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두더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말라야두더지(Euroscaptor micrurus)는 두더지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야행성이며 굴에서 생활하고, 혼자 지내는 습성을 보인다. 방글라데시, 부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네팔 등지에서 발견된다. 말레이시아두더지와 단절 분포를 보이며, 유전자 연구를 통해 말레이시아 고유종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1년 기재된 포유류 - 검은발회색랑구르
검은발회색랑구르는 인도 남서부와 서고츠산맥에 분포하며, 과거에는 다른 종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남부평원회색랑구르의 이명으로 간주되며, 개체수 감소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1841년 기재된 포유류 - 짧은귀바위왈라비
짧은귀바위왈라비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분포하는 바위왈라비속의 일종으로, 회갈색 털을 지녔고 바위 지대에 서식하며, 쿤윈주족에게 사냥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서식지 파괴로 지역적 멸종 위협에 처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 대상으로 분류된다. - 두더지과 - 아시아두더지류
아시아두더지류는 땃쥐와 비슷한 외형의 두더지과 포유류 분류군으로, 일부 종은 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과거 분류 체계와 현재 명칭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두더지과 - 히메히미즈
히메히미즈는 일본 두더지와 비슷하게 생겼고 몸통과 머리 길이가 6~8cm, 꼬리 길이가 2.5~4cm 정도이며 짙은 갈색 털과 녹색 금속 광택을 띠고, 다른 두더지류와 달리 독특한 치아 구조, 특히 앞니 형태에서 차이를 보이는 작은 두더지이다.
히말라야두더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말라야두더지 |
학명 | Euroscaptor micrura |
명명자 | 호지슨(1841) |
이명 | Euroscaptor micrura |
![]() | |
보전 상태 | LC |
보전 상태 참고 | Molur, S. 2016. http://www.iucnredlist.org/details/41462/0.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41462A22320005. http://dx.doi.org/10.2305/IUCN.UK.2016-2.RLTS.T41462A22320005.en. Downloaded on 11 August 2018.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진무맹장목 |
과 | 두더지과 |
아과 | 두더지아과 |
속 | 미주라두더지속 |
종 | 히말라야두더지 (E. micrura) |
2. 분류
과거에는 말레이시아 반도에 서식하는 말레이시아두더지(''E. malayanus'')가 히말라야두더지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분포(단절 분포)하고 주로 차 재배지 근처에서 발견된다는 점 때문에, 인도 다즐링 지역에서 수입된 차와 함께 말레이시아의 카메론 하이랜드로 우연히 유입된 히말라야두더지의 한 개체군으로 잘못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유전자 연구 결과, 말레이시아두더지는 히말라야두더지와는 다른 말레이시아 고유종임이 확인되었다.[3]
히말라야두더지는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이며, 혼자 굴을 파고 생활하는 고독한 성향을 보인다.[4] 서식지는 방글라데시, 부탄,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네팔 등지에 분포한다. 방글라데시에서는 1980년과 2011년에 로아차라 국립공원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으며, 2017년 3월에는 스리망갈 우파질라의 한 차밭에서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다.[4]
[1]
간행물
Euroscaptor micrura
3. 생태 및 서식지
참조
[2]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1-10-09
[3]
학술지
Redescription of the Malaysian Mole as to be a True Species, Euroscaptor malayana (Insectivora, Talpidae)(Biodiversity Inventory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I. Indonesia and Malaysia)
2008
[4]
뉴스
শ্রীমঙ্গলে বিরল প্রাণী 'অন্ধ মূষিক' উদ্ধার
https://www.prothoma[...]
Prothom Alo
2017-03-10
[5]
간행물
Euroscaptor micrura
http://www.iucnredl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6]
서적
MSW3 Talpid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