 방향을 추론한다고 보았다.[3] 그러나 현재까지 음향 방출이 음향 위치 파악에 사용된다는 증거는 없으며, 주카렐리가 제시한 "간섭"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도 밝혀지지 않았다.[5]

3. 이음향 방사

이음향 방사는 실제로 존재하지만, 이것이 소리 위치 파악에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 HRTF 합성을 통해 적절하게 제시된 공간 단서(양이두 귀 모방) 또는 양이두 귀 녹음이 실제 청취와 비교할 만하고 홀로포닉스 데모와 비교할 만한 현실적인 공간 녹음을 재현하는 데 충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풍부한 문헌이 존재한다.[5]

4. 홀로포닉스 기술을 사용한 녹음

홀로포닉스는 초기에 여러 아티스트들이 사용했다. 핑크 플로이드는 1983년 음반 ''The Final Cut''에서 이 기술을 사용했다.[1] 같은 해, 폴 매카트니는 "Keep Under Cover"에서 홀로포닉스를 활용했다. 로저 워터스는 1984년 솔로 앨범 ''The Pros and Cons of Hitchhiking''에서 이 기술을 사용했다.[6] 사이킥 TV 또한 1983년 앨범 ''Dreams Less Sweet''에서 홀로포닉스를 사용했다.

5. 비판적 관점

홀로포닉스는 1980년 아르헨티나 발명가 휴고 주카렐리(Hugo Zuccarelli)가 개발했다. 주카렐리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이 소리 방출기이며, 들어오는 소리와 결합하여 귀 내부에 간섭 패턴을 형성하는 기준 소리를 생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패턴의 특성이 들어오는 소리의 방향에 민감하며, 달팽이관은 마치 음향 홀로그램처럼 이 패턴을 감지하고 분석하여 뇌가 소리의 방향을 추론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음향 방출이 음향 위치 파악에 사용된다는 증거는 없다. 홀로포닉스보다는 기본적인 HRTF(머리전달함수)를 재현하는 바이노럴 녹음 기술이 3차원 음향 효과를 구현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바이노럴 녹음은 스피커에서 생성된 소리가 특정 방향에서 나오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참조

[1] 서적 Pink Floyd: The Visual Documentary Omnibus Press
[2] 웹사이트 Holophonics in Media http://www.acoustici[...] Zuccarelli, Hugo 2017-03-14
[3] 간행물 Ears Hear by Making Sounds New Scientist
[4] 간행물 Zuccarelli's Theory New Scientist
[5] 문서 Binaural and Spatial Hearing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6] 서적 Pink Floyd - The Music and the Mystery Omnibus
[7] 서적 Binaural and Spatial Hearing in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Psycholog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