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인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성인황후는 강희제의 황후로, 1653년 색니의 손녀로 태어났다. 1667년 강희제와 혼인하여 7년간 내명부를 관장하며 효장태황태후의 총애를 받았다. 두 아들을 낳았으나 첫째는 요절했고, 둘째 아들 윤잉은 황태자가 되었으나 폐위되었다. 20세에 산후병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효성공숙정혜안화여천양성인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희제의 황후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강희제의 황후 - 효공인황후
효공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정제의 어머니이며, 덕비, 황태후를 거쳐 효공인황후로 추봉되어 경릉에 안장되었다. - 만주 정황기인 - 효경헌황후
효경헌황후 울라나라씨는 옹정제의 원비이자 황후로, 옹정제의 적복진으로 책봉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요절한 아들 홍휘를 두었고 사망 후 효경헌황후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청서릉 태릉에 안장되었다. - 만주 정황기인 - 나라 싱더
나라 싱더는 청나라 초기의 시인이자 관료로, 강희제의 측근에서 활동하며 남당 이후주의 시풍을 계승하여 섬세하고 슬픈 감성을 담은 《음수사》 등의 작품을 남겼고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효성인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재위 기간 | 1665년 10월/11월 – 1674년 6월 6일 |
유형 | 재위 |
전임자 | 효혜장황후 |
후임자 | 효소인황후 |
출생일 | 1654년 2월 3일 (순치 10년 12월 17일) |
사망일 | 1674년 6월 6일 (강희 13년 5월 3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곤녕궁 |
매장지 | 경릉 |
배우자 | 강희제(1665년 결혼) |
자녀 | 승호 윤잉, 이밀친왕 |
시호 | 효성공숙정혜안화숙의각민여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淑懿恪敏儷天襄聖仁皇后) |
씨족 | 헤셔리 (출생) 아이신 교로 (혼인) |
아버지 | 가불라 |
만주어 | |
만주어 | ᡥᡳᠶᠣᠣᡧᡠᠩᡤᠠ ᡠᠨᡝᠩᡤᡳ ᡤᠣᠰᡳᠨ ᡥᡡᠸᠠᠩᡥᡝᠣ |
만주어 로마자 표기 | hiyoošungga unenggi gosin hūwangheo |
2. 생애
효성인황후는 1653년(순치 10년) 11월 26일 이부상서이자 내무부총관, 영시위내대신인 색니의 손녀로 태어났다. 1667년(강희제 6년) 입궁하여 강희제와 혼인하였다. 황후로서 7년간 내명부와 후궁을 관장하였으며, 성격이 유순하고 현명하여 바깥일에 힘쓰는 남편 강희제를 보좌하였다. 강희제와 시조모 효장문황후의 총애를 받았다.
1669년(강희제 8년) 아들 승단을 낳았으나 1672년(강희제 11년) 4살에 죽었다. 1674년(강희제 13년), 다시 임신하여 둘째 아들 윤잉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20세에 붕어하였다. 강희제는 윤잉을 황태자로 삼았다.[1]
할아버지 색니, 아버지 갈부라, 숙부 송고투(색액도)는 모두 영시위내대신을 지내며 권세를 누렸으나, 색액도는 윤잉을 이용하여 강희제를 시해하려 했다는 이유로 1703년(강희제 42년) 사사당했다. 윤잉은 황태자로서 총명하였으나 외종조부 색액도의 꼬드김과 형제들의 괄시로 탈선하여 폐위되었다.
