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노 세레가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노 세레가 FC는 히노 자동차에서 생산한 9m급 전세버스 모델이다. 1986년에 P-RU192AA 모델이 처음 출시되었으며, 1990년에 U-RU1HHAB 모델로 변경되었다. 이후 1995년과 2000년에 배출 가스 규제에 맞춰 KC-RU1JHCB, KL-RU1JHEA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5년에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2006년에는 12m 모델과 통합되어 세레가의 9m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노 자동차의 차종 - 히노 세레가
히노 세레가는 1990년에 출시되어 히노 자동차의 대형 버스 라인업을 잇는 모델로, 풀 모델 체인지를 통해 외관을 일신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 히노 자동차의 차종 - 히노 듀트로
히노 듀트로는 히노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소형 상용 트럭으로, 다이하츠 델타 OEM 공급을 통해 처음 출시되었으며, 토요타 다이나와 자매차 관계를 맺었고,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및 다양한 엔진과 적재량 모델, 워크스루 구조 전기 자동차 개발 등으로 친환경성을 강조하고 있다. - 1990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아반떼
현대 아반떼는 1990년부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승용차로, 국내에서는 아반떼, 해외에서는 엘란트라 또는 란트라로 판매되며, 다양한 디자인과 파워트레인, 차체 형태를 갖춘 베스트셀러 모델이지만 일부 세대에서는 품질 논란이 있었다. - 1990년 도입된 자동차 - 포드 익스플로러
포드 익스플로러는 1990년부터 포드에서 생산하는 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로, SUV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에는 2세대 모델부터 판매되어 안전성 논란 이후 안전 기능 강화와 플랫폼 변화를 통해 상품성을 개선해왔다. - 버스 차종 - 쌍용 트랜스타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개량하여 1994년에 출시한 대형 버스로, 혁신적인 특징과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인정에도 불구하고 1998년 경영난으로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히노 세레가 FC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히노 세레가 FC |
영문 명칭 | Hino S'elega FC |
약칭 | 셀레가 |
창단 | 1967년 |
해체 | 2002년 |
모기업 | 히노 자동차 |
연고지 | 도쿄도 히노시 |
홈 구장 | 히노 자동차 운동장 |
소속 리그 | 일본 축구 리그 (1973년-1992년) 재팬 풋볼 리그 (1992년-1998년) |
역대 리그 순위 | 1973년 - JSL 1부 리그 10위 1974년 - JSL 1부 리그 10위 1975년 - JSL 1부 리그 9위 1976년 - JSL 1부 리그 10위 1977년 - JSL 2부 리그 2위 1978년 - JSL 1부 리그 10위 1979년 - JSL 2부 리그 4위 1980년 - JSL 2부 리그 3위 1981년 - JSL 2부 리그 5위 1982년 - JSL 2부 리그 7위 1983년 - JSL 2부 리그 4위 1984년 - JSL 2부 리그 9위 1985년 - JSL 2부 리그 5위 1986/87시즌 - JSL 2부 리그 12위 1987/88시즌 - JSL 2부 리그 11위 1989/90시즌 - JSL 2부 리그 6위 1990/91시즌 - JSL 2부 리그 10위 1991/92시즌 - JSL 2부 리그 12위 1992년 - JFL 2부 리그 3위 1993년 - JFL 2부 리그 6위 1994년 - JFL 2부 리그 5위 1995년 - JFL 2부 리그 4위 1996년 - JFL 1997년 - JFL 1998년 - JFL |
역사 | |
1967년 | 히노 자동차 축구부로 창단 |
1973년 | JSL 2부 리그 승격 |
1978년 | JSL 1부 리그 승격 |
1992년 | JFL 가입 |
1999년 | 클럽 해체 |
2. 세부 모델
히노 세레가 FC는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 P-RU192AA (1986-1990): 9m급 전세버스 사양으로 H06CT형 엔진을 탑재했다. 리프식 서스펜션 사양인 히노 RT 차량도 있었다. 1990년 단종되었다.
- U-RU1HHAB (1990-1995): P-RU192AA의 후속 모델로, 직렬 6기통 H06C-TI 엔진을 탑재했다.
- KC-RU1JHCB (1995-2000): 배출 가스 규제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된 모델로, J08C형 엔진을 탑재했다.
- KL-RU1JHEA (2000-2005): 1999년 배출 가스 규제에 맞춰 2000년에 출시된 히노 세레가 R FC는 기존 U-RU1HHAB 모델을 마이너 체인지한 것이다.
2. 1. P-RU192AA (1986-1990)
1986년에 출시된 9m급 전세버스 사양으로 H06CT형 엔진을 탑재했다. 리프식 서스펜션 사양인 히노 RT 차량도 있었다. 1990년 후속 모델인 U-RU1HHAB 차량 출시로 단종되었다. H06C-T 205ps를 탑재했다.2. 1. 1. 관련 이미지


2. 2. U-RU1HHAB (1990-1995)
1990년에 P-RU192AA 모델의 후속으로 세레가 FC가 출시되었다. 엔진은 직렬 6기통 H06C-TI가 탑재되었다.2. 2. 1. 관련 이미지

2. 3. KC-RU1JHCB (1995-2000)
1995년에 배출 가스 규제에 맞춰 마이너 체인지된 모델이다. J08C형 엔진이 탑재되었다.2. 3. 1. 관련 이미지
2. 4. KL-RU1JHEA (2000-2005)
1999년에 배출 가스 규제에 맞춰 2000년에 출시된 히노 세레가 R FC는 기존 U-RU1HHAB 모델을 마이너 체인지한 것이다. 2000년(헤이세이 12년)에 헤이세이 11년 배출 가스 규제에 적합하도록 마이너 체인지가 실시되었다.2. 4. 1. 관련 이미지
3. 생산 종료
2005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2006년 2월, 이미 전체 모델이 변경된 12m 모델과 통합되어 세레가의 9m 버전으로 이스즈 가라와의 통합 모델로 출시되었다. 등급 이름은 '''하이데커 쇼트'''가 되었으며, 12m 모델과 마찬가지로 '''FC'''라는 서브네임은 폐지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