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화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화산은 과거 화산 분류에서 사용되었던 용어이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과거에는 화산의 분화 활동 정도를 정성적으로 판단하여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으로 분류했으나, 연대 측정법 발달로 과거 화산 활동의 장기적인 주기가 밝혀지면서 유사 시대의 활동 기록만으로는 화산 활동을 판단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화산과 사화산 용어는 폐지되었고, 현재는 활화산과 "활화산이 아닌 화산"으로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휴화산 |
---|
2. 화산 분류의 역사적 변천
과거에는 화산 분화 활동 정도에 따라 정성적으로 화산을 분류했다.[2] 영어에는 Active volcano(활화산), Dormant volcano(휴화산), Extinct volcano(사화산)라는 명칭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지질학자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1896년)에서 활화산, 수면 화산, 소화산이라는 단어를 사용했고, 사토 덴조는 『지질학 개요』(1928년)에서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이라는 분류를 사용했다.[2]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처음부터 임시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에서 유구한 역사 이래 활동하지 않던 화산이 갑자기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러한 분류를 "비학술적"이라고 지적했다.[2] 사토 덴조 또한 『지질학 개요』에서 이러한 분류가 "전적으로 편의적인 것"이라고 언급했다.[2]
이후 연대 측정법이 발달하면서 과거의 화산 활동이 밝혀지고, 수만 년 주기의 분화 활동이 있다는 사실 등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유사 시대의 활동 기록만으로는 화산 활동을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이 밝혀져,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사화산과 함께 폐지되었다.[3]
2. 1. 과거의 화산 분류
과거에는 화산의 분화 활동 정도에 따라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 등으로 분류하였다.[2] 일본의 지질학자인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1896년)에서 활화산, 수면 화산, 소화산이라는 단어를 사용했고, 사토 덴조는 『지질학 개요』(1928년)에서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이라는 분류를 사용했다.[2]2. 1. 1. 과거 분류의 문제점
과거에는 화산의 분화 활동 정도를 정성적으로 판단하여 분류했다.[2] 영어로는 Active volcano(활화산), Dormant volcano(휴화산), Extinct volcano(사화산)와 같은 명칭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지질학자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1896년)에서 활화산, 수면 화산, 소화산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2]사토 덴조는 『지질학 개요』(1928년)에서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이라는 분류를 사용했다.[2]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처음부터 임시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에서 오랜 역사 동안 활동하지 않던 화산이 갑자기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러한 분류를 "비학술적"이라고 평가했다.[2] 사토 덴조 역시 『지질학 개요』에서 이러한 분류가 "전적으로 편의적인 것"이라고 언급했다.[2]
일반적으로 사화산은 오랜 역사 시대 이후 활동 흔적이 없는 것을 기준으로 했지만, 문자 문화의 발전에는 지역 차이가 있어 "유사 시대"를 기준으로 엄밀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고 여겨졌다.[2]
이후, 연대 측정법이 발달하면서 과거의 화산 활동이 밝혀지고, 수만 년 주기로 분화 활동이 일어난다는 사실 등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유사 시대의 활동 기록만으로는 화산 활동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사화산과 함께 폐지되었다.[3] 현재는 활화산이 아닌 화산을 "활화산이 아니다" 또는 "활화산 이외의 화산" 등으로 표현한다.
2. 2. 현대적 화산 분류
과거에는 화산의 분화 활동 정도에 따라 화산을 분류했다.[2] 영어로는 활화산(Active volcano), 휴화산(Dormant volcano), 사화산(Extinct volcano)이라는 명칭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지질학자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1896년에 출간한 『지질학 교과서』에서 활화산, 수면 화산, 소화산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2]사토 덴조는 1928년에 출간한 『지질학 개요』에서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이라는 분류를 사용했다.[2]
그러나 이러한 분류는 처음부터 임시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요코야마 마타지로는 『지질학 교과서』에서 오랜 역사 동안 활동하지 않던 화산이 갑자기 활동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분류를 "비학술적"이라고 말했다.[2] 사토 덴조도 『지질학 개요』에서 이러한 분류가 "전적으로 편의적인 것"이라고 했다.[2]
일반적으로 사화산은 오랜 역사 이후 활동의 흔적이 없는 것을 기준으로 했지만, 문자 문화의 발전에는 세계 각국에서 지역 차이가 있기 때문에 '유사 시대'를 기준으로 한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고 여겨졌다.[2]
이후, 연대 측정법이 발달하면서 과거의 화산 활동이 밝혀지고, 수만 년 주기의 분화 활동이 있다는 것 등이 알려졌다. 따라서 유사 시대의 활동 기록만으로는 화산 활동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화산이라는 말은 사화산과 함께 폐지되었다.[3] 활화산 이외의 화산은 "활화산이 아니다" 또는 "활화산 이외의 화산" 등으로 표현한다.
참조
[1]
간행물
鎌田浩毅:ビジネスパーソンのための地球科学入門(火山編 第11回)注意すべき活火山は108個 休火山と死火山はもはや死語
https://cir.nii.ac.j[...]
週刊東洋経済
2011-01-08
[2]
웹사이트
地質事象における「活」の諸問題
https://www.oyo.co.j[...]
応用地質株式会社
2017-08-27
[3]
웹사이트
火山について - 「休火山」や「死火山」という用語は、今もあるのですか?
https://www.jma.go.j[...]
気象庁
2013-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