사후 시호는 인효황후(仁孝皇后)였으나, 이후 효성공숙정혜안화숙의각민려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淑懿恪敏儷天襄聖仁皇后)로 가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가문 배경
효성인황후는 1653년(순치 10년) 11월 26일 이부상서, 내무부총관, 영시위내대신을 겸한 색니의 손녀이자, 그의 아들 가불라의 딸로 태어났다. 1654년 2월 3일(순치 10년 12월 17일)에 태어났으며, 이름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다. 할아버지 색니(소니)와 아버지 가불라, 숙부 송고투(색액도) 모두 영시위내대신을 지냈다. 외조부 소니는 강희제의 섭정이었고, 아버지 가불라를 비롯해 오촌 신유, 육촌 파보, 남동생 장태 등이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은 권세를 누렸다. 여동생은 강희제의 평비이다.2. 1.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가불라(噶布喇) | 영시위내대신(領侍衛內大臣) 역임, 1등 공(一等公) 작위 |
외조부 | 소니(索尼) | 강희제의 섭정 4대신 중 한 명, 1등 공(一等公) 작위 |
삼촌 | 송고투(宋gotu) | |
오촌 | 신유(信裕) | 1등 백(一等伯) 작위 |
육촌 | 파보(法寶) | 1등 공(一等公) 작위 |
남동생 | 장태(常泰) 외 1명 | 장태는 영시위내대신 역임, 1등 공(一等公) 작위 |
여동생 | 평비 외 2명 |
2. 2. 황후 시절
1653년(순치 10년) 11월 26일 당시 이부상서이자 내무부총관, 영시위내대신인 색니의 집에서 그의 손녀로 태어났다. 1667년(강희제 6년) 입궁하여 강희제와 대례를 치르고 혼인하였다. 황후로서 지낸 7년간 효성인황후는 내명부와 후궁을 관장하는 황후로서 성격이 유순하고 현명하였으며 바깥일에 힘쓰는 남편 강희제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성실히 그를 보좌하여 강희제와 시조모인 효장태황태후의 총애를 받았다.[1] 정략결혼이었지만, 강희제는 황후를 매우 총애했다.[2]1669년(강희제 8년) 아들 승단(承端)을 낳았으나 1672년(강희제 11년) 4살에 죽었다.[1] 1670년 1월 4일, 아들 첨거(Chenghu)를 낳았으나, 1672년 3월 3일에 요절했다. 첨거 왕자의 죽음은 황후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심하게 병들었다. 적성(Chicheng)에 머물던 황제는 혜서리씨가 중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베이징으로 향하여 간호했다. 황후는 회복 후 다시 임신을 하였다.[2]
1674년(강희제 13년), 다시 임신하여 둘째 아들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붕어하니 향년 20세였다. 효성인황후를 매우 사랑하였던 강희제는 그 아들을 황태자로 삼으니 이가 윤잉(胤礽)이다.[1] 황후 사후, 강희제는 약 3년간 황후 자리를 공석으로 두었다가 1677년 9월 18일에 후궁 중 한 명인 효조인황후(Empress Xiaozhaoren, 뇨후루씨 Lady Niohuru)를 황후로 책봉했다.[2]
2. 3. 사후
사후 시호는 '''인효황후'''(仁孝皇后)였으나, 옹정제 즉위 후에 '''효성공숙정혜안화여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儷天襄聖仁皇后)로 다시 추존되었다. 1735년(옹정 13년)에 '''숙의'''(淑懿), 1799년(가경 4년)에 '''각민'''(恪敏)이 추가되었다. 최종 시호는 '''효성공숙정혜안화숙의각민여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淑懿恪敏儷天襄聖仁皇后)이다.3. 평가 및 대중문화
4. 시호
사후 시호는 인효황후(仁孝皇后)이나, 옹정제 즉위 후에 효성공숙정혜안화여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儷天襄聖仁皇后)로 재추존되었다. 1735년(옹정 13년)에 숙의(淑懿), 1799년(가경 4년)에 각민(恪敏)이 추가되었다. 최종 시호는 효성공숙정혜안화숙의각민여천양성인황후(孝誠恭肅正惠安和淑懿恪敏儷天襄聖仁皇后)이다.[1]
참조
[1]
문서
康熙四年 九月
[2]
문서
雍正元年 六